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第十一届在韩国际中文教育志愿者岗中培训成功举办

기사입력 : 2024년08월06일 13:52

최종수정 : 2024년08월06일 13:52

纽斯频通讯社首尔8月6日电 8月5日,由教育部中外语言交流合作中心主办,北京外国语大学与韩国外国语大学孔子学院联合承办的第十一届在韩国际中文教育志愿者岗中培训开班仪式在韩国外国语大学成功举办。

与会人员合影留念。【图片=记者 周钰涵 摄】

韩国外国语大学副校长金玟妌、中国教育部中外语言交流合作中心副主任静炜、韩国教育部国立国际教育院国际交流协力部部长宋达庸等出席开班仪式并致辞。北京外国语大学副校长赵刚通过视频发表致辞。 

金玟妌表示,韩外大孔院深度参与在韩国际中文教育志愿者项目,已连续十一年承办教师岗中培训,难能可贵。她对志愿者教师们的无私奉献与辛勤付出表示高度赞赏,并感谢他们在韩国各地致力于汉语教学、推动韩国中文教育不断向前发展。她强调韩中两国是一衣带水的友好邻邦,祝福身在异国他乡的志愿者教师们能够度过愉快且有意义的时光。

静炜在致辞中说,国际中文教育志愿者项目实施20周年来,项目取得长足发展,志愿者教师们为推动海外中文教育、增进中外两国青少年之间的了解和互信贡献了重要力量。她向全体参训的在韩志愿者教师表示亲切问候,向教师们的辛勤付出表示诚挚感谢,并向首届韩国中文教育志愿者技能竞赛获奖人员表示热烈祝贺。她向志愿者教师提出三点希望:一是保持热情,在岗位上精耕细作行稳致远;二是珍重友谊,成为中韩人文交流的友好使者;三是把握机遇,在时代浪潮中缔造美好未来。最后,静炜祝愿志愿者教师们在美好的青春年华,经历成长,收获友爱,遇见更好的未来。

宋达庸部长指出,韩国普通志愿者项目(韩国Chinese program in korea项目)已持续13年,对韩国中文教育发展做出了不可磨灭的贡献。他鼓励志愿者教师作为民间外交官,为促进中韩教育交流合作而不懈努力。

赵刚视频致辞,他首先对此次培训的顺利举办表示热烈祝贺,向奔赴异国他乡从事一线汉语教学的志愿者教师们致以崇高的敬意与慰问。韩外大今年喜迎建校70周年,两校开展合作也已步入而立,友谊历久弥坚。他提出,2024年是国际中文教育志愿者项目实施20周年,孔子学院成立20周年,是韩外大孔院成立15周年,愿以此为契机,踔厉奋发、笃行不怠,合力谱写中韩文化交流新篇章。

此次培训为期两天,共有172名国际中文教育志愿者教师参加。包括韩国延世大学金铉哲教授、韩国外国语大学教授张恩荣、北京外国语大学教授季薇、韩国圣洁大学郑殿辉教授、中国银行首尔营业部杨祺琳等,多位专家学者进行了主题讲座。内容涵盖学术研究、语法教学、社会文化、安全常识等,为志愿者教师提供了多方面的帮助和启发。

培训期间,主办方还播放志愿者项目二十周年特别活动—首届韩国中文志愿者技能竞赛视频集锦,展示了参赛教师风采及本次竞赛成果,并举行了颁奖典礼。竞赛获胜作品展示与教学工作坊环节,参训学员们互通有无,畅所欲言,思想碰撞,获得了许多教学灵感,运用于之后的汉语教学中。

