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문화·연예 가요

속보

더보기

[K팝 위기론 ②] 사상 첫 역성장한 음반수출…'과열된 거품' 걷혔나

기사입력 : 2024년07월30일 16:46

최종수정 : 2024년07월30일 16:49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지난해 K팝은 해외에서 1조 원의 매출을 기록, 글로벌 인기를 증명했다. 하지만 기록적 수치와 함께 'K팝 위기론'도 불거지고 있다. 9년 만에 역성장한 음반 수출액과 K팝 산업의 구조적 변화와 혁신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K팝이 더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K팝 신드롬'은 음반과 음원을 넘어 지적재산(IP)이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며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이 상황 속에서 방시혁 하이브 의장은 지난해 'K팝의 위기론'에 대해 언급했다. K팝 해외 매출 1조원이 돌파한 현재, 장미빛으로 예상되던 음반 부문은 9년 만에 첫 감소세로 돌아섰다.

◆ K팝 해외 매출 1조 시대…음반 부분 나홀로 역성장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최근 '데이터로 살펴본 K팝 해외 매출액 동향'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K팝 해외 매출액은 전년보다 34.4% 증가한 1조2337억원으로 추산됐다. K팝 해외 매출액은 해외 피지컬 음반 판매, 해외 스트리밍 서비스, 해외 공연 3개 영역의 매출액 추정치를 합산해 작성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2023년 기준 K팝 해외 매출액의 영역별 구성 [사진=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4.07.30 alice09@newspim.com

2023년 추정치 기준 해외 피지컬 음반 판매, 해외 스트리밍 서비스, 해외 공연 3개 영역별 비중은 ▲해외 공연 47.5%(5885억 원) ▲해외 피지컬 음반 판매 31.4%(3889억 원) ▲해외 스트리밍 서비스 21.0%(2603억 원) 순으로 분석됐다. 이중에서 음반류 상품 수출액은 2017년과 비교해 7.6배 수준으로 급격하게 성장했다. 2019년 처음으로 수출액이 1000억원을 넘어서며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지만 9년 만에 역성장했다.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음반 수출액은 1억3032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 줄어들면서 9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K팝 음반 수출의 경우 2014년 1373만5000달러에서 2015년 1277만4000달러로 7.0% 감소한 뒤 이후로는 K팝 한류가 시작되면서 작년 1억3296만5000달러를 기록하며 계속해서 성장세를 이어왔지만 올해는 감소세를 보인 것이다.

나라별로는 일본 수출액이 4693만 달러로 가장 많았고 미국이 3045만 달러로 뒤를 이었다. 특히 K팝 업계 부진의 주요 요인으로 지목된 중국은 1804만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하며 전체 수출 비중의 14%를 차지하는데 그쳤다. 특히 중국 음반 수출액은 전년 대비 18.7% 감소했다.

또한 김진우 써클차트 수석연구위원에 따르면 상반기 톱400 앨범 판매량은 4760만장으로 작년 동기 대비 14.9% 감소했다. 실제로 올해 주요 K팝 가수들은 전작에 미치지 못하는 앨범 판매량을 기록했다. 음반 첫 주 판매량(한터차트 기준)을 전작 대비 살펴보면 세븐틴은 509만장에서 297만장으로, 제로베이스원은 213만장에서 135만장으로, 방탄소년단 RM은 62만장에서 56만장의 판매고를 올렸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지난 4월 발매한 베스트 앨범으로 초동 297만장을 기록한 그룹 세븐틴 [사진=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 2024.07.30 alice09@newspim.com

음악계 일각에서는 '감소세에는 과도한 앨범 판매량 경쟁에 대한 거품이 빠진 것'이라는 '거품붕괴론'이 나오고 있다. 이는 K팝 전용차트 '케이팝레이더'는 지난 22일 '음반 초동(앨범 발매 후 일주일간 판매량), 케이팝 팬들의 진짜 생각은?'이라는 설문에서도 확인된다. 

