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글로벌경제

속보

더보기

[글로벌 마켓 리포트 7월 1일]

기사입력 : 2025년07월01일 11:01

최종수정 : 2025년07월01일 11:02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6월 마지막 거래일인 30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최고치로 마감했다.

뉴욕 증권 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75.50포인트(0.63%) 오른 4만 4094.77에 마감했다.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31.88포인트(0.52%) 상승한 6204.95에 거래를 마쳤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96.27포인트(0.47%) 전진한 2만369.73에 거래를 마쳤다.

다우지수는 사흘째 올랐고, S&P500지수도 사흘째 오르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나스닥지수는 6거래일 연속 상승해 역시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이번 상승은 캐나다가 미국 기술기업을 겨냥한 디지털세 부과를 시행 직전 자진 철회한 데 따른 것이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의 무역 협상을 전면 종료하겠다"고 밝힌 지 이틀 만의 조치다.

투자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7월 9일 무역 시한 전에 추가 합의가 나올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다.
금리 인하 기대감도 증시를 뒷받침했다.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다음 연방준비제도(Fed·연준) 회의에서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인하될 가능성은 21%로, 일주일 전의 15%에서 상승했다.

또한 분기 말에는 펀드 매니저들이 보유 종목을 조정해 수익률을 좋게 보이게 하려는 '윈도 드레싱(window dressing)' 효과도 증시 상승에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분기 기준으로 S&P500지수는 10% 넘게 올랐고, 나스닥은 18% 가까이 뛰었다. 다우지수는 같은 기간 5% 올랐다. 지난 6월 한 달 기준으로는 S&P500지수가 5% 가까이, 나스닥은 6% 넘게, 다우지수는 4% 넘게 각각 상승했다.

미국 국채금리는 하락세를 보였다.

이날 미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4.9bp(1bp=0.01%포인트) 내린 4.234%를 기록했다. 다만 6월 한 달 기준으로는 43bp 상승했고, 2분기 전체로는 74bp 올라 지난해 12월 이후 가장 큰 분기 상승폭을 보였다. 30년물 금리 역시 5.5bp 하락한 4.792%를 나타냈다. 2분기 누적으로는 17bp 상승했다.

단기물인 2년물 금리는 1.7bp 내린 3.723%에 마감했다. 6월 기준으로는 19bp, 분기 기준으로는 18.9bp 떨어졌으며, 상반기 전체로는 53bp 급락해 2020년 1분기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규모 감세·재정지출 법안을 의회에 제출했고, 미 상원은 주말 사이 해당 법안에 대한 토론을 허용하는 절차적 표결을 간신히 통과시켰다.

다만 채권시장은 아직까지는 신중한 분위기다. 공화당 내부에서는 법안 통과 시 최대 3조300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재정 적자를 놓고 의견이 엇갈리는 상황이다. 상원은 법안 표결에 앞서 무제한으로 상원의원들이 수정안을 제출하고, 표결에 부칠 수 있는 표결 마라톤에 돌입했다.

이번 감세안과 더불어 시장 이목은 7월 3일 발표 예정인 6월 비농업부문 고용보고서로 향하고 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6월 신규 고용자 수가 11만명으로 전월(13만9000명)보다 줄어들고, 실업률은 4.2%에서 4.3%로 소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고용 시장 둔화 신호가 뚜렷해질 경우 연준의 금리 인하 논의에 힘이 실릴 수 있다는 분석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감세 법안과 함께 무역정책도 시장의 이목을 끌고 있다. 미국은 유럽연합(EU)과 10% 보편관세 도입을 골자로 한 무역협정을 논의 중이며, 중국과 희토류 자원에 대한 기존 합의를 일부 수정했다.

무역 불확실성 속에 미국 달러화는 주요 통화 대비 약세를 이어가고 있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의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화지수는 이날 0.35% 하락한 96.86을 기록하며 6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는 1970년대 이후 최악의 반기 성적이다.

유로/달러는 이날 장중 1.1780달러까지 오르며 지난 2021년 9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유로는 6월 한 달 달러 대비 3.8%, 올해 들어서는 14% 상승했다. 달러는 이날 엔화 대비로는 0.36% 떨어진 144.45엔을 기록했다.

국제 유가는 소폭 하락했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브렌트유 8월물은 배럴당 16센트(0.2%) 하락한 67.61달러에 마감됐고, 이보다 활발히 거래된 9월물은 66.74달러에 마감됐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8월물은 41센트(0.6%) 내린 65.1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스라엘-이란 무력충돌이 끝나 중동 지역 긴장이 완화됐고, 기록적인 미국 생산량 증가가 유가 하락을 부추겼다.

미 에너지정보청(EIA)이 발표한 석유 공급 월간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원유 생산량은 4월에 일일 1347만 배럴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3월의 1345만 배럴에서 증가했다.

OPEC+가 5월, 6월, 7월에 이어 8월에도 일일 41만 1000배럴 증산을 단행할 예정이란 로이터 통신의 보도도 나왔다. 만약 증산이 확정되면 올해 OPEC+의 총 공급 증가는 178만 배럴에 달하며, 이는 전 세계 수요의 1.5% 이상에 해당한다.