另外,北京外国语大学与韩国外国语大学孔子学院于2012年首次承办在韩国际中文教育志愿者岗中培训项目,至今开办第十一届,累计参训学员达3300余人次。

韩国纽斯频(NEWSPIM·뉴스핌)通讯社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한덕수, 대선 출마 여부에 "노코멘트"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해 "맞대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 대행은 20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양측이 모두 윈-윈(win-win)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한국을 지금의 모습으로 만드는 데는 미국의 역할이 매우 컸다"며 "한국전쟁 이후 미국은 원조, 기술이전, 투자, 안전 보장을 제공했다. 이는 한국을 외국인에게 매우 편안한 투자 환경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 대행은 미국과의 통상 협상에서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 축소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 2025.03.24.gdlee@newspim.com 한 대행은 "협상에서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와 상업용 항공기 구매 등을 포함해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수 있다"며 "조선업 협력 증진도 미국이 동맹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FT는 "비관세 장벽을 낮추는 방안도 논의될 수 있다"고 한 대행이 언급했다고 전했다. 한 대행은 협상 과정에서 "일부 산업이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면서도, 양국 간 무역의 자유가 확대되면 "한국인의 이익도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FT는 방위비 분담금 재협상 여부에 대해서는 사안에 따라 재협상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고 전했다. 한편, 한 대행은 6·3 대통령선거 출마 여부에 대해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았다"며 "노코멘트"라고 답했다. nylee54@newspim.com 2025-04-20 13:43
사진
호미들 중국 한한령 어떻게 뚫었나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중국의 '한한령'(限韓令, 중국의 한류 제한령)이 해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나라 가수가 중국에서 공연을 한 사실이 알려지며 그 배경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18일 베이징 현지 업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3인조 래퍼 '호미들'이 지난 12일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시에서 공연을 펼쳤다. 반응은 상당히 뜨거웠다. 중국인 관객들은 공연장에서 호미들의 노래를 따라 부르기도 하고, 음악에 맞춰 분위기를 만끽했다. 공연장 영상은 중국의 SNS에서도 퍼져나가며 관심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 국적 가수의 공연은 중국에서 8년 동안 성사되지 못했다.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BTS도 중국 무대에 서지 못했다. 때문에 호미들의 공연이 중국 한한령 해제의 신호탄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호미들 공연이 성사된 데 대해 중국 베이징 현지 문화콘텐츠 업계 관계자들은 공연이 소규모였다는 점과 공연이 성사된 도시가 우한이었다는 두 가지 요인을 지목했다. 호미들이 공연한 우한의 우한칸젠잔옌중신(武漢看見展演中心)은 소규모 공연장이다. 호미들의 공연에도 약 600여 명의 관객이 입장한 것으로 전해진다. 중국에서 800명 이하 공연장에서의 공연은 정식 문화공연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된다. 중국에서는 공연 규모와 파급력에 따라 성(省) 지방정부 혹은 시정부가 공연을 허가한다. 지방정부가 허가 여부를 판단하지 못할 경우 중앙정부에 허가 판단을 요청한다. 한한령 상황에서 우리나라 가수의 문화공연은 사실상 금지된 상황이었다. 호미들의 공연은 '마니하숴러(馬尼哈梭樂)'라는 이름의 중국 공연기획사가 준비했다. 이 기획사는 공연허가가 아닌 청년교류 허가를 받아서 공연을 성사시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와 함께 우한시의 개방적인 분위기도 공연 성사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한에는 대학이 밀집해 있으며 청년 인구 비중이 높다. 때문에 우한에는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높다. 게다가 젊은 층이 많은 만큼 우한에서는 실험적인 정책이 시행되어 왔다. 우한시는 중국에서는 최초로 시 전역에서 무인택시를 운영하게끔 허가하기도 했다. 리스크를 감수하면서 파격적인 정책이 발표되는 우한인 만큼, 한한령 상황임에도 호미들의 공연이 성사됐을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베이징의 한 문화업체 관계자는 "우한시가 개방적이라는 점에도 불구하고, 호미들의 공연은 소극적인 홍보 활동만이 펼쳐지는 한계를 보였다"며 "공연기획사 역시 한한령 상황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현지 문화콘텐츠 업체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한국의 최정상급 가수가 대규모 콘서트를 개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어서 빨리 한한령이 해제되기를 기대하고 있지만, 한한령이 해제될 것이라는 시그널은 아직 중국 내에서 감지되고 있지 않다"고 언급했다. 호미들의 중국 우한 공연 모습 [사진=더우인 캡처] ys1744@newspim.com 2025-04-18 13:1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