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4분기 주택구입부담지수(K-HAI) 63.7… 직전 대비 2.6p 올라
서울은 150.9로 전국 최고… 소득 40% 이상을 대출 상환에 사용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지난해 4분기 주택 구입에 따른 금융 부담을 나타내는 지수가 2년 3개월 만에 다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금리 인하와 이에 따른 부동산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집값이 상승세를 나타내면서 차주들이 매달 내야 할 금융 비용도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 |
전국 평균 주택구입부담지수 분기별 변동 추이. [자료=한국주택금융공사(HUG)] |
9일 한국주택금융공사(HUG)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전국의 주택구입부담지수(K-HAI)는 63.7로 전 분기(61.1)보다 2.6포인트(p) 상승했다. 2022년 3분기(89.3) 이후 지난해 2분기(61.1)까지 7분기 연속 하락하다가 반등했다.
주택구입부담지수란 중위소득 가구가 표준대출을 받아 중간가격의 주택을 구입할 때의 상환부담을 나타내는 지수다. 표준대출 조건은 총부채상환비율(DTI) 25.7%, 주택담보대출비율(LTV) 47.9%의 20년 만기 원리금 균등 상환으로 가정한다.
이 지수가 63.7이라는 것은 가구당 적정 부담액(소득의 25.7%)의 절반 이상이 주택담보대출 원리금으로 빠져나간다는 의미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의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직전 분기(150.9) 대비 7.0p 오른 157.9로 집계됐다. 적정 부담액보다 훨씬 높은 전체 소득의 40.6%를 주담대 원리금 상환에 쓴 셈이다. 지수가 100을 넘는 지역은 서울이 유일했다.
세종(96.9)이 그다음으로 높았다. 경기(83.8) 제주(75.6) 인천(68.7) 대전(64.3) 부산(64.2) 등이 뒤를 이었다.
전국 평균보다 낮은 지역은 대구(57.5) 광주(52.9) 울산(47.8) 강원(38.9) 경남(38.6) 등이다. 경북은 30.4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고하희 대한건설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지난해 8월부터 대출 규모의 증가 폭이 감소하기 시작하며 대출 규모 증가세가 서서히 둔화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라며 "다만 정부는 최근 기준금리 인하에 따라 시중 은행들의 대출금리도 인하의 필요성을 언급하면서도, 동시에 가계대출 규제 강화를 언급하는 등 상반된 기조를 보여 시장의 불확실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