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협력과 환경 최적화로 이룬 성과
멸종위기종 황새, 생태계 건강 지표 부상
[김해=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 김해시는 황새 텃새화 사업의 거점지인 화포천습지 봉하뜰에서 황새 새끼 3마리가 지난달 28일 성공적으로 부화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부화 성공은 김해시가 2022년부터 추진해 온 황새 텃새화 사업의 실질적인 전환점으로 향후 황새의 자연 정착과 개체 복원에 큰 디딤돌이 될 전망이다.
![]() |
경남 김해시가 황새 새끼 3마리 첫 부화에 성공했다. [사진=김해시] 2025.04.02 |
지난 2월 황새 부부 'A14(수컷)', '(좌)백(암컷)'이 산란한 5개의 알은 모두 무정란으로 부화가 되지 않아, 국가유산청, 예산황새공원 전문가들과 협의한 끝에 예산황새공원 내 건강한 알 4개와 교체하는 절차를 조심스럽게 진행했다.
지난해 번식 실패의 원인을 면밀히 분석하고 교미 실패로 인한 무정란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구조적 대응책을 마련한 것이다. 전문가들이 개체 복원 번식을 유도하기 위한 알 교체 작업 후 최적의 환경을 구축하고 지속적인 포란 관리를 한 끝에 3마리의 새끼 황새는 건강하게 세상 밖으로 나올 수 있었다.
부화된 새끼들은 예산황새공원 전문가들의 정밀 모니터링에 의해 매일 먹이 공급, 위생관리 등을 받고 있으며 오는 7월 자연 방사 전까지 안정적으로 잘 성장할 수 있도록 철저하게 보호 관리된다.
시는 지난 2022년 10월 충남 예산 황새공원에서 자란 암컷 황새 '금이'와 수컷 '관이'를 입식해 봉화뜰에 정착시켰으나 이듬해 암컷이 폐사하는 시련을 겪었다. 이후 2023년 11월 새로운 한 쌍인 'A14(수컷)', '(좌)백(암컷)'을 도입해 번식을 시도했다. 2024년 1월 5개의 알을 산란하고 2월에 추가로 4개를 산란해 부화를 기다렸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여러 차례의 실패와 아픔이 있었지만 시는 전문가들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개체 복원 생존 가능성을 끌어올리는 데 집중했다.
황새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이자 천연기념물 제199호로 지정된 희귀 조류로 건강한 습지 생태계 지표종으로 꼽힌다. 이번 유조 부화는 김해시가 황새가 살 수 있는 건강한 환경을 갖추고 있다는 증거다.
이용규 시 환경정책과장은 "이번 부화는 전문가들과의 협력과 치밀한 환경 조성 덕분에 이뤄진 값진 성과로 황새의 안정적인 번식 기반을 마련한 뜻깊은 출발이다"며 "앞으로 황새가 자연 속에서 자생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환경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