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유엔사 회원국 국방장관회의 환영사
오스틴 美 국방장관 비롯 각국 대표 참석
"북한 남침땐 유엔사 중심으로 강력 응징
힘에 의한 현상 변경 시도 국가 강력 경고"
북한 "침략적 유엔사 지체없이 해체" 주장
[서울=뉴스핌] 김종원 국방안보전문기자 =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14일 "6·25전쟁 때 북한을 도왔던 나라들이 또 돕겠다고 나선다면 그 나라들 역시 북한과 같은 응징을 받게 될 것"이라고 강력 경고했다.
또 신 장관은 "대한민국 국방부장관으로서 북한에 엄중히 경고한다"면서 "북한이 또다시 불법 남침을 한다면 유엔군사령부를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의 강력한 응징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신 장관은 이날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정전협정 70주년을 맞아 유엔사 17개 회원국 국방장관과 대표들이 참석한 한국·유엔사 회원국 국방장관회의 환영사를 통해 이같이 강조했다.
![]() |
신원식 국방부 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 등 유엔사 회원국 17개국 대표단이 14일 국방부 연병장에서 한·유엔사 회원국 국방장관회의에 참석해 유엔군 참전 전사자와 무명용사를 위한 묵념을 하고 있다. [사진=국방부] |
한국 주최로 처음 열린 이날 한·유엔사 국방장관회의에는 전날 한미 안보협의회의(SCM) 참석을 계기로 방한 한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을 비롯해 콘로이 호주 방산장관, 데 레옹 필리핀 국방차관, 송윗 태국 군 총사령관, 각국 대사, 유엔사 회원국 대표들이 함께했다.
신 장관은 "6·25전쟁 때와 달리 이제 북한은 유엔(UN) 회원국이 됐다"면서 "북한이 또다시 불법 남침을 한다면 이는 유엔 회원국이 유엔사를 공격하는 자기 모순이며 유엔과 국제사회에 대한 심각한 배신 행위"라고 규정했다.
또 신 장관은 "이 회의는 규칙에 기반한 국제질서를 거부하고 힘에 의한 현상 변경을 시도하는 국가 또는 집단에 강력한 경고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신 장관은 "대한민국은 앞으로 한·유엔사 회원국 국방장관 회의를 회원국 간 협력과 연대를 강화하는 국제회의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면서 "가치를 공유하는 우방국의 참여를 통해 유엔사 외연도 더욱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북한에 대해 신 장관은 "국제사회의 우려와 제재에도 불구하고 핵·미사일 능력을 고도화하고 있다"면서 "핵 투발 수단을 다양화하고 핵무력 정책을 헌법에 명시해 한반도를 넘어 전 세계를 위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신 장관은 "이러한 상황에서 유엔사 회원국 대표들이 70년 만에 다시 한자리에 모인 것은 큰 의미가 있다"면서 "북한 위협에 맞서 국제사회의 단합된 힘을 과시하고 회원국 간 연대를 더욱 강화하는 자리"라고 이날 회의 의미를 부여했다.
또 신 장관은 "유엔사는 전후 70년 간 대한민국 안보의 핵심축 역할을 수행해 왔다"면서 "유엔사 덕분에 대한민국은 전후 폐허 속에서도 국가 재건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고 높이 평가했다.
신 장관은 "유엔사는 자유와 민주주의, 법치 등 인류 보편적 가치를 지향하는 국제 연대의 모범 사례"이라면서 "북한 군사 도발에 대한 강력한 억제의 상징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 |
한·유엔사 회원국 국방장관회의가 14일 국방부 청사에서 정전협정 체결 70주년을 맞아 유엔사 회원국 17개국 국방장관과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리고 있다. [사진=국방부] |
북한은 하루 전인 13일 한·유엔사 국방장관회의에 대해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유엔사를 해체하는 것은 조선반도에서 새 전쟁 발발을 막고 평화와 안전을 수호하기 위한 필수적 요구"이라면서 유엔사 해체를 다시 꺼내 들고 나왔다.
북한은 조선중앙통신에 '외무성 군축 및 평화연구소 공보문' 형식을 빌어 유엔사 해체를 강력 주장했다. 북한은 "이미 수십년 전에 해체됐어야 할 유엔사가 침략적 성격을 또다시 드러내며 제2의 조선전쟁을 가상한 대결선언을 조작해내는 것은 미국과 추종세력들에 의해 조선반도의 안보지형이 전쟁지향적인 구도로 더욱 확고히 굳어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북한은 "유엔사는 1950년대 조선전쟁시기 더 많은 침략무력을 조선전선에 투입하기 위해 미국이 조작해낸 불법무법의 전쟁기구"이라면서 "유엔사는 유엔과는 하등의 관계도 없는 미국의 대결기구"이라고 주장했다.
또 북한은 "유엔사는 유엔총회 결의에 따라 이미 수십년 전에 해체됐어야 할 비법기구"이라면서 "불법 무법의 침략적인 유엔사는 지체없이 해체돼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kjw86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