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라이브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7/2 중국증시종합] 3대 지수 동반 하락, 창업판지수 3% 이상 ↓

기사입력 : 2021년07월02일 17:02

최종수정 : 2021년07월02일 17:02

고량주·금융 섹터 약세
화웨이 훙멍 테마주 강세 전환
성장성 갖춘 과학기술주 주목 조언 계속돼

상하이종합지수 3518.76(-70.02, -1.95%)
선전성분지수 14670.71(-368.17, -2.45%)
창업판지수 3333.90(-121.46, -3.52%)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2일, A주 3대 지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낙폭을 키우며 일제히 하락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95% 내리 3518.76포인트를 기록했고, 선전성분지수는 2.4% 내린 14670.71포인트로 장을 마감했다. 창업판지수는 3.52% 내려앉으며 3333.90포인트로 거래를 마쳤다. 이로써 상하이종합지수와 선전성분지수, 창업판지수는 이번주(6월 28일~7월 2일) 각각 -2.46%, -2.22%, -0.41%의 누적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 선전성분지수, 창업판지수 거래액은 각각 4524억 위안, 5505억 위안, 2359억 위안으로 집계됐다.

해외자금은 유출세가 우위를 점했다. 이날 북향자금(北向資金, 홍콩을 통한 A주 투자금)은 86억 300만 위안의 순매도를 기록했다. 이중 후구퉁(滬股通, 홍콩 및 외국인 투자자의 상하이 증시 투자)을 통한 순매도액은 60억 5100만 위안, 선구퉁(深股通, 홍콩 및 외국인 투자자의 선전 증시 투자)을 통한 순매도액은 25억 5100만 위안으로 나타났다.북향자금이 3일 연속 순유출을 기록한 가운데, 이번주주간 누적 순매도액은 158억 위안으로 집계됐다.

전 거래일에서 강세를 나타냈던 고량주(바이주) 섹터, 은행·증권사 등 금융섹터는 이날 증시 하락을 주도한 섹터로 꼽힌다. 의료 및 의약, 가전, 식품 및 음료, 고량주 섹터의 다수 대형주들이 큰 폭으로 하면서 증시에 충격을 줬다. 의료 테마주인 매서의료(邁瑞醫療·300760)는 9% 이상 급락했고, 고량주 섹터 대형주이자 A주 대표 종목인 귀주모태주(貴州茅臺·600519)도 5% 가까이 하락했다.

7월 1일 중국공산당 창당 100주년을 앞두고 주목을 받았던 방산섹터도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AVIC선양항공(中航沈飛·600760)는 7% 이상 주저앉았고, 강서홍도항공공업(洪都航空·600316), 강연고납과기(鋼研高納·300034), 중항엔진(航發動力·600893) 모두 5% 이상 하락률을 기록했다.

반면, 계속된 상승 랠리로 전 거래일 피로한 모습을 보였던 화웨이(華為) 독자개발 운영체제(OS) 훙멍(鴻蒙) 테마주는 이날 오후 들어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렸다. 초도소프트웨어(超圖軟件·300036)는 오후 장에서 빠르게 올라 상한가를 찍었고, 과람소프트웨어(科藍軟件·300663), 척유인터넷정보(拓維信息·002261), 전지교육(傳智教育·003032)도 큰 폭으로 올랐다.

수창증권(首創證券)은 5G가 사물인터넷의 통신 문제를 해결하고 훙멍 시스템이 하드웨어 간 융합 심화를 실현함에 따라 머지 않아 사물인터넷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릴 것이라며, 이것이 훙멍 테마주 주가 상승을 견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함께 배터리 소재인 리튬 수요 확대 전망이 계속되는 가운데 리튬 염호 제련 섹터가 오름세로 전환했고,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BIPV) 지원 정책 호재의 영향으로 관련 테마주들이 상승세를 나타냈다. 수요 증가에 힘입어 업계 실적 호전이 예상되는 희토류 섹터도 상승 기류에 동반했다.

