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빨대 현상 타파...균형 발전 위해 지방도시 더 확장해야"
[안동=뉴스핌] 남효선 기자 = 이철우 경북지사가 '메가시티 서울'과 함께 충청, 호남, PK(부산·경남), TK(대구·경북) 통합론을 들고 나왔다.
이철우 지사는 3일 자신의 SNS를 통해 "메가시티 서울과 함께 충청, 호남, PK, TK도 통합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 |
이철우 경북지사가 3일 SNS를 통해 "메가시티 서울과 함께 충청, 호남, PK, TK도 통합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사진=이철우 지사 페북 캡쳐] 2023.11.03 nulcheon@newspim.com |
6년만에 열린 '한일지사회의'에 참석 중인 이 지사는 "대구 경북은 2019년 통합 추진위를 만들어 공론화 과정을 거쳤으나, 당시 21대 총선을 의식해 확정하지 못한 아쉬움을 갖고 있다"고 전제하고 "수도권 빨대 현상을 타파하고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지방도시를 더 확장해 수도권과 같은 교육, 문화, 의료, 교통시설을 완벽하게 갖추어 원심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지사는 "지방 균형발전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역사성, 정체성이 같은 충청, 호남, PK, TK 통합을 메가시티 서울과 함께 검토하자"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이 지사는 "도쿄는 서울의 3배 이상 면적으로 훨씬 쾌적한 도시로 변모하고 외국인 관광객이 넘쳐난다"며 "메가시티 서울은 도쿄, 베이징, 뉴욕 등 세계적인 도시들과 충분한 경쟁력을 갖고, 지방의 메가시티들도 자족 능력 확대로 국내 균형 발전과 세계도시들과 경쟁력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거듭 통합론을 강조했다.
![]() |
이철우 경북도지사.[사진=뉴스핌DB]2023.11.03 nulcheon@newspim.com |
앞서 민선7기 당시 이철우 경북지사는 "대구경북이 과거처럼 대한민국을 이끌기 위해 반드시 통합이 필요하다"며 초광역화를 통한 지역 경쟁력 확보와 분권형 국가 발전 선도를 위해 당시 권영진 대구시장과 함께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추진했다.
당시 이 지사는 2020년 9월 대구경북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를 발족해 공정한 공론의 장을 통해 시도민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며 행정통합을 논의해 왔으나, 최종적으로 확정하지 못하고 중장기적인 과제로 추진키로 한 바 있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