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대행 "해병대사령부 검토 후 국방부 건의할 것
현재 해병대에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어"
[서울=뉴스핌] 김종원 국방안보전문기자 =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은 20일 박정훈(대령) 해병대 전 수사단장의 복직과 관련해 "현재 해병대사령부에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김 대행은 이날 오전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의원의 관련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추 의원은 해병대 채 상병의 부대장인 임성근(소장·56·해사 45기) 전 1사단장이 오는 2월 25일 전역하는 것과 관련해 "국방부나 해병대 내부 차원에서 조직 기강을 위해 임 전 사단장이 징계 없이 나가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 |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해병대 채상병 순직 사건과 관련해 항명과 상관명예훼손 혐의로 1심 재판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이 9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 군사법원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자리해 있다. 2025.01.09 choipix16@newspim.com |
추 의원은 "임 전 사단장을 징계 회부 할 수 있는지, 앞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도 자료를 제출해 달라"면서 "조직적 정의와 부정의 차원에서 현재 무보직 상태인 박 전 수사단장의 복직에 대해 적극 나서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김 대행은 박 전 수사단장의 복직과 관련해 "현재 해병대사령부에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국방부에 건의할 것으로 알고 있으며 건의가 올라오면 국방부 차원에서 살펴보겠다"고 답했다.
임 전 사단장은 수해 실종자 구조작전에 나섰다가 순직한 채 상병의 부대장이다. 채 상병 순직 사건 수사 과정에서 외압 의혹의 핵심 인물로 지목돼 왔다. 임 전 사단장은 오는 25일 전역 예정이다.
군 소식통에 따르면 해병대는 지난 2월 11일 국방부에 임 소장 전역을 상신했다. 임 소장은 해병대 정책연구관 임기 만료에 따라 25일 전역하게 된다.
임 소장은 지난해 11월 장성급 장교 정기인사에서 정책연구관에 보직됐다. 장성급 장교는 보직 기간이 끝난 뒤 다른 직위를 받지 못하면 예편해야 한다.
반면 박 전 단장은 채 상병 순직 사건 수사 과정에서 항명 혐의로 군검찰에 구속 기소됐다. 다만 군사법원의 지난 1월 9일 1심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
이에 따라 시민단체와 야당은 박 대령의 1심 무죄 판결 이후 박 전 단장의 복직을 국방부에 촉구하고 있다.
주일석(중장·해사 46기) 해병대사령관은 최근 박 전 단장을 면담해 사령부 안으로 근무지를 옮길 것을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주 사령관은 박 전 단장 면담에서 복직과 함께 보직 부여 뜻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해병대는 박 전 단장의 기존 보직은 복귀가 어렵고 다른 보직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kjw86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