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상황 담당 2차장 아닌 1차장에 사무 부탁은 비상식적"
[서울=뉴스핌] 김현구 박서영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4일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의 진술에 대해 "국정원은 수사권이 없고 검거는 커녕 위치추적을 할 수 없다. 말이 안 된다"고 말했다.
헌법재판소는 이날 오후 2시부터 윤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 5차 변론기일을 진행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증인으로 출석한 홍 전 차장에 대해 "계엄 상황 담당인 2차장도 아닌 1차장에게 계엄사무를 부탁한다는 것은 비상식적"이라고 주장했다.
[서울=뉴스핌]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대통령이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5차 변론에 출석해 있다. 2025.02.04 photo@newspim.com |
앞서 이날 증인으로 출석한 홍 전 차장은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뒤 전화로 '이번 기회에 싹 다 잡아들여'라고 지시했으며 이를 말뜻 그대로 받아들였다"며 "당시 통화 내용을 보면 대상자, 목표물을 지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누군가를 잡아야 한다는 생각만 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치인 체포 명단 메모와 관련해 "밤에 서서 메모하는데 또박또박 다 적을 수 있는 상황 아니었다"며 "반 정도 적다가 기억을 회복해서 다시 적어 보니 16명 정도 됐다"고 주장했다.
홍 전 차장은 명단을 보고 어떤 생각이 들었냐는 질문에 "뭔가 잘못됐구나 생각이 들었다"며 "이미 철수됐지만 군이 안정화되지 않았다고 생각했고, 그 상황에서 향후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을지 다수 우려를 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그는 "그날 밤 국회에서 일어난 일들은 방송을 통해 전 국민이 지켜봤기 때문에 계엄군이 철수하고 계엄 해제된 것이 모든 것이 다 일어나지 않았다고 볼 수 없다"며 "지금 생각해도 윤 대통령이 진심으로 국민에게 사과하고 당시 여러 마음 심경을 말했다면 국민들이 훨씬 더 설득력이 있지 않았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윤 대통령은 측은 "여인형 전 국군 방첩사령관은 조금 전 대통령으로부터 체포 지시를 받은 적 없다고 증언하고 갔다"고 지적했다.
이에 홍 전 차장은 "불러준 것을 받은 것"이라며 "변호인께서는 10여명이 넘는 명단을 제가 지어냈다고 생각하는가"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아울러 홍 전 차장은 "제가 작전을 지시하거나 책임지는 책임자가 아니었다"며 "옳은지 그른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들은 이야기를 전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여 전 사령관, 홍 전 차장에 대한 증인신문을 진행한 헌재는 오는 6일 6차 변론기일에서 곽종근 특수전사령관, 김현태 특수전사령부 707특별임무단장 등에 대한 증인신문을 진행할 방침이다.
hyun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