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까지 성장률 2.1% 전망돼 성장 둔화 지속
무역 회복세 주도로 세계 경제 성장률 3.3% 예상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우리나라 경제성장 전망치를 소폭 하향조정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는 4일 오전 10시(현지시각) '불확실성 시대의 회복력'이란 부제로 경제전망을 발표했다.
이 가운데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당초 2.5%에서 2.3%로 0.2%포인트(p) 내려앉았다. 내년 성장률은 당초 2.2%에서 0.1%p 낮춘 2.1%로 전망됐다. 2026년에도 2.1% 수준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됐다.
![]() |
OECD는 견조한 글로벌 수요가 수출을 지탱하고, 금리 하락과 실질임금 상승으로 올해 말부터 민간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물가상승률의 경우 단기적으로 목표를 하회하는 가운데, 실업률은 낮게 유지되며, 여성 및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 확대가 고용을 증가시킬 것으로 전망됐다.
내년에는 기준금리가 2.5%까지 낮아지고 물가상승률이 목표인 2%로 회복될 것으로 전망됐다. 또 지난해와 올해의 세수 부족이 부분적으로 회복돼 재정 건전화가 진행될 것이라는 게 OECD의 전망이다.
OECD는 연금개혁과 함께 재정 준칙이 빠른 고령화로 인한 지출부담 완충에 도움을 줄 것으로 평가했다. 이민이 노동력 부족 완화에 도움이 될 것이며, 노동시장 개혁이 일자리 매칭을 개선하고 자녀양육의 기회비용과 노인빈곤을 낮출 수 있다고 권고했다.
이와 함께 OECD는 최근 세계경제가 회복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지난해 약세를 보였던 세계 무역은 상승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세계경제는 올해 3.2%, 2025년과 2026년은 3.3%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biggerthanseou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