금값은 달러 약세에 힘입어 소폭 상승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선물 8월물은 트로이 온스(1ozt=31.10g)당 전날보다 0.6% 상승한 3307.70달러에 마감했다.

유럽 주요국 증시는 대체로 소폭 하락했다.

범유럽 지수인 STOXX 600 지수는 전장보다 2.26포인트(0.42%) 내린 541.37로 장을 마쳤다. 개장 직후 1.26포인트 오르며 반짝 상승세를 기록했지만 곧 내리막을 타면서 하루 종일 약세를 보였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지수는 123.61포인트(0.51%) 떨어진 2만3909.61에,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37.95포인트(0.43%) 하락한 8760.96으로 마감했다.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25.64포인트(0.33%) 내린 7665.91로 장을 마쳤다.

반면 이탈리아 밀라노 증시의 FTSE-MIB 지수는 50.01포인트(0.13%) 오른 3만9792.22에, 스페인 마드리드 증시의 IBEX 35 지수는 22.90포인트(0.16%) 상승한 1만3991.90으로 마감했다.

미국의 관세 부과 유예 종료 시점이 거의 막바지에 다다르자 협상을 둘러싼 물살은 점점 거칠어지고 가속도가 붙는 양상이다. 시장은 낙관도 비관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 각국의 움직임을 긴장된 표정으로 면밀히 주시하는 분위기였다. 관세 유예 조치는 7월 8일 종료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긴장감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렸다. 지난 29일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관세 유예 시한을 연장할 것인지 묻는 질문에 "굳이 그럴 필요는 없을 것"이라며 9일 이전에 각국에 10~50% 관세율이 적힌 편지를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섹터 중에서는 지속적인 상승세를 실현하고 있는 방산이 1.15% 올라 월간 기준으로 6개월 연속 상승이라는 기염을 토했다. 로이터 통신은 "2분기 방산 섹터는 분기 기준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말했다.

반면 재생에너지 기업들은 약세를 면치 못했다. 미국 상원에서 공화당이 밀어붙이고 있는 트럼프의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에 오는 2028년까지 태양광과 풍력, 에너지 세금 공제를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내용이 담기면서 타격을 받은 것이다.

세계 1위 풍력 터빈 업체인 덴마크의 베스타스는 5.9% 하락했으며, 세계 4위 풍력발전 기업인 포르투갈의 EDP 레노바베이스는 4.3%, 글로벌 해상풍력 1위 기업인 덴마크의 오스테드는 2.9% 하락했다.

인도 증시는 하락했다. 센섹스30 지수는 0.54% 내린 8만 3606.46포인트, 니프티50 지수는 0.47% 하락한 2만 5517.05포인트로 거래를 마쳤다.

직전 거래일까지 4거래일 연속 상승 뒤 차익 실현 물량이 출회하며 하락을 압박한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 섹터가 역대 최고 수준까지 오른 뒤 차익 실현 주문이 지정학적 긴장 완화에 따른 낙관론을 압도했다.

이날 제약 섹터에서 많은 소식이 전해졌다.

우선 시가치 인더스트리(Sigachi Industries)가 12% 급락했다. 인도 남부 텔랑가나주 파샤밀라람의 시가치 화학 산업 단지에서 원자로가 폭발하는 대형 악재가 터졌다.

반면 알렘빅 파마(Alembic Pharma)는 5.2% 급등했다. 난소암 등 일부 암 치료 주사제가 미국 당국의 승인을 받았다는 소식이 호재가 됐다.

토렌트 파마(Torrent Pharma)도 2.1% 올랐다. 사모 펀드로부터 JB 케미칼 앤드 파마(JB Chemicals and Pharmaceuticals) 지분 46.4%를 인수하기로 한 것이 재료가 됐다. 반면 JB 케미칼 앤드 파마는 6.9% 급락했다.

