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수출 4.9% 감소 전망...단가 협상 애로"
한경협, 대미 관세 불확실성 해소 방안 제언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는 미국의 잦은 관세정책 변경으로 기업들이 불확실성을 크게 느끼고 있다고 밝혔다. 관세분쟁에 따른 글로벌 경기 악화도 주요한 어려움으로 지적됐다. 한경협은 정부가 비관세장벽 해소 등 성공적인 대미 협상으로 관세 인상 영향을 최소화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26일 한경협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매출 1000대 기업 중 수출기업 150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미국 트럼프 정부 관세정책의 영향 및 대응과제'를 주제로 한 이번 조사에서, 기업들은 다양한 애로사항을 호소했다. 주요 애로사항으로는 관세정책 잦은 변경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24.9%), 관세분쟁에 따른 글로벌 경기 악화(24.0%), 수출 감소(18.8%), 환율 리스크 증가(17.5%), 중국 덤핑수출 피해(10.5%) 등이 꼽혔다.
![]() |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경영애로 [사진=한경협] |
기업들이 겪는 실무상 어려움으로는 미국 수입업체와의 단가 조정 협상(53.4%)이 가장 많았다. 현지 통관절차 관련 정보 부족(21.3%), 원산지 판정 기준 관련 세부정보 파악 어려움(13.3%) 등이 뒤를 이었다.
미국 관세정책이 지속될 경우 기업들은 올해 수출이 지난해 보다 평균 4.9%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업종별로는 전기·전자 8.3%, 자동차·부품 7.9%, 석유화학·석유제품 7.2%, 일반기계 6.4%, 반도체 3.6%, 철강 2.8% 순으로 감소할 것으로 응답했다. 반면 선박(10.0%)과 의료·바이오헬스(1.6%)는 증가가 예상됐다.
같은 조건에서 국내 수출 대기업들의 매출은 6.6%, 영업이익은 6.3% 줄어들 것으로 분석됐다.
기업들의 대응방안으로는 수출시장 다변화(26.9%), 글로벌 생산·조달·물류 구조 재조정(19.8%), 환율리스크 관리 강화(16.5%), 동종업계 공동 대응체계 구축(15.1%), 원자재 리스크 관리(12.3%), 투자 연기 및 축소(7.6%) 등이 꼽혔다.
정부에 바라는 대응책으로는 미국과의 협상을 통한 관세율 최소화(44.6%)가 가장 많았고, 수출시장 다변화 지원(13.6%), 면세 대상 품목 확대(13.1%), 경쟁국과의 동일한 관세율 적용(9.4%), 수출 애로 업종에 대한 금융·세제지원(9.4%) 순으로 나타났다.
원활한 대미 협상을 위해 정부가 사전에 추진해야 할 과제로는 미국이 지적하는 비관세 장벽 해소(45.3%)가 가장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금리 인하(23.4%), 조선산업 협력방안 제시(12.5%), 미국산 제품 수입 확대(8.9%)도 필요한 과제로 응답됐다.
![]() |
미국 관세정책에 대한 기업 대응방안 [사진=한경협] |
한편 기업들은 올해 원·달러 환율을 평균 1433.2원으로 예상했다. 환율 리스크 대응방안으로는 수출입 단가 조정(22.3%), 수출시장 다변화(20.8%), 기업 경쟁력 강화(19.8%), 수입처 다변화(17.3%), 환헤지 전략 확대(10.1%) 순으로 나타났다.
미국 정부의 관세정책이 우리나라와 미국 기업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은 81.3%에 달했다. 관세분쟁이 최소 6개월 이상 지속될 것으로 본 기업도 84.0%에 이르렀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미중 간 한시적 관세 인하 합의에도 불구하고, 무역적자 지속과 신용등급 강등 등으로 관세정책 불확실성은 여전히 크다"며 "정부는 미국 관세정책 변화 양상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비관세장벽 해소와 기업 피해 최소화를 위한 협상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