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 30세 미만 자발적 이직률 2년새 4배 늘어
MZ세대, 코로나 엔데믹 이후 퇴사·이직 결정 급증
"벤처기업이나 핀테크 등애서 새로운 기회 찾아"
[서울=뉴스핌] 김연순 기자 = 고액 연봉과 안정적인 정년 등으로 이직률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금융권에서도 젊은 직원들의 퇴사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엔데믹 전환 후 채용시장이 다시 열리면서 움추려있던 MZ세대들이 새로운 도전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워라벨'을 중시하는 MZ세대들의 특성상 조직문화가 유연한 핀테크업체 등이 이직 선호군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2일 KB금융‧신한금융·하나금융‧우리금융그룹 등 4대 금융그룹이 발표한 '지속가능경영(ESG)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30세 미만 직원과 사원급의 자발적 이직률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자발적 이직이란 희망퇴직, 계약만료, 해고 등을 제외한 본인 희망으로 인한 이직을 의미한다.
![]() |
가상세계에 구현된 '하나 글로벌캠퍼스'에서 행원들이 단체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 하나은행] |
KB금융의 경우 MZ세대에 해당하는 30세 미만 직원의 자발적 이직률은 지난 2020년 1.3%에서 2022년 5.5%로 4배 이상 늘었다. 30세 미만 직원의 자발적 이직률은 30~50세 미만 3.0%, 50세 이상 2.9%와도 차이가 났다.
하나금융도 MZ세대에 해당하는 행원(사원)의 자발적 이직률이 지난해 5.19%로 관리자급(3.26%), 책임자급(1.78%)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행원의 자발적 이직률은 2020년(0.1%), 2021년(0.4%) 대비 급증한 것도 눈에 띈다.
우리금융은 지난해 자발적 퇴직인원 비율이 4.3%로 전년(5.9%) 대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30세 미만의 이직 및 퇴직자는 총 139명으로 직전년도(135명)에 비해선 늘었다. 2020년 100명과 비교하면 크게 늘어난 수치다. 신한금융은 지난해 전체 자발적 이직률이 전년도와 비슷한 1.6% 수준이었지만 직급별로는 과장 미만이 2.1%로 부서장(0.8%), 과장~부부장(1.2%)보다 높았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코로나가 종료되고 취업시장이 다시 활성화되면서 금융권보다 다른 산업군으로 이직을 희망하는 MZ세대들이 많아졌다"며 "일반적인 기업들보다 보수적인 색채가 있는 금융권에 경험을 한 뒤 벤처기업이나 핀테크 등 좀 더 새로운 기회를 찾아 떠나는 경향들이 있다"고 전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코로나시대에 재택근무를 경험하다 종료 후 오피스시대가 열리면서 사무실 내 조직문화에 적응을 하지 못하고 다른 기회를 모색하는 모습들이 있는 것 같다"며 "경기가 어려울 때는 이직률이 낮다가 이후 이직률이 반짝 올라가고 그 이후에는 정상적인 수준으로 돌아오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4대금융에서 MZ세대를 중심으로 자발적 이직률이 늘어나는 것과는 별개로 남성 직원의 '육아휴직'은 빠르게 정착하고 있다.
KB금융의 경우 지난해 육아휴직을 하루 이상 사용한 직원 중 남성은 137명으로 2020년(105명), 2021년(97명) 대비 크게 늘었다. 신한금융도 남성직원의 육아휴직 사용자가 2020년 34명, 2021년 41명, 2022년 70명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하나금융도 육아·출산휴가를 사용한 남성 직원이 22명→26명→33명으로 늘었고, 우리금융도 10명→25명→57명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y2k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