wonjc6@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내란 특검 "박성재 영장 기각 납득 어렵다"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 중인 내란 특별검사(특검)가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에 대한 구속영장이 기각되자 재청구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박지영 특검보는 15일 브리핑에서 "법원의 결정은 존중돼야 한다고 생각하나 박 전 장관에 대한 구속영장 기각은 법무부 장관의 지위나 헌법적 책무, 사안의 중대성 등을 고려할 때 납득하기 어렵다. 특검은 신속히 법원의 판단을 다시 받는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사진=뉴스핌DB] 박 특검보는 "특히 기각 사유로 언급한 피의자가 위법성을 인식하게 된 경위나 피의자가 인식한 위법성의 구체적 내용, 피의자가 객관적으로 취한 조치의 위법성의 존부나 정도에 대해 다툴 여지가 있고 충분한 공방을 통해 가려질 필요가 있다는 부분은 수긍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12·3 비상계엄 선포 시 군으로 사회 질서를 유지할 상황, 비상계엄을 선포할 실체적 요건을 갖추고 있지 않았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공지의 사실"이라며 "피의자가 객관적 조치를 취할 당시 비상계엄의 위법성을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은 다툼의 여지가 없어 위법성 인식은 공방에 필요가 없는 명백한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특검은 추가 보강 수사 등에 대해선 조금 더 검토하겠다는 계획이다. 박 특검보는 "(박 전 장관의) 위법성의 구체적인 내용이라든가 본인이 그 위법성을 인식하고 있었다고 볼만한 다른 사실관계는 충분히 현출돼 있다"며 "위법성을 인식했다라고 볼만한 사전에 여러 가지 행위나 행태는 범죄 사실로도 그렇고 증거로도 제출이 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박 특검보는 박 전 장관이나 하급자 추가 조사 가능성에 대해 "(증거를) 보완하는 조치도 저희가 생각해 볼 수 있겠다"며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한지는 내부적인 논의를 통해 결정이 돼야할 것"이라고 전했다. hyun9@newspim.com 2025-10-15 12:24
사진
1달러 테더 '5700원·1600원' 제각각 거래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대표적인 달러 스테이블코인인 '테더(USDT)' 가격이 국내 가상자산거래소에서 크게 널뛰었다. 한때 가상자산 시장이 흔들리자 1600원에서 5700원까지 오가며 심한 변동성을 나타낸 것이다. 달러와 1:1 연동돼 '안전성'을 강조했지만 정작 국내 투자자들에게는 불안정적인 자산이 된 셈이다. 14일 가상자산업계에 따르면 지난 11일 오전 6시쯤 업비트에서 거래되는 테더 가격이 1655원까지 치솟았다. 당시 미국 트럼프대통령이 희토류 수출 통제에 맞서 10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비트코인을 비롯한 주요 가상자산이 급락했고 이에 따라 스테이블 코인인 테더에 수요가 몰린 여파다. 빗썸에서 거래된 테더 시세창. [사진= 빗썸 갈무리] 테더는 달러와 1:1로 연동된 스테이블 코인이다. 이때 달러/원 환율은 1436원이었지만 김치프리미엄이 10% 이상 붙으면서 테더 가격이 환율 이상으로 벌어졌다. 김치프리미엄은 국내와 해외거래소 간 가상자산 가격 차이를 의미한다. 같은 시각 빗썸에서는 테더 가격이 5755원까지 오르는 이상 급등 현상도 발생했다. 달러/원 환율을 상회한 것은 물론 업비트를 비롯한 다른 국내 가상자산거래소 거래 가격 대비 3배 이상 뛰었다. 특히 빗썸의 경우 렌딩(코인 대여) 서비스 청산 과정에서 이 같은 급등 현상이 발생했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빗썸의 렌딩서비스는 대여한 메이저 자산의 시세가 급등락해 자동상환 레벨에 도달하면 모두 시장가로 매도되는 구조다. 이후 확보된 원화로 대여했던 가상자산을 시장가로 매수해 상환하게 된다. 청산 과정에서 시장가 매수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면서 테더 가격을 계속 밀어 올렸다는 관측이다. 테더 가격이 급격히 뛰면서 빗썸에서 테더를 대여한 일부 투자자들은 예기치 못한 청산 사태를 겪은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관련 빗썸은 상환 매매 발생 시 시세 왜곡 상태를 방지하는 '도미노 청산 방지 시스템'의 작동 여부 등을 점검하고 후속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통상 달러 등 실물자산과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은 가상자산 시장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으로 꼽혀왔다. 테더 또한 국내 시장에서 달러 자산의 저장 및 거래 수단으로 활용도가 높게 평가됐다. 그런데 이번 변동성 장세에서 국내 거래소의 테더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급등, 사실상 '스테이블코인=안전성'이라는 개념이 깨진 셈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테더(USDT) 는 스테이블코인이기 때문에 다른 코인 가격이 변하더라도 가치는 유지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테더 수요가 높은 국내 하락장에는 1달러보다 가격이 높아지는 모습을 종종 보인다"며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파생상품을 사용하는 국내 투자자들이 거래 청산을 막기 위해 추가 테더 수요가 몰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투자자들의 주의도 요구된다. 국내시장에서 테더를 포함한 특정 가상자산에 대한 공급 대비 수요가 순간적으로 크게 앞서면 가격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상황이 또 반복될 가능성이 있다. 관련해 이날 기준 빗썸 내 대여금액 1위 종목은 테더로 대여 금액은 933억원이 달한다. 이는 2위인 비트코인 대여금액(218억원)의 4배 수준이다. 코인 대여 서비스 상위 자산인만큼 변동성 위기 시 청산 위험도 높게 평가된다. 김민승 코빗 리서치센터장은 "해외 거래소에서 가상자산 급등락이 발생할 때 국내 거래소에서 해당 가격변동이 100% 반영되지 않아 김치프리미엄 또는 역프리미엄이 발생하고 여기에는 테더도 포함된다"며 "이번 폭락 사태의 경우 국내 거래소의 원화 거래가격이 폭락을 전부 반영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김치프리미엄이 붙게 됐다"고 설명했다. romeok@newspim.com 2025-10-14 06:00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