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뉴스핌] 남효선 기자 = 3월 마지막 주말인 25일 하늘은 잔뜩 흐리고 뿌옇다. 전날부터 한반도를 뒤덮은 황사가 기승이다.
코로나19로부터 3년만에 일상이 비교적 자유로워지고 산천에 참꽃이며, 산수유며 벚꽃이 꽃망울을 터트리며 꽃 소식이 전해지자 사람들은 코로나19에 짓눌렸던 일상을 펴고 새 봄 속으로 떠날 채비를 서두르는데 황사가 또 길을 막는다.
경북 북부의 산중에 자리한 봉화 '띠띠미마을'은 산수유마을이다.
띠띠미마을로 이어지는 왕복 2차선 도로 주변에 산수유나무가 노오란 꽃망울 터트리며 길손들을 맞는다. 도로명도 '산수유길'이다.
띠띠미마을의 본래 이름은 '후곡(後谷)' 또는 '두동(杜洞)'이다.
마을의 역사는 400여년 전으로 거슬러 오른다.
조선 병자호란 당시 개절공(介節公) 두곡(杜谷) 홍우정(洪宇定,1595~1656)선생이 벼슬을 버리고 이곳에 정착해 마을을 열었다.
병자호란으로 오랑캐에게 앗긴 수모를 견딜수 없다며 이 곳에 은거한 두곡선생을 세인들은 '숭정처사(崇禎處士)'라 칭했다. 조정에서 벼슬을 제수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순조는 이조판서를 추증하고 '개절(介節)'의 시호를 내렸다.
두곡 홍우정의 어머니는 허난설헌의 오라버니이자 허균의 형인 허성의 따님이다. 허성은 이조판서를 지냈다.
'띠띠미'라는 이름은 '후곡'을 부르는 '뒷듬'에서 비롯됐다 전한다.
마을은 문수산이 뻗친 구릉에 자리잡고 있다. 구릉의 볕 바른 곳에 가옥이 형성되자 자연스에 집과 집을 잇는 고샅길이 생겼다.
언덕에 자리한 집들을 잇는 고샅길이 정겹다. 고샅길은 집을 둘러싼 토담들을 끼고 마을 사방으로 이어진다.
사방으로 이어지는 고샅길을 따라 산수유나무가 분방하게 뿌리를 내리고 마을을 껴안 듯 감싸안고 있다.
모두 제 멋대로 가지를 뻗치고 샛노란 꽃망울 터트리느라 분주하다.
마을을 연 두곡 홍우종 선생이 마을의 번창과 후손들을 위해 처음 심었다는 시조목(始祖木) 두 그루도 400여년이 지난 세월에 굴하지 않고 노란 꽃망울을 터트리며 봄향을 풀풀 날리고 있다.
두곡 선생이 산수유나무 두 그루를 심고 마을 연 띠띠미마을은 400여년이 흐른 지금도 남양홍씨 집성촌을 이루며 자신의 가계와 마을을 먹여살린 산수유나무를 자식처럼 건사하고 있다.
홍우정 선생의 호 '두곡(杜谷)'에서 읽히듯 당시 조선의 어지런 정계를 비집고 벼슬만을 쫒던 무리들과는 달리 문수산 자락 막다른 구릉에 은거하며 후손을 위해 산수유나무를 심고 거둔 홍우정 선생의 출세간(出世間)의 결연한 의지가 시조목에 고스란히 배어있는 듯 하다.
한 무리의 가족이 어린 아이들을 데불고 고샅길 산수유 노란 물결 속으로 들어선다. 아이들의 표정이산수유 노오란 꽃망울처럼 환하고 맑다.
연인인 듯 젊은 남녀가 연신 산수유꽃망울을 배경으로 손전화 카메라를 눌러댄다.
고샅길마다 노란 산수유 물결을 좇아 분주한 일상을 훌훌 벗어던지고 달려 온 사람들의 발길이 여유롭다.
고샅길을 따라 걷기만하는데 마음 가득 봄향이, 정갈한 고요가 밀려든다.
봉화 산중마을의 봄은 조금 드디게 온다. 띠띠미마을 봄의 절정은 4월부터 시작된다.
띠띠미마을을 먹여살린 산수유나무가 4월에야 비로소 속살을 활짝 열기때문이다.
이 때를 맞춰 봉화지역의 문인과 음악인 등 에술인들은 이곳 띠띠미마을 산수유 꽃더미 속에서 '산수유 신춘 시 낭송회'를 연다.
올해는 4월 첫 주말인 1일에 열린다.
산수유 노란물결을 타고 지역 시인들이 시를 들려주고 음악 동호인들이 섹스폰이며 바이올린 선율로 새 봄을 선사한다.
마을로 오르는 중턱 쯤 마을 아낙들이 그릇을 씻고 나르며 분주하다.
마을 한 켠 빈터에 비닐하우스를 두르고 간이 주막거리를 만들었다.
마을 곳곳에서 돋는 쑥, 머위, 달랑갱이, 원추리 따위의 봄나물과 집고추장으로 버무린 비빔밥과 쪽파, 유채, 감자로 지져낸 부침개, 추어탕, 막걸리가 대표 메뉴이다.
400여년 간 띠띠미마을을 지키며 아낙들이 대를 이어 간직해 온 맛이 봄향과 함께 오롯이 전해온다.
산수유 노란물결에 뒤덮힌 오래된 마을에서 산수유 꽃망울이 선사하는 봄향에 취해 사람살이 곡절과 역사가 파노라마처럼 켜켜히 쌓여 있는 고샅길을 거닐다가 마을을 나선다.
마을 어귀 쯤 문득 되돌아 보니 띠띠미마을은 막 알에서 부화해 첫 걸음마를 익힌 노란 병아리떼가 재잘거리는 닭둥우리같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