원달증권(源達指出)은 시장 정서가 회복되면서 상대적으로 지속적인 테마성 기회가 나타날 것이라며, 과학기술 성장을 테마로한 종목의 저점 매수 기회를 노려야 한다고 조언한다. 반도체·칩셋·중국 로컬 소프트웨어 관련 대표 종목에 관심을 가짐과 동시에 신에너지차 세부 섹터인 리튬배터리 및 완성차와 의료 관련 섹터에서 '혁신+소비' 양대 방향을 중심으로 중장기 투자 전략을 모색할만 하다는 설명이다.

[그래픽=텐센트 증권] 상하이종합지수 7월 2일 주가 추이

[뉴스핌 Newspim] 홍우리 기자 (hongwoori8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틱톡, 세계 최초 시각 인식 AI 공개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틱톡의 모기업인 바이트댄스(중국명 쯔제탸오둥, 字節跳動)는 언어 지시가 아닌 시각을 이해해 동영상을 제작하는 '비디오월드'라는 이름의 AI 솔루션을 공개했다. 바이트댄스 산하 더우바오(豆包) AI 대형 모델 팀은 베이징교통대학, 중국과학기술대학과 공동으로 제작한 비디오월드를 발표했다고 중국 제일재경신문이 11일 전했다. 오픈AI가 공개한 AI 동영상 생성 모델인 소라(Sora)는 텍스트를 입력하면 관련된 동영상을 제작한다. 이에 반해 비디오월드는 텍스트나 음성이 아닌 시각 정보만으로 동영상을 제작한다. 시각 정보로 동영상을 제작하는 AI 솔루션인 비디오월드가 처음이라고 매체는 평가했다. 종이 접기 혹은 넥타이 매기 등의 복잡하거나 세밀한 동작은 언어로 명확히 표현하기 어렵다. 비디오월드는 AI가 인간 혹은 사물의 동작을 시각으로 인식해서 동영상을 제작하는 프로그램이다. 바이트댄스는 "비디오월드는 학술 연구 프로젝트로 현재 새로운 기술 방법을 탐색하는 과정에 있을 뿐이고, 제품화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바이트댄스는 "비디오월드는 바둑 및 로봇 제어 환경 시뮬레이션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지만, 실제 세계 환경에서는 아직 미비점이 많다"고 소개했다. 비디오월드는 바둑 게임에서 프로 5단 수준의 실력을 달성했으며, 다양한 환경에서 로봇 작업을 수행했다는 것이 회사의 설명이다. 또한 바이트댄스는 "수많은 문제를 해결해 비디오월드를 현실 세계의 범용 지식 학습기로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더우바오는 바이트댄스가 2023년 8월 발표한 AI 챗봇이다. 현재 중국 내에서 딥시크에 이어 사용자 수 2위에 올라 있는 AI 대형 모델이다. 더우바오팀은 바이트댄스 내부에 2023년 만들어졌다. 더우바오팀은 최첨단 AI 대형 모델 기술 개발을 전담하고 있다. 연구 방향은 딥러닝, 강화 학습, 대규모 언어 모델(LLM), AI 음성 인식, AI 시각 인식, AI 인프라, AI 보안 등이다. 바이트댄스가 공개한 비디오월드 시연 화면 [사진=제일재경신문 캡처] ys1744@newspim.com 2025-02-11 11:30
사진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 신청 접수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는 17일부터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사업' 신청 접수를 받는다고 9일 밝혔다. 배달·택배비 지원사업은 정부가 지난해 7월 발표한 '소상공인·자영업자 종합 대책'의 후속 조치 일환이다. 고물가·고금리 등으로 가중된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이들의 배달·택배비를 올해 한시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배민라이더스 배달기사 노조가 23일 오후 서울 송파구 배달의민족 본사 앞에서 기본배달료 인상, 오토바이수당 및 픽업거리 할증 도입을 촉구하는 집회를 마치고 오토바이로 행진을 하고 있다. 2021.12.23 pangbin@newspim.com 지원 대상은 ▲2023년 또는 지난해 연 매출액이 1억400만원 미만이며 ▲배달·택배 실적이 있고 ▲신청일 기준 폐업하지 않은 개인·법인 사업자다. 또 배달·택배를 주업으로 하는 업종과 소상공인 정책 자금 제외 업종을 제외한 전 업종을 지원 대상으로 한다. 