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①"다음 타깃은 휴머노이드 로봇", 고성장 신사업 확장 中 '징둥'

기사입력 : 2025년07월24일 07:00

최종수정 : 2025년08월01일 15:17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올해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진출 본격화 '징둥'
연내 4건의 로봇 관련 기업 펀딩 투자에 참여
'조이 인사이드' 구축, 자체 기술 생태계 확장
외식배달→로봇, 메이퇀과의 '경쟁 2막' 관심

이 기사는 7월 23일 오후 3시54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중국 대표 전자상거래 업체 징둥그룹(京東∙JD닷컴 9618.HK)이 대표적인 고성장 미래형 산업인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해 공격적 투자를 이어가고 있어 주목된다.

소매판매 영역인 전자상거래 플랫폼 운영을 시작으로 IT, 물류, 헬스, 외식배달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온 징둥은 이제 휴머노이드 사업으로의 본격 진출을 위해 시동을 걸고 있다.

자체 개발한 임바디드 인텔리전스(Embodied Intelligence) 브랜드인 '조이 인사이드(Joy Inside)'를 중심으로 로봇 개발 생태계 확장에 나서고 있는 징둥은 앞으로 더 많은 로봇 기술 기업과의 합작을 통해 그 영향력을 빠르게 넓혀갈 것으로 기대를 불러 모으고 있다.  

외식배달에 이어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으로 확장된 중국 외식 배달업계 점유율 1위 메이퇀(美團 3690.HK)과의 경쟁구도 또한 새로운 관전포인트로 떠올랐다. 징둥보다 앞서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으로 뛰어든 메이퇀이 또 다른 무대에서 징둥과 경쟁구도를 구축하게 되면서 향후 두 기업이 각 사업에서 어떠한 영향력을 펼칠 지도 주목된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07.23 pxx17@newspim.com

◆ 공격적 투자, 휴머노이드 사업 진출 본격화

징둥은 7월 21일 하루간 임바디드 인텔리전스(Embodied Intelligence) 선도기업 3곳에 대한 투자를 단행했다.

인공지능(AI)의 한 분야인 임바디드 인텔리전스는 지능이 두뇌뿐 아니라 신체·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비롯된다는 개념으로, 로봇은 임바디드 인텔리전스를 대표하는 산업 영역으로 꼽힌다. 

① 스피릿 AI

임바디드 인텔리전스 분야의 떠오르는 기업 중 하나인 스피릿AI(千尋智能∙첸쉰스마트∙Spirit AI)는 이날 6억 위안 규모의 Pre A+ 라운드 투자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징둥이 리드투자자로서 주도한 가운데 중국인터넷투자펀드(中國互聯網投資基金), 저장성과학혁신모펀드(浙江省科創母基金), 화타이쯔진(華泰紫金), 푸싱루이정(復星銳正) 등의 기관들이 투자자로 참여했다.

앞서 스피릿 AI는 설립한 지 반년만에 시드(Seed) 라운드와 엔젤 라운드 펀딩을 연이어 성공시키며 2억 위안에 가까운 자금을 조달했다. 이어 올해 3월에는 Pre-A 라운드 펀딩을 통해 5억2800만 위안의 투자금을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해당 라운드 펀딩에는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영 기업 아람코의 자회사인 프로스페리티 세븐 벤처스(Prosperity 7 Ventures)와 중국 대형 국유 항만운영업체 자오상국(招商局)이 운영하는 자오상혁신투자(招商局創投) 등이 투자자로 참여했다.

이번 투자로 스피릿 AI는 자금력과 산업자원의 이중 지원을 얻게 됐다. 향후 스피릿 AI는 시각-언어-행동(VLA) 모델의 반복 개발과 로봇 하드웨어 성능 업그레이드에 투자를 확대하여 제품의 지능화 레벨과 실용성을 지속적으로 높일 계획이다.

저장(浙江)성 항저우(杭州)시 소재의 스피릿 AI는 2024년 1월 16일 설립된 신생 기업이다.

사업 범위는 지능형 로봇의 연구 및 판매, 인공지능 응용 개발, 데이터 처리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고 있다.

2025년 6월에는 자체 개발한 VLA 모델이 탑재된 첫 번째 상업용 휴머노이드 로봇 '모즈1(Moz1)'을 공식 출시했으며, 해당 로봇 모델은 2025년에 산업 및 서비스 분야에 도입될 예정이다.

[사진 = 림엑스다이나믹스 공식 홈페이지]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사 림엑스다이나믹스(逐際動力∙축제동력∙LimX Dynamics) 홍보 이미지.

② 림엑스다이나믹스

림엑스다이나믹스(逐際動力∙축제동력∙LimX Dynamics)도 이날 신규 라운드의 펀딩을 완료했고, 징둥이 리드투자자로 참여했다고 밝혔다. 양측은 향후 소매, 물류, 서비스 등 분야에서 합작을 강화할 예정이다.

앞서 올해 3월 림엑스다이나믹스는 A+ 라운드의 펀딩을 완료했고, 반년간 시리즈A 펀딩을 통해 조달한 누적 투자금은 5억 위안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을 대표하는 빅테크 중 하나인 알리바바(阿裏巴巴)를 비롯해 자오상혁신투자(招商局創投), 니오캐피털(蔚來資本), 샹치캐피털(尚頎資本) 등 대형 기업과 금융기관이 투자에 참여했다.

