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 대통령실, 내란의 본산…도·감청 보안에도 매우 취약"
"한시적으로 청와대 재이전…적은 비용으로 빨른 이전 가능"
[서울=뉴스핌] 박찬제 기자 =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한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14일 "용산 대통령실을 단 하루도 사용해서는 안 된다"며 서울 청와대와 세종에 각각 집무실을 두고 함께 사용하자고 주장했다.
김 전 지사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자신의 경선 캠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는 '내란의 완전한 종식'부터 국민 앞에 약속해야 한다"며 "그 첫걸음으로 내란의 본산인 용산의 대통령실을 단 하루도 사용하지 않을 것을 여야가 함께 약속할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 |
[서울=뉴스핌] 박찬제 기자 =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13일 세종특별자치시청 브리핑룸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하고 있다. 2025.04.13 pcjay@newspim.com |
그는 용산 대통령실에서 나와야 하는 이유에 대해 "불법으로 쌓아올린 내란의 소굴에서 새 대통령이 집무를 시작한다는 건 내란의 잔재와 완전히 결별하지 못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김 전 지사는 또 "대한민국 핵심 전시 지휘부가 몰려 있는 곳에 만에 하나 군사적 공격이 이뤄진다면 어떻게 되겠나"라며 "애초에 용산으로의 대통령실 이전은 국가안보를 염두에 두지 않은 조치"라며 안보 문제를 지적했다.
이어 "게다가 지금의 용산 대통령실은 도·감청 보안에도 매우 취약하다"며 "방공망, 보안 장비 등 군사적 방호 시설도 기존 청와대에 비해 부족하다"고 거듭 꼬집었다.
김 전 지사는 "더 시간을 지체할 이유가 없다"며 "여야가 장소만 빨리 합의하고 정부가 바로 이전 작업에 착수한다면 다음 대통령은 취임과 동시에 용산이 아닌 집무실에서 임기를 시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구체적 방안으로 "중장기적으로는 2027년 준공 예정인 세종 제2 집무실로의 이전이 가능하다"면서도 "지금은 한시적으로 청와대로 재이전하는 게 가장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김 전 지사는 청와대 개방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에 대해서는 "청와대 개방과 함께 일부 시설이 철거돼 재설치 부담이 있다"면서도 "그러나 완전히 새로 설치해야 하는 다른 곳에 비해 적은 비용으로 빠르게 이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역설했다.
그는 "대선 직후 입주할 곳과 세종 집무실에 대한 준비를 동시에 시작해야 한다"며 "권한대행 체제의 정부가 책임질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국회가 나서주실 것을 요청한다"고 촉구했다.
김 전 지사는 대통령실 이전을 위해 개헌보다는 국회의 입법을 통한 근거 마련을 요구했다. ▲서울과 세종의 사용 가능한 공간에 대한 검토 및 합의 ▲대통령실 이전에 따른 예산 사용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등이다.
pcja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