라이트와 코어 팬은 '초동 경쟁이 지나치다고 느낀 적이 있느냐'라는 질문에 각각 63.3%와 74.4%가 '그렇다'라고 응답했고, 초동을 위해 앨범을 구매하거나 공동구매 이벤트에 참여해본 적이 있다는 질문에 역시 각각 55.7%와 81.0%가 '있다'고 답했다. 한 달간 5만원 미만으로 소비하는 팬을 '라이트 팬'으로, 같은 기간 5만원 이상 소비하는 팬을 '코어 팬'으로 분류했다. 현재 K팝 시장에서 앨범 판매량은 아티스트의 인기와 성장을 증명해주는 지표로, 팬덤의 입장에서는 구매력과 결집력이 돼 과도한 경쟁 양상을 띠고 있다.

김진우 써클차트 수석연구위원은 "작년 아이돌 초동 판매량 경쟁이 그 어느 해보다 심했다"며 "경쟁 가수의 판매량을 따라잡거나, 전작의 판매량을 뛰어넘어야 한다는 제작사와 팬들의 강박이 '밀어내기' 혹은 '무한팬사(팬 사인회)' 등과 같은 시장의 과열을 초래했다. 이에 대한 거품이 올해 일부 제거되면서 나타난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어 "다만 K팝 시장이 단순히 거품에 의해 과열됐다고만 한다면 올해 연간 판매량이 재작년 수준인 연 8000만장 수준까지 떨어져야 하는데 그렇게까지 갈 것 같진 않다. K팝 시장이 와르르 주저앉지는 않을 것"이라며 "거품도 있었지만, 꾸준한 글로벌 팬덤 성장이 뒷받침돼 연간 판매량은 1억장 안팎을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증권업계, 하이브·SM·YG·JYP 목표주가 하향 조정

K팝 시장에 거품이 빠지면서 감소세가 보이기 시작하면서 증권업계 역시 하이브, SM, YG, JYP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했다. NH투자증권은 30일 하이브와 SM, JYP, YG의 목표주가를 각각 28만원, 11만원, 8만원, 5만2000원으로 하향했다. 이화정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하이브의 경우 투모로우바이투게더(TXT)·뉴진스의 초동 부진은 아쉬우나 신인 보이넥스트도어·투어스(TWS)의 초동 고성장으로 영향 상쇄됐다. 다만 신사업인 게임 부진으로 아쉬움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2024년 상반기 피지컬 앨범 판매량이 상반기 앨범 차트 TOP400 기준 전년 동기 대비 14.9% 감소한 4670만장을 기록했다. [사진=써클차트] 2024.07.30 alice09@newspim.com

이어 "SM은 NCT127의 역성장세가 에스파의 성장세로 상쇄되고 있으나 이를 위한 콘텐츠 투자 비용이 예상치를 상회하는 것으로 보여 이를 감안해 실적 추정치를 하향한 영향"이라며 "JYP는 질풍노도의 시기이다. 스트레이키즈가 초동 판매량 237만장으로 재차 역성장함을 감안, 연간 실적 추정치를 내려잡았다"고 설명했다.

또한 YG에 대해서는 "저연차 베이비몬스터의 고성장에 고연차 블랙핑크 및 2NE1 활동 재개가 더해지며 아티스트 라인업이 강화될 예정"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나 베이비몬스터의 데뷔에 프로모션에 따른 초기비용이 높았고, 지난해 다수의 아티스트 재계약이 진행 등에 따라 목표주가를 하향했다.

현재 K팝 시장은 군 복무 중인 방탄소년단의 부재와, YG의 캐시 카우였던 블랙핑크의 개인 활동, 중국 내수 부진 등으로 위기론이 계속해서 거론되고 있다.

이에 대해 한 대형 기획사 관계자는 "글로벌 경제 상황 악화 등으로 음반판매량에 대한 감소가 생기며 위기론에 대한 지적이 생기고 있다. 다만 최근 해외 성적이나 공연 등 상황을 살펴볼 때 이러한 이야기는 이른 감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급격히 팽창됐던 부분이 다시 제 모습을 찾아가는 단계라고 보인다"라며 "하반기 역시 이 기조에서 큰 변동은 없어보이고, K팝 인기의 흐름은 이 지점에서 더 상승할지 하락할지 봐야 뚜렷한 판단이 설 것 같다"고 덧붙였다.

