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라이브
KYD 디데이
글로벌 글로벌정치

속보

더보기

[팬데믹 현황] 확진·사망 3200만·98만명대...미 중서부 확산세 주도(25일 13시23분)

기사입력 : 2020년09월25일 15:30

최종수정 : 2020년09월25일 16:09

미 확진 700만 돌파...사우스·노스다코타 감염 급증
므누신·펠로시 "추가 경기부양안 논의 재개키로"
佛, 최근 8일새 4차례 신규 확진 최다 경신..英도 심각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전 세계 코로나19(COVID-19) 누적 확진자와 사망자 수가 각각 3200만명, 98만명대를 기록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의 시스템사이언스·엔지니어링센터(CSSE) 코로나19 상황판에 따르면 한국시간 25일 오후 1시23분 기준 전 세계 누적 확진자 수는 하루 전보다 36만371명 늘어난 3214만1225명으로 집계됐다. 총사망자 수는 6704명 증가한 98만1808명으로 조사됐다.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2020.09.25 bernard0202@newspim.com

국가·지역별 누적 확진자는 ▲미국 697만7658명 ▲인도 573만2518명 ▲브라질 465만7702명 ▲러시아 112만3976명 ▲콜롬비아 79만823명 ▲페루 78만2695명 ▲멕시코 71만5457명 ▲스페인 70만4209명 ▲아르헨티나 67만8266명 ▲남아프리카공화국 66만7049명 등이다.

국가·지역별 누적 사망자는 ▲미국 20만2798명 ▲브라질 13만9808명 ▲인도 9만1149명 ▲멕시코 7만5439명 ▲영국 4만1991명 ▲이탈리아 3만5781명 ▲페루 3만1870명 ▲프랑스 3만1524명 ▲스페인 3만1118명 ▲이란 2만5015명 등으로 보고됐다.

◆ 미국 확진 700만 돌파...중서부 감염 확산 주도

미국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가 700만명을 돌파했다고 로이터통신이 25일 보도했다. 존스홉킨스대의 집계치에서는 697만여명으로 조사됐으나, 통계 사이트 월드오미터에서도 로이터 집계치와 마찬가지로 7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왔다.

로이터에 따르면 미국의 누적 감염자 수는 세계 전체의 20% 이상을 차지했다. 주(州)별로 보면 캘리포니아의 누적 확진자 수가 80만명을 넘어 가장 많았고, 그 뒤는 텍사스와 플로리다, 뉴욕 등이다.

미국 뉴욕 시 스태튼아일랜드에서 메모리얼데이 퍼레이드가 펼쳐지는 가운데 마스크를 쓴 시민들이 테이크아웃 음료를 구입하고 있다. [사진= 로이터 뉴스핌]

이달 들어 미국 중서부 지역의 신규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다. 오하이오를 제외한 모든 중서부 주의 신규 감염자가 지난 4주 동안 직전의 같은 기간보다 늘었다. 이런 기준에 따라 사우스다코타와 노스다코타의 신규 감염자는 각각 8129명, 8752명으로 그 증가폭은 166%, 100%에 달해 가장 많았다.

로이터는 이 2개 주의 신규 감염 급증세가 매년 사우스다코타의 스터지스에서 열리는 오토바이 집회와 연관된 것으로 봤다. 이 집회는 수십만명의 방문객을 모은다. 보건 전문가들은 최근 노동절 연휴 동안 열린 파티뿐 아니라 개학 등의 요인이 미국 확진자 수를 전체적으로 끌어올린 것으로 해석했다.

◆ 미 부양안 협상에 숨통...므누신·펠로시 "논의 재개키로"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은 24일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서 민주당의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과 추가 경기부양안 협상을 재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고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펠로시 의장 역시 므누신 장관과 협상 테이블로 곧 돌아올 것이라며 재개 의사를 표명했다.

므누신 장관의 발언은 미국의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82만5000건으로 늘어나고, 주식시장이 높은 변동성을 연출하는 등 경제·금융 부문이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약 7주째 교착 상태에 빠진 백악관과 민주당의 부양안 협상에 숨통이 트이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 연방의회 의사당 [사진= 로이터 뉴스핌]

한편, 민주당이 다음 주 하원 표결을 목표로 2조2000억달러의 코로나19 부양안을 준비 중이라고 로이터가 보도했다. 이날 민주당의 리처드 닐 하원 세입위원장은 취재진의 관련 질문에 이렇게 답하고, 다음 주 표결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미국 CNBC방송에 따르면 민주당이 마련 중인 부양안에는 '실업수당', '현금 지급', '중소기업 대출', '항공사 지원' 관련 내용이 포함됐다. 방송은 그 규모를 2조4000억달러라고 전했다.

◆ 프랑스·영국 신규 확진 최다 경신

24일 프랑스의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최근 8일 사이 4번째의 최다 기록을 세운 것으로 집계됐다. 영국의 확진자 수도 최다치를 경신하는 등 유럽 전역에 2차 대유행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로이터는 프랑스 보건당국을 인용, 이날 프랑스의 신규 확진자는 1만6096명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19일 기록은 1만3498명이었다. 최근 7일간 일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는 1만1679명에 달했다.

