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크로 차단·검색 제한 등 대응 강화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네이버는 오는 6월 3일 치러지는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맞춰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 제공을 위한 '대통령 선거 특별페이지'를 운영하고, 매크로 활동과 부정행위 대응을 위한 기술적·정책적 조치를 강화한다고 30일 밝혔다.
네이버는 지난 29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특별페이지'를 개설하고, 후보자 정보 서비스 운영 기준을 함께 공개했다.
이번 특별페이지는 ▲언론사가 직접 선정한 주요 선거 기사를 모은 '언론사 PiCK' ▲여론조사 보도, 분석, 특집 기사 등을 통합 제공하는 '여론조사' ▲선거 당일 방송사의 특보 생중계 및 출구조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특집 라이브' 등으로 구성된다.
![]() |
[사진=네이버] |
뉴스 댓글 운영은 기존 정책을 유지한다. 네이버는 2018년 10월부터 '언론사별 댓글 선택제'를 시행 중이며, 선거 섹션 뉴스도 언론사의 정책에 따라 댓글 운영 여부 및 정렬 방식이 결정된다. 기본값은 댓글 미운영 또는 최신순 정렬이며, 본인 확인을 완료한 이용자만 하루 20개까지 댓글을 작성할 수 있다.
매크로 활동과 온라인 부정행위 차단을 위해 네이버는 뉴스 댓글 집중 모니터링 전담 인력을 보강하고, 각 부서 간 핫라인 체계를 구축해 24시간 모니터링을 시행한다. 선거 기간 중 후보자 관련 댓글 삭제 요청은 KISO(인터넷자율정책기구) 정책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판단에 따라 처리된다.
이와 함께 특정 댓글에 공감 또는 비공감이 집중될 경우, 기사에 안내 문구를 표시하고 해당 언론사에도 알림을 발송하는 기술도 이달 29일부터 적용됐다. 이는 댓글로 인한 갈등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후보자 등록이 마감되는 오는 5월 11일부터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제공하는 이름, 사진, 출생, 직업, 학력 등 후보자 정보를 네이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후보자명과 관련한 검색 기능도 제한된다. 이용자가 후보자의 이름을 정확히 입력하더라도 자동완성 기능은 제공되지 않으며, 검색어 제안 기능에서도 후보자명이 노출되지 않는다. 이는 2022년 제20대 대통령선거,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선거 등에서 적용된 선거 기간 검색 정책과 동일하게 운영된다. 오타로 추정되는 경우에도 후보자명이 검색어 제안에 포함되지 않는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