임진모 대중음악평론가는 "K팝이 1조원 대를 넘어서 세계 시장에 우뚝 섰지만 동시에 위기 상황이기도 하다. 방탄소년단이 2016년 미국 시장에 진출한 후 K팝은 2017년 기록적인 성장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를 이어갈 다음 아이돌이 없다. K팝 성장세가 2024년이 정점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도헌 대중음악평론가는 "작년서부터 나왔던 K팝의 전망이나 위기론에 대해서는 업계를 자극하기 위해 나온 여러 요소 중 하나이자 당연히 나와야 하는 부분이었다고 생각한다. 올해도 대두됐던 지속가능성도 그렇고 방시혁 의장이 이야기했던 문제에 대해 많은 분들이 공감하셨던 것 같다"라며 "현재 음반 판매량 이면에 있는 잘못된 제도나 시스템, 지속가능성에 대해 주목해야 할 시기가 온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기업 단위에서는 현 시점이 딜레마에 놓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당장 판매량이 줄었다는 것에 집착하다보면 악수를 둘 수밖에 없고 음악이 먼저가 아니라 전략이 우선이 될 수밖에 없다. 이 부분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본다"라며 "길게 보면 단순히 상업적인 전략이나 마케팅 내용을 다듬어야 한다는 결론이 아니라 어떻게 새로운 시각으로 대중음악시장에 자극을 주고, 이를 통해 전 세계와 새로운 호흡을 만들어나갈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짚었다.

 