[로이터=뉴스핌] 김선미 기자 = 코로나19(COVID-19) 팬데믹 위기에도 프랑스 도로 일주 사이클 대회 '투르 드 프랑스'에 참가한 선수들이 지나는 시스트롱-오르시에르 메를렛 구간에 인파가 몰렸다. 2020.09.01 gong@newspim.com

프랑스의 누적 확진자 수는 49만7237명으로 서유럽에서 최다인 스페인 다음으로 많다. 총사망자 수는 3만1511명으로 이날 52명 늘었다. 프랑스 정부는 코로나19 환자 급증으로 인한 병실 부족을 우려하고 있다.

영국도 일일 신규 확진자가 6634명으로 최대치를 경신했다. 전날 6178명보다 늘어난 것이며, 22일 4926명과 비교해서는 확연하게 증가한 수치다.

◆ 노바백스, 영국서 백신 3상 개시

미국 생명공학 회사 노바백스는 영국에서 코로나19 백신 3상 임상시험을 개시했다고 밝혔다. 노바백스는 이번 임상시험에 18~84세 사이의 피험자 최대 1만명을 등록할 예정이며, 향후 4~6주에 걸쳐 3상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번 시험 데이터는 영국과 유럽연합(EU) 등에서의 백신 승인 신청에 활용될 계획이다. 앞서 노바백스는 오는 12월 미국에서 백신 승인을 신청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회사는 이번 3상은 피험자의 최소 25%를 65세가 넘는 참가자로 구성하고, 코로나19에 가장 많이 영향을 받는 집단을 우선으로 할 것이라고 했다.

코로나19 백신 이미지 [사진 = 로이터 뉴스핌]

 bernard0202@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LH, 올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공급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과 2만8000가구 규모 공공택지 공급에 나선다. 또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21조6000억원의 투자를 집행하고 재원조달 방식 등을 다양화해 재무여건 체질을 개선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21만 8000+α가구 규모의 주택 공급에 나선다. 사진은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5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서계동 복합문화단지 조성사업 업무협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핌DB] 23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핵심 업무인 주택 공급에 집중한다. 10만가구 사업승인과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등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을 공급한다. 동시에 민간 주택건설 활성화를 위해 2만8000가구 규모의 공공택지를 조성한다. 주택 착공물량은 지난해(5만가구) 대비 20% 증가한 6만가구를 추진하고 지난해 8·8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에 포함된 서울서리풀 등 5만가구 규모의 사업지구 역시 인허가 일정을 최대한 단축해 안정적 공급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심 내 신속한 주택공급과 비아파트 시장 정상화를 위해 신축매입임대 5만가구 이상을 공급하고 전세사기 피해자 회복 지원을 위해 피해 주택 7500가구를 매입한다. 올해 주택 승인물량의 37%를 청년·신혼·고령자에게 공급하고 출산가구 우선공급(통합공임)과 실버스테이 등 새로운 유형의 시니어 주택을 통해 가속화되는 저출산·고령화 문제에도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아울러 쪽방·고시원·반지하 거주자의 주거 상향 지원을 지속하고 예술인 등 다양한 수요층에 부응한 특화형 매입임대도 확대한다. 공공주택은 합리적 가격의 고품질을 보장한다. 무엇보다 최근 급등한 주택 분양가격을 낮춰 국민들의 내 집 마련을 돕는다. 이를 위해 사업지구별 목표 원가를 설정해 관리와 검증을 강화하고 가처분면적 확대와 사업일정 단축으로 조성원가를 인하해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공공주도의 기술개발을 통해 민간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모듈러주택 표준평면 개발 등 OSC 공법을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고도화하고 LH가 개발한 층간소음 1등급 설계기준과 국내 최대규모의 층간소음 시험시설(데시벨35랩)을 활용해 주택 품질 혁신을 추진한다. 관련 예산은 조기 집행한다. 전체 공공기관 투자계획(66조원)의 33% 수준인 21조6000억원을 차질 없이 집행할 계획이다. 특히 상반기 역대 최대 규모인 57% 이상의 투자를 집행한다. 지역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3000가구를 매입하고 1기 신도시 특별정비계획 수립,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성 등도 차질없이 추진한다. 손실 최소화 등 재무여건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재원조달 방식도 개선한다. 광명시흥 등 대규모 사업지구에 LH와 기금이 함께 출자하는 신도시 리츠를 설립해 사업에 따른 재무부담을 완화한다. 또 토지 패키지형 공모 등 지구별 특성과 시장 여건에 맞춘 다양한 매각 방식을 도입해 판매여건 개선과 대금 회수를 촉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임금 직접지급 관리를 강화하고 설게 등 공모에 참여하는 외부 심사위원의 정성평가 비중을 축소해 업체 선정의 공정성을 제고한다. 이한준 LH 사장은 "국민의 삶과 국가 경제가 어려운 만큼, 올해도 신속한 주택공급과 투자집행 등 LH가 맡은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며 "선도적인 공적 역할을 통해 확실한 정책성과를 창출하여 국민 주거안정을 지원하고 국가 경제회복의 마중물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min72@newspim.com 2025-02-23 20:07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