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DSA와 PQC(ML-DSA) 원하는 하이브리드 보안 플랫폼 제공 계획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차량용 보안 및 통신 시스템 반도체 전문 기업 라닉스가 자동차 및 공공 모빌리티 분야로 PQC 기술 적용을 확대하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기존 보유하고 있는 고속의 차량용 ECDSA 서명 검증 플랫폼에 PQC(ML-DSA) 보안 기술을 접목해 양자컴퓨터를 이용한 해킹에도 대응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보안 솔루션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PQC(ML-DSA)를 기반으로 초당 수 천회 이상의 서명검증을 처리할 수 있는 가속기 엔진 개발이 목표다.
![]() |
라닉스 로고. [사진=라닉스] |
최근 선진국을 주축으로 양자컴퓨터의 개발은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미 라이프 사이클이 긴 특정 산업군에서는 양자컴퓨터 시대를 대비한 암호체계 구축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자동차 산업에서도 차량 내부 시스템 보호, 내·외부 데이터 통신 보안 및 OTA 업데이트 보안등에 양자내성암호(PQC)의 적용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라닉스는 자동차용 통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고속의 양자내성암호 개발에 착수했다. 자동차 통신 보안의 경우, 초당 수 천회에 이르는 고속의 서명, 검증을 수행해야 한다. 라닉스는 국제 표준의 서명, 검증 양자내성암호 알고리즘인 ML-DSA를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한 하드웨어 가속기를 개발함으로써, ECDSA 서명 검증 플랫폼과 더불어 ML-DSA 알고리즘의 자동차 통신에 적용 가능성을 선제적으로 검증하고, 시장을 선도할 계획이다.
라닉스는 이미 V2X 통신의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IEEE 1609.2 보안 표준의 고속 전용 칩과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개발을 통해 고속의 양자내성암호 서명, 검증 솔루션을 확보하게 되면 앞으로 다가올 도로상의 두개의 보안 표준을 모두 만족하는 하이브리드 암호 솔루션 제공이 가능하다. 회사는 이번 개발을 통해 양자 보안기술의 적용분야를 확대하고 글로벌 자동차 통신 시장 내 선도 기업으로 입지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