지원 금액은 최대 30만원으로 1인당 1개 사업체만 신청해 지원받을 수 있다. 배달·택배비는 지난해 실적과 과거 증빙자료 등을 보관하지 않거나 확인이 어려운 경우를 감안해 올해까지의 실적도 폭넓게 인정한다. 중기부는 소상공인의 배달·택배비 증빙자료 확보 용이성을 토대로 신청자 유형에 따라 순차적으로 신청 접수를 개시할 예정이다. 연내 차질 없는 지원을 목표로 '신속 지급'과 '확인 지급' 절차로 나눠 실시한다. 지원 대상자 유형별 신청 일정 [자료=중소벤처기업부] 2025.02.08 rang@newspim.com 먼저 신속 지급 절차는 약 8만개사를 대상으로 한다. 중기부는 온라인 신청과 증빙자료 등록 등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지원받을 수 있도록 신속 지급 절차를 마련했다. 중기부는 소상공인들의 자료 증빙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생각대로 ▲바로고 ▲부릉 등 6개 배달 플랫폼과 배달 대행사로부터 소상공인이 지출한 배달비 제공에 대한 협조를 받았다. 신속 지급 대상자 데이터베이스(DB)에 포함된 약 8만개사 소상공인들은 별도의 증빙자료 없이 사업자등록번호와 계좌번호 등의 정보만 입력하면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증빙 부담이 대폭 줄고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속 지급 대상자들은 오는 17일부터 신청이 가능하며, 신청 단계에서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할 시 신속 지급 대상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최초 신청 후 지원금이 30만원 미만이더라도 추가 신청 없이 올해 12월까지 배달비 실적이 확인되면 누적 금액 최대 30만원까지 차액을 지급한다. 신속 지급 대상자 DB에 포함되지 않은 확인 지급 대상자는 4월 중 신청할 수 있다. 확인 지급 대상자는 신속 지급 대상자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로 모든 택배와 배달 플랫폼, 배달대행사, 퀵서비스, 심부름센터 등을 이용해 직접 자료 증빙이 가능한 자를 말한다. 혹은 배달 플랫폼 또는 택배사를 이용하지 않고 소상공인 대표 또는 직원이 상품을 고객에게 직접 배달해 증빙이 어려운 경우를 일컫는다. 직접 자료 증빙이 가능한 소상공인은 지난해 1월 1일부터 올해 12월 31일까지 상품 판매를 위해 배달 또는 택배를 이용한 건에 대한 증빙자료를 시스템에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제출하면 된다. 증빙자료는 배달·택배비 사용 금액이 확인 가능한 전자세금계산서와 택배 운송장, 배달 정산 내역서 등이 있다. 직접 배달 소상공인은 특성상 실적에 대한 직접 자료증빙이 어려운 만큼 관련 협·단체 등 업계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합리적인 배달·택배비 지급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확인 지급 대상자에 해당하는 두 가지 경우 모두 소상공인이 직접 자료를 입력해야 한다. 중기부는 증빙 방안을 다음 달 말까지 마련해 4월부터 신청을 받을 계획이다. 사업 신청은 전용 사이트인 '소상공인배달택배비지원.kr'이나 '소상공인24'를 통해 가능하다. 오는 17일 신속 지급 신청 시행 이후 첫 이틀간은 접속자 분산을 위해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 기준으로 홀짝제를 적용한다. 세부적인 내용은 중기부 누리집 혹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누리집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소상공인 배달 택배비 지원 콜센터를 통해서도 안내받을 수 있다. 배달 택배비 지원사업 진행 절차 [자료=중소벤처기업부] 2025.02.08 rang@newspim.com rang@newspim.com 2025-02-09 12: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