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사고 수습 및 정보보호 체계 점검 지시
정치권, 신속한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책 촉구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SK텔레콤 시스템 해킹 사고가 발생한 이후, 국내 산업계와 금융권은 물론 정부와 정치권까지 사태 수습과 피해 확산 방지에 총력 대응하고 있다. 대규모 고객 정보 유출 우려로 대기업과 금융기관들은 유심(USIM) 교체를 독려하는 등 긴급 조치에 나섰고, 정부는 관련 부처를 동원해 SK텔레콤의 대응 적정성 점검 및 정보보호 체계 개선을 지시했다. 정치권 역시 재발 방지를 위한 철저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며 긴박하게 움직이고 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2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SK텔레콤의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및 유심 교체 조치의 적정성을 면밀히 점검하라고 긴급 지시했다.
현재 정부는 과기정통부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관계 부처가 협력해 국민 불편 해소와 정보보호 체계 점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SK텔레콤 역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사고 사실을 신고하고, 합동조사를 받고 있으며, 조사 결과가 나오기까지 한 달 이상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사진은 기사와 무관. [사진=뉴스핌DB] |
SK텔레콤은 지난 18일 해커에 의해 사내 시스템이 침입당해 일부 고객의 가입자 식별번호(IMSI), 단말기 고유식별번호(IMEI), 유심 인증키 등 주요 정보가 유출된 사실을 확인했다. 해커가 탈취한 정보를 이용해 복제폰을 만들어 기업 기밀 유출이나 부정 금융거래를 시도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재계와 금융권은 발빠르게 대응에 나섰다.
삼성, 현대차, 포스코, 한화 등 주요 대기업들은 SK텔레콤 이용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유심 교체를 권고하거나 지시했다. 삼성은 최근 삼성전자를 포함한 주요 계열사 임원들에게 "SKT 이용자는 전원 유심을 교체하라"는 공지를 내렸다. 실제 대부분의 임원이 이미 유심을 교체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계열사별로 유심 교체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도 함께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차그룹도 임원들에게 유심 교체를 안내했으며, 포스코와 HD현대, 한화 등도 비슷한 조치를 취했다. 금융권 역시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휴대전화 본인인증이나 문자 인증만으로 거래가 완료되는 경우 추가 인증수단을 도입하라고 권고했으며, 일부 보험사는 SK텔레콤 본인인증 서비스를 중단하는 등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유심 무상 교체 조치가 발표됐음에도 물량 부족으로 인한 혼선이 이어지면서 대응이 미흡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특히 디지털 소외계층은 오프라인 교체 방식에 의존해야 해 불편을 겪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정치권에서도 이번 사고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하며 정부와 SK텔레콤에 신속하고 철저한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 |
사진은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와 임원들이 지난 25일 오전 SK텔레콤 T타워 4층 SUPEX홀에서 열린 SK텔레콤 고객 정보 보호조치 강화 관련 언론설명회에 참석 유심 무상 교체를 발표후 머리숙여 사과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핌DB] |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논평을 내고 사고 발생 일주일이 넘도록 미흡한 수습으로 고객들이 불안에 떨고 있는 만큼 정부가 SK텔레콤과 함께 재발방지 대책을 철저히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해킹 경로와 사유가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국민 불안은 커지고 있다"며 "정부와 SK텔레콤은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사고 수습에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전했다.
한편 SK텔레콤은 지난 22일부터 무단 기기 변경 차단, 해외로밍 제한 등의 유심 보호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으며, 오는 28일부터 희망자에 한해 유심 무상 교체를 시행할 예정이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