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산업 자동차

속보

더보기

[시승기] "밟아보면 안다" 전기 양탄자 '아우디 Q4 e-트론'

기사입력 : 2022년10월29일 00:00

최종수정 : 2022년11월01일 11:00

아우디, 25~26일 미디어 로드쇼 개최
Q4 e-트론, 고속주행서도 흔들림없어
인포테인먼트 등 편의기능도 개선돼

[제주=뉴스핌] 조재완 기자 = "진가는 고속주행에서 드러난다."

아우디 전기차 '이트론(e-tron)'의 시승 안내를 맡은 권봄이 레이서는 이렇게 표현했다. 전기차라곤 믿기지 않을 만큼 안정적이면서도 이질감없는 고속 주행 안정성을 자랑한다는 뜻이다.

지난 25일 큐포 이트론(Q4 e-tron·이하 Q4)과 알에스 이트론 지티(RS e-tron GT·이하 GT)를 직접 몰아봤다. 제주시에서 서귀포까지 약 207km 구간을 달렸다. 서로 다른 차량을 바꿔 운전하며 비자림로를 지나 일주동로, 한경해안로, 노을해안로 등을 따라 달렸다.

Q4는 아우디가 처음 선보인 컴팩트 전기 SUV 쿠페다. 지난 9월 출시됐다. 직접 운전대를 잡아보니 레이서의 표현 그대로였다.

아우디의 첫 번째 전기 컴팩트 SUV '더 뉴 아우디 Q4 e-tron'. [사진=아우디코리아 제공]

처음 시동을 걸고 운전을 시작했을 땐 전기차 특유의 '꿀렁이는' 주행감이 어색했다. 엑셀에서 발을 뗄 때마다 차량이 울컥거리는 전기차 특유의 주행감인데, 내연기관 운전에 익숙한 기자로선 '차가 뚝딱거린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러나 속도를 서서히 올렸더니 주행감이 완전히 달라졌다. 가속페달을 밟는 만큼 차량이 반응했다. '밟는 대로 나간다'는 감탄이 절로 나왔다. 시속 100km 이상의 고속주행에서도 흔들림이라곤 좀처럼 느낄 수 없었다. 차체 하부에 묵직하게 장착된 배터리 덕에 바닥에 깔리는 듯한 주행감도 느낄 수 있었다.

특히 GT의 우아하고 역동적인 움직임은 입이 다물어지지 않을 만큼 놀라웠다. 와인딩이 심한 '1100고지' 구간을 GT를 타고 달렸다. GT는 598마력(ps)에 최대 토크 84.7kg·m 성능을 자랑하는 차다. 조금도 벅찬 기색없이 오르막길을 내리막길마냥 달렸다. 앞서 '끙끙대며' 달리는 다른 차량들을 추월하고 싶은 마음을 여러 차례 참아야 했다.

일부 전기차 브랜드의 단점으로 꼽히는 소음 스트레스도 전혀 없었다. 고속주행에서도 Q4와 GT는 정숙함을 유지했다. 동승자와 무리없이 대화를 나눌 수 있었다. 

스티어링휠이나 가속페달의 움직임은 적당한 수준이었다. 지나치게 가볍지도, 무겁지도 않았다. 특히 GT의 부드러운 페달감은 상당히 인상적이었다. 

[제주=뉴스핌] 조재완 기자 = 아우디의 첫 번째 전기 컴팩트 SUV '더 뉴 아우디 Q4 e-tron'. 스티어링휠의 직관적 터치식 버튼 사용이 편리하다. 2022.10.24 chojw@newspim.com
[제주=뉴스핌] 조재완 기자 = 아우디의 첫 번째 전기 컴팩트 SUV '더 뉴 아우디 Q4 e-tron'. 인포테인먼트 화면이 운전석을 기울어져있다. 2022.10.24 chojw@newspim.com

세부 편의·고급 기능은 더욱 업그레이드됐다. 우선 계기판은 섬세해졌다. 계기판엔 배터리 잔량이 표시된다. 그간 전기차의 배터리 잔량을 계기판에서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이 아우디 차량의 단점으로 꼽히기도 했는데, Q4부터 개선된 것이다. 인포테인먼트 화면이 운전석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데서도 운전자를 상당히 배려했다는 인상을 받았다. 트렁크 용량도 넉넉하다. 250L(리터) 짐이 실리고, 뒷자석을 접으면 트렁크 공간은 최대 1490L까지 늘어난다. 

회생제동도 조절할 수 있다. 회생제동을 약하게 거니 엑셀에서 발을 떼도 차량이 미끄러지듯 나아갔고, 회생제동을 강하게 걸면 원페달 드라이빙이 가능했다. 회생제동은 차량 감속이나 제동 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해주는 시스템이다. 이 회생제동 탓에 가속페달에서 발을 떼면 운전자는 차량 움직임이 곧장 멈추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페달에서 발을 떼는 것만으로도 차가 어느 정도 속도를 유지하는 내연기관는 다르다. 내연기관 운전에 익숙한 운전자들로선 어색할 수밖에 없는데, 이 때 패들시프트로 회생제동 강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동승자석의 승차감은 다소 아쉬웠다. 운전자를 교대하는 일부 구간에선 조수석, 뒷좌석에 탑승했다. 직접 운전할 때보다 차가 울컥거리는 느낌을 강하게 받았다. 뒷좌석, 조수석, 운전석 순으로 승차감이 나빠졌다. 배터리 탓에 서스펜션이 약한 전기차의 특성이기도 하다. 

