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印 정부는 10% 미만 관세 원하고 美는 자국 상품에 대한 상당한 양보 요구할 것"
[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인도와의 무역 합의 타결이 임박했다고 밝혔다. 인도는 인도네시아보다 낮은 관세를 얻기 위해 노력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6일(현지 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방영된 '리얼 아메리카스 보이스(Real America's Voice)'와의 인터뷰에서 "협상 중이지만 인도와 매우 가까워졌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에도 미국이 인도 시장 접근성을 확보하는 데 상당한 진전을 이루고 있다고 언급했다. "인도도 기본적으로 (인도네시아와)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며 "우리는 인도에 접근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인도 무역 협상단이 현재 미국에 체류 중인 가운데, 인도는 인도네시아와 베트남보다 유리한 관세율을 요구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주요 교역국에 대한 관세를 발표하며 인도에 대해서는 26%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힌 상태다.
익명을 요구한 인도 당국 관계자는 "인도는 베트남(20%)과 인도네시아(19%)를 포함한 역내 다른 국가들보다 유리한 관세를 기대하고 있다"며 관세율을 20% 미만으로 낮추기 위해 협상 중이라고 설명했다.
관계자는 "미국은 인도를 베트남이나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 같은 '환적 허브'로 여기지 않는다"며 "현재까지의 협상 상황을 봤을 때 인도의 관세율이 이들 국가보다 더 나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인도 최대 은행인 스테이트 뱅크 오브 인디아(SBI)의 소우미야 칸티고시 수석 이코노미스트이자 총리 경제자문위원회 위원은 "협상팀은 관세를 10% 미만으로 낮추기를 바랄 것"이라며 "그 대가로 미국은 자국 상품에 대한 인도의 상당한 양보를 원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인도 정부가 민감 부문은 농업 및 유제품 시장을 개방하지는 않겠지만 비농업 분야에서는 양보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칸티고쉬는 덧붙였다.
실제로 인도는 미국이 상호 관세를 철회할 경우 미국 산업재에 대한 관세를 '제로(0%)'로 낮추겠다고 제안했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인도는 또한 비핵심 농산물 시장에 대한 접근성 확대와 보잉 항공기 추가 구매를 약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 |
상호 관세 발표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블룸버그] |
인도는 당초 미국과 가장 먼저 무역 협정을 체결하는 나라가 될 것으로 여겨졌다. 트럼프 집권 2기 출범 직후 일부 상품에 대한 관세를 낮추고 미국산 에너지 등 수입 확대를 약속하는 등 유화적인 제스처를 취했고, 상호 관세 발표 뒤에도 보복 조치보다는 조기 협상 타결에 주력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다만 미국이 자국의 유전자변형 농산물과 유제품 등의 수입 확대를 요구하고 인도가 이를 거부하면서 협정 체결이 지연되고 있다. 미국의 자동차 및 부품, 알루미늄 및 철강 제품에 대한 관세도 합의를 어렵게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와 미국 간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진 사이, 베트남은 지난 2일 인도보다 먼저 미국과 무역 합의를 타결했다. 영국에 이어 두 번째이자 아시아 국가 중 최초다.
양국 합의에 따라 미국은 베트남에 대한 상호 관세를 4월 발표한 46%에서 20%로 낮추고, 자국산 상품을 무관세로 베트남에 수출하기로 했다. 베트남을 경유한 제3국 제품에는 40%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15일에는 인도네시아가 미국과 무역 합의에 도달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4월 상호 관세 발표 뒤 영국과 베트남에 이어 세 번째, 상호 관세 유예 조치 연장 이후에는 첫 번째다.
미국이 인도네시아에 대한 관세를 32%에서 19%로 낮추는 대신 미국산 제품 수출을 확대하는 것이 골자다.
hongwoori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