alice09@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李대통령 22~26일 유엔총회 참석 [서울=뉴스핌] 박찬제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80차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 참석을 위해 오는 22일부터 26일까지 미국 뉴욕을 방문한다. 이 대통령은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하고 대한민국 대통령으로는 처음 안전보장이사회 토의를 주재한다.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19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 기자간담회에서 이 대통령의 유엔총회 참석 일정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우선 22일 뉴욕에 도착해 세계경제포럼 의장인 래리 핑크 블랙록 회장을 만나 인공지능(AI)과 에너지 전환에 관한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이 대통령은 미국 상·하원 의원단을 접견해 한미관계 발전을 위한 의회의 역할도 당부한다. 뉴욕에 거주하는 한인동포 간담회도 한다. 여러 세대에 걸쳐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뉴욕 한인 동포들과 자리한다. [워싱턴 로이터=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앞두고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25.08.26 photo@newspim.com 다음 날인 23일에는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 기조연설을 한다. 이 대통령은 190여 개 국가 정상들 중 7번째로 기조연설에 나선다.  위 실장은 "전 세계 정상이 모이는 자리인 만큼 대한민국 대외정책을 천명하는 주요 무대가 될 것"이라며 "민주주의 대한민국 복귀를 선언하고 한반도 정책 등 한국 정부의 외교 비전을 제시하고 인류 평화와 번영을 이뤄나가기 위한 방안을 설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23일 오후에는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을 면담하고 글로벌 현안 대응과 관련해 유엔 중심의 다자주의 강화 방안을 논의한다.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한 유엔 총장의 지지도 당부할 예정이다. 저녁에는 미 조야의 오피니언 리더와 만찬을 하면서 한미관계 발전 방안에 대한 제언을 듣고 의견을 나눈다.  뉴욕 방문 사흘째인 24일 오후 3시에는 이 대통령이 한국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유엔 안보리 공개 토의를 주재한다. AI와 국제평화 안보 주제 회의에서 '모두의 AI 기조와 국제사회 평화 안보 공동 대응'에 대한 논의를 주도할 예정이다. 마지막 날인 25일 오전에는 미 금융가 월가와 한국 금융계 인사들이 참여하는 대한민국 서밋 행사에 참석한다. 이 대통령은 글로벌 핵심 투자자들을 만나 한국 정부의 정책을 소개하고 한국에 대한 투자를 요청할 방침이다. 위 실장은 "이 자리를 통해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넘어서 '코리아 프리미엄'을 본격적으로 알려 연중 최고가를 경신 중인 한국 증시에도 활력이 돌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pcjay@newspim.com 2025-09-19 14:46
사진
KT, 2만명 'IMEI·폰번호 유출 우려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KT가 18일 서울 광화문 웨스트 사옥에서 소액결제 피해 관련 2차 브리핑을 열고, 불법 초소형 기지국(일명 펨토셀) 신호와 연계한 추가 피해 정황 및 향후 재발 방지 대책을 발표했다. KT는 전수 분석을 통해 불법 기지국 아이디(ID) 4개를 확인했고, 해당 신호를 수신한 고객이 누적 약 2만 명이라고 밝혔다. 이는 1차 브리핑 당시 KT가 발표한 2개 ID·1만 9,000여 명에서 범위가 더 확대된 수치다. 피해 고객 수도 278명에서 362명으로 늘었고, 누적 피해액도 1억 7,000만 원에서 약 2억 4,000만 원으로 증가했다.  다만, KT는 9월 5일 비정상 소액결제 패턴 차단 조치 이후 새로운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재차 강조했다.◆ 전수 분석으로 불법 기지국 ID 4개 확인…2만 명 신호 수신 구재형 KT 네트워크부문 네트워크기술본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9월 5일 비정상 소액결제 패턴을 차단한 이후 현재까지 추가 피해는 없다"며 "1차 브리핑 당시 피해 고객 278명(피해액 1.7억 원)으로 파악했으나, 이후 고객 문의(VOC) 기반 추가 분석으로 362명·2억 4,000만원으로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류기찬 기자 = 구재형 KT 네트워크부문 네트워크기술본부장이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서 열린 소액결제 피해 관련 대응 현황 발표에 앞서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2025.09.18 ryuchan0925@newspim.com 이어 불법 초소형 기지국 추적 과정에 대해 "소액결제 2,267만 건을 전수로 펼쳐놓고 결제 패턴과 기지국 동작 패턴을 이중으로 분석한 결과, 불법 기지국 ID 4개를 검출했다"며 "이는 VOC 고객의 접속 로그에서 확인된 ID와 동일했다"고 덧붙였다. 또 "불법 기지국 신호를 수신한 고객은 누적 약 2만 명으로 산출됐다"며 "다만 뒤늦게 확인된 두 개의 ID는 작동 시간이 매우 짧아 신호 수신 고객이 상대적으로 적었다"고 부연했다. 