USB 충전단자로 C타입 한 가지만 지원한다는 점도 아쉬운 부분이었다. 충전단자 A타입을 사용하는 이들은 반드시 전환기를 준비해야 한다. 

Q4 이트론 판매가는 부가세포함 5970만원부터다. 기자가 시승한 이트론 40 프리미엄 판매가는 6630만원. 최고출력 204마력과 최대토크 31.6㎏.m의 성능을 낸다. 최고시속은 160㎞로 제한된다. 82kWh 용량의 리튬이온 배터리가 탑재돼 1회 충전 시 복합기준 357㎞를 주행할 수 있다.

RS 이트론 GT 판매가는 2억632만원이다. 최고 출력 598마력과 최대 토크 84.7㎏.m 성능을 자랑한다. 93.4kWh 용량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탑재했다. 1회 충전 시 주행거리는 복합기준 336km다. 

chojw@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PC "8시간 넘는 야간근무 없앤다"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SPC그룹이 27일 대표이사 협의체인 'SPC 커미티'를 열고 장시간 야간 근로를 폐지하고, 앞으로 생산직의 야근 시간을 8시간 이내로 제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SPC그룹은 야간 생산이 불가피한 일부 필수 품목을 제외하고, 가능하면 야간 가동 자체를 줄여나가겠다는 방침이다. 그룹 관계자는 "8시간 초과 야근 폐지를 위해 △인력 확충 △생산 품목 및 생산량 조정 △라인 재편 등 전반적 생산 구조를 완전히 바꿀 계획이다. 각 (계열)사별 실행 방안을 마련해 10월1일부터 전면 시행한다"고 설명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25일 경기 시흥시 SPC 삼립 시흥 공장에서 열린 산업재해 근절 현장 노사간담회에서 발언을 하는 모습. [사진=대통령실]  주간 근무 시간 역시 단계적으로 단축해 장시간 노동에 따른 피로 누적과 사고 위험을 사전에 차단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이번 근무체계 전환이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노조와 협의를 병행하고, 내부 교육 및 매뉴얼 정비 작업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SPC는 "생산 현장의 장시간 야간 근로에 대한 지적과 우려를 무겁게 받아들여 근무 형태를 비롯한 생산 시스템 전반에 대한 개혁을 추진하기로 했다"며 "앞으로 근로자 안전이 최우선시되는 일터를 만들 수 있도록 적극 개선하고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은 지난 25일 이재명 대통령이 SPC삼립 시화공장을 직접 찾아 현장 간담회를 주재하며 야간 노동과 과도한 업무 강도를 지적한 데 따른 것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 5월 SPC 시화공장에서 발생한 여성 노동자 사망 사고와 관련해 "수십 년이 흘렀지만 여전히 현장에서 노동자가 죽고 있다"며 "같은 방식의 사고가 반복되는 건 심각한 문제"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돈과 비용 때문에 안전과 생명을 희생하는 구조라면 반드시 바뀌어야 한다"며 "이번을 계기로 산재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대책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김용범 정책실장, 문진영 사회수석 등 청와대 주요 인사들이 배석했으며, SPC 측에선 허영인 회장과 김범수 SPC삼립 대표, 김지형 컴플라이언스위원장, 김희성 안전보건총괄책임자, 김인혁 노조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CJ푸드빌, 크라운제과 등 타 식품업체의 현장 책임자들도 함께 자리를 했다. wonjc6@newspim.com 2025-07-27 13:22
사진
특검, '공천개입 의혹' 윤상현 의원 소환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27일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을 소환했다. 윤 의원은 이날 오전 9시 25분께 서울 종로구 KT광화문웨스트빌딩에 위치한 특검 사무실에 출석했다. 현장에 모인 취재진이 공천 개입 의혹에 대한 입장을 묻자 윤 의원은 "진실되고 성실하게 조사에 임하겠다"고 답했다.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김영선 전 의원의 공천과 관련한 연락을 받은 적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그 부분은 조사에서 말씀드리겠다"며 말을 아꼈다. 윤 의원은 2022년 6월 치러진 경남 창원 의창구 국회의원 보궐선거 당시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장을 맡았으며, 특검은 김건희 여사가 당시 전략공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윤 의원이 개입했는지 여부를 집중 수사 중이다. 김 여사는 제20대 대통령 선거 직후 '정치 브로커'로 알려진 명태균 씨로부터 여론조사를 무상으로 제공받은 대가로, 같은 해 6월 보궐선거에서 김영선 전 의원이 창원 의창에 전략공천되도록 개입한 혐의를 받고 있다. 앞서 공개된 통화 녹취록에 따르면, 윤석열 전 대통령은 2022년 5월 9일 국민의힘 보궐선거 공천 발표를 하루 앞두고 명태균 씨에게 "내가 김영선이 경선 때부터 열심히 뛰었으니까 김영선이를 좀 해줘라 그랬는데, 말이 많네. 당에서"라며 "상현이(윤 의원)한테 내가 한 번 더 이야기할게. 걔가 공관위원장이니까"라고 말했다. 특검팀은 이달 8일 업무방해 등 혐의로 윤 의원의 국회 의원회관 사무실과 자택 등을 압수수색하고 휴대전화 등을 확보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공천 개입 의혹을 받는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27일 오전 소환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 마련된 김건희 특검 사무실로 출석하고 있다. 2025.07.27 mironj19@newspim.com wonjc6@newspim.com 2025-07-27 10:01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