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본토 타격 신형 ICBM 화성-18형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16나형 노출
北, 파병 조기 노출·기정사실화 부담
참전 가시화땐 군사적 위협 민감 판단
[서울=뉴스핌] 김종원 국방안보전문기자 = 북한은 23일 관영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략미사일기지들을 시찰했다"고 보도했다.
북한은 "당 중앙위원회 1부부장 김정식과 당 중앙위 부부장 김여정이 동행했다"고 전했다.
북한은 "김 위원장이 미사일 기지들의 발사 관련 시설 요소별 기능과 능력, 전투 직일 근무 상태 등 가동 준비태세를 점검했다"고 밝혔다.
![]() |
북한은 23일 관영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략미사일기지들을 시찰했다"고 보도했다. 북한이 지하 터널화된 전략미사일기지들을 실제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진=조선중앙통신] |
북한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정세 요구에 맞게 상시 긴장한 태세로 전투 직일 근무를 수행하는 것을 격려했다"면서 "미국의 전략적 핵수단들이 북한의 안전 환경에 주는 위협은 날로 가증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김 위원장은 "전망적인 위협들도 전쟁 억제력을 보다 확실히 제고하고 핵무력의 철저한 대응태세를 엄격히 갖출 것을 절박하게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전략미사일 기지들을 더욱 현대화·요새화하고 모든 기지들이 각이한 정황 속에서도 임의의 시각에 신속히 전략적 반타격을 가할수 있게 철저한 대응태세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북한은 23일 관영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략미사일기지들을 시찰했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이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신형 고체연료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8형을 배경으로 보고를 받고 있다. [사진=조선중앙통신] |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북한 매체나 김정은이 '전략미사일기지'를 언급한 적은 있지만, 실제 장소를 일부라도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분석했다.
홍 선임연구위원은 "미국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신형 고체연료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화성-18형과 함께 최대 3500~4000km급으로 미국 괌기지와 일본 전구에 대한 타격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는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16-나형 사진을 공개했다"고 말했다.
홍 선임연구위원은 "김정은이 좁은 숲길을 따라 기지로 들어가는 것을 공개한 것은 전략미사일 기지가 평양 인근 출입구가 은폐된 터널화된 기지로 추정된다"면서 "'신속히 전략적 반타격'을 가할 수 있는 생존성 차원의 터널화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 |
북한은 23일 관영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략미사일기지들을 시찰했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이 괌 미군기지와 주일 미군기지를 타격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는 극초음속 미사일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조선중앙통신] |
북한이 전략미사일기지와 전략무기를 공개한 의도에 대해 홍 선임연구위원은 "러시아 파병 또는 군사 지원에 따른 위기 조성에 대비한 대미 억제력를 과시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
또 홍 선임연구위원은 "한국의 파병에 대한 단계적 조치와 대북 강경 태도에 대응한 무력 과시 차원으로 보인다"면서 "북러 군사동맹이 핵보유국들 사이의 동맹임을 환기시키는 차원도 있다"고 분석했다.참
홍 선임연구위원은 "미국 대선이 임박한 가운데 파병 현실화 국면에서 자극적인 무기 시험보다는 전략미사일기지 공개로 대미 메시지를 발신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홍 선임연구위원은 "파병 징후가 조기 노출되고 기정 사실화되는 것에 대해 북한이 크게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특히 참전이 가시화될 때 북한에 대한 미국과 한국 등의 군사적 위협을 민감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kjw86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