나아가 개인정보 유출 정황에 대해서는 "1차 브리핑에서 국제 이동가입자 식별번호(IMSI)를 중심으로 설명했지만, 민관합동조사단과의 확대 분석 결과 국제 모바일 기기 식별번호(IMEI)와 휴대폰 번호도 단말 기종·사용 환경에 따라 전송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다만 유심(USIM) 인증키는 유출되지 않았고, 고객 성명·생년월일 역시 KT를 통해 유출된 정황이 없어 복제폰 생성 가능성은 낮다"고 선을 그었다. ◆ 피해 고객 전액 보상, 2만 명에 '안전안심보험' 무상 제공 김영걸 KT 서비스프로덕트본부장은 추가 피해가 발생한 부분을 고려해 고객 케어 방안을 대폭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피해 고객 전체에 대한 청구 조정을 진행 중이며, 278명은 조정 완료, 추가 확인된 84명도 금일까지 마무리하겠다"며 "신용카드 결제 시점 차이 등으로 발생한 금액은 즉시 환불 처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스핌] 류기찬 기자 = 김영걸 KT 서비스프로덕트본부장이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서 소액결제 피해 관련 대응 현황 발표를 하고 있다. 2025.09.18 ryuchan0925@newspim.com 이어 "현재 무료 USIM 교체와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을 지원하고 있다"며 "피해 우려 고객 2만 명 전원에게 'KT 안전안심보험'(가칭)을 3년간 무료 제공해 금융사기 피해를 보상하겠다"고 밝혔다. 또 "오후 3시부터 KT 매장·고객센터·홈페이지에서 피해 여부 확인 시스템을 오픈했고, 24시간 전담 고객센터를 지속 운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KT는 현장 대응 강화도 예고했다. 김 본부장은 "전국 2,000개 매장을 '안전안심 전문매장'으로 전환해 후후 앱 기반의 보안 점검, 악성 앱 탐지, 피싱 대응 안내 등을 상시 지원하겠다"며 "매장별 안전안심 담당자를 지정하고 IT 서포터즈를 활용해 피싱 예방 교육을 연말까지, 내년 이후에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2차 인증 확대와 관련해서는 "고위험 업종에 대해 9월 9일부터~12일까지 PASS 생체/핀 인증을 적용했다"며 "정부·유관기관 지침과 별개로 선제적 확대를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 펨토셀 18.9만 대 현황 공개…미사용 4.3만 대 차단·회수 착수 KT는 이날 브리핑에서 펨토셀 관리 실태도 공개했다. 구 본부장은 "총 설치 18.9만 대 중 시점별 가동 장비는 15~16만 대 수준"이라며 "3개월 미사용 4.3만 대는 연동 해지 조치했고, 2주 이내 전수 점검해 정상 사용 확인, 철거·회수 또는 영구 접속 차단을 병행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불법 기지국 추정 방식과 원인에 대해 "합법 장비를 불법 개조하거나, 고출력 앰프를 추가 연결했을 가능성이 크다. 또 실내용 이동형 형태로 제작해 광범위한 커버리지를 확보한 정황이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로그 분석 기준으로는 ID 4개가 확인됐고, 하드웨어 실물 대수는 수사로 확인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류기찬 기자 = 구재형 KT 네트워크부문 네트워크기술본부장이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서 소액결제 피해 관련 대응 현황 발표를 하고 있다. 2025.09.18 ryuchan0925@newspim.com 복제폰 가능성 논란에 대해 손정엽 KT 디바이스본부장은 "복제폰에는 IMEI·IMSI·인증키 3가지가 모두 필요하다"며 "인증키는 유심(HSM 주입)과 서버에만 암호화 저장돼 있으며 통신망을 오가지 않는다. 따라서 IMEI·IMSI만으로는 복제 불가"라고 재차 강조했다. 한편, KT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보안 관련 투자도 확대하기로 했다. 황태선 KT 정보보안실장은 "KT는 수개월 전 향후 5년간 보안 투자 1조 원 계획을 밝힌 바 있다"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올해·내년 우선순위를 모바일 서비스·단말 보안으로 재배치하고, 보안 거버넌스 강화도 병행하겠다"고 말했다. *용어 설명 펨토셀(Femtocell) :초소형 이동통신 기지국.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에 설치해 휴대폰 신호를 보강하는 장치. 불법 개조 시 해킹·소액결제 범죄에 악용될 수 있음.VOC (Voice of Customer) :고객 불만·문의 사항. 기업이 문제를 파악하고 대응책을 마련할 때 쓰는 데이터 소스. 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국제 이동가입자 식별번호) : 유심(USIM)에 저장된 번호. 이동통신망에서 가입자를 식별하는 고유 번호로, 유출될 경우 특정 가입자의 통신 기록 추적이 가능. IMEI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국제 모바일 기기 식별번호) :단말기(휴대폰) 고유 식별번호. 분실·도난 시 기기 차단이나 추적에 활용. USIM 인증키 : 통신사 네트워크에 가입자임을 인증하는 핵심 암호화 키. 유심 칩과 서버에만 저장되며, 유출되면 복제폰 생성 가능성이 생김. 복제폰(Clone Phone) : 정식 단말과 동일한 IMSI, IMEI, 인증키를 복사해 만든 불법 단말기. 원래 가입자처럼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음. dconnect@newspim.com 2025-09-18 17:18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