중국 선전(深圳)시 소재의 림엑스다이나믹스는 2022년 1월 4일 설립된 이후 △전신형 범용 휴머노이드 로봇의 양산 및 판매 △임바디드 AI 및 대모형(大模型, 대형언어모델<LLM>에 해당) 기술 개발 △IDS 생태계 플랫폼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한 로봇 제품은 크게 두 가지다.

CL 시리즈 휴머노이드 로봇은 중량 운반 기능, 동적 지형 인지 및 운동 제어 기능 등을 갖고 있다. 이미 양산 준비를 마쳤으며 올해 하반기 공식 판매에 나설 예정이다. TRON 1 이족 로봇은 스마트한 이동이 가능해 순찰, 보안, 배달 등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사진 = 중칭로봇 공식 홈페이지]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사 중칭로봇(眾擎機器人∙ENGINEAI) 홍보 이미지.

③ 중칭로봇

중칭로봇(眾擎機器人∙ENGINEAI)은 이날 A1과 Pre-A++의 두 차례 펀딩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그 중 징둥이 참여한 것은 A1 라운드 펀딩으로 징둥그룹은 해당 펀딩에서 리드투자자로 나섰다. 이밖에 세계 최대 배터리 제조사 닝더스다이(寧德時代∙CATL 300750.SZ/3750.HK) 산하 푸취안캐피털(溥泉資本), 인타이그룹(銀泰集團) 등의 산업 투자자와 화콩펀드(華控基金∙TH Capital), 다천차이즈(達晨財智∙Fortune Capital) 산하의 궈천펀드(國晨基金), 황푸장자본(黃浦江資本∙Huangpu River Capital) 등 금융 투자자 역시 동참했다.

Pre-A++ 라운드는 중국 전기차 제조사 샤오펑모터스(小鵬汽車∙XPEV 9868.HK)가 코너스톤 투자자로 참여해 설립한 싱항캐피털(星航資本∙ROCKETS CAPITAL)이 투자에 참여했다.

두 라운드를 통해 조달한 자금은 약 10억 위안에 달한다.

중칭로봇은 앞서 지난해 9월 엔젤 및 엔젤+ 라운드의 펀딩을 통해 약 1억 위안의 자금을 유치하는데 성공했고, 올해 2월 23일에는 중동 투자자로부터 2억 위안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현재 중칭로봇은 엔비디아, 아마존, 징둥, 텐센트(騰訊), 바이트댄스(ByteDance·字節跳動) 등 국내외 주요 산업 파트너들과 깊이 있는 협업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상업 서비스, 위험 작업, 문화 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의 대규모 상용화를 전면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중칭로봇은 하반기에 사업 속도를 더욱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제품 측면에서는 이족 및 전신형 등 다양한 성능의 제품 라인업을 구축한 상태로, 현재는 대규모 시험 생산 및 납품에 집중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존 생산 및 납품 팀의 규모와 역량을 5배로 확대해 시장 수요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2023년 10월 7일 선전시에 설립된 이후 현재까지 중칭로봇은 다양한 제품을 개발해왔다. 현재까지 개발한 로봇 모델은 SE01, PM01, SA01, S2의 네 가지다.

2024년 7월 최초의 이족 휴머노이드 로봇 SA01을 출시한 이후 같은 해 10월에는 전신형 휴머노이드 로봇 SE01을, 12월에는 휴머노이드 로봇 신제품 PM01을 선보였다.

특히, 올해 2월 중칭로봇은 자체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이 업계 최초로 전방 공중돌기 묘기를 성공적으로 선보이는 동영상을 공개해 시장의 큰 관심을 끌었다.

올해 6월 9일에는 PM01 휴머노이드 로봇에 징둥이 자체 개발한 임바디드 인텔리전스 기술을 탑재해 '조이 인사이드(Joy Inside)'에 출시하기도 했다. 가격은 18만8000 위안으로 책정됐다. 

 

<"다음 타깃은 휴머노이드 로봇"② 고성장 신사업 확장 中 '징둥'>으로 이어짐.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메타, AI 데이터센터 구축 270억달러 조달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미국 메타플랫폼스(NASDAQ: META)가 루이지애나주 리치랜드 패리시에 건설 중인 초대형 데이터센터 '하이페리온(Hyperion)' 프로젝트를 위해 사모펀드 블루아울캐피털(Blue Owl Capital)과 손잡고 270억달러(약 38조 7000억 원) 규모의 자금 조달 계약을 체결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번 거래는 민간 기업의 단일 자금조달 규모로는 역대 최대 규모다. 메타는 프로젝트의 약 20% 지분을 보유하고, 나머지 대다수 지분은 블루아울이 운용하는 펀드가 보유한다. 블루아울은 약 70억달러 현금을 투입했으며, 메타는 그 대가로 약 30억달러의 일회성 현금 배당을 받았다. 하이페리온 데이터센터는 2기가와트(GW) 이상의 연산 용량을 갖춰 대규모 언어모델(LLM) 학습 등 차세대 인공지능(AI) 연산 인프라를 지원할 예정이다. 메타는 현지에 500명 이상을 고용할 계획이며, 시설 임대계약은 4년 기한에 연장 옵션이 포함된 형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이번 프로젝트에는 블랙록과 핌코 등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이 대규모로 참여했다. 블랙록은 전체적으로 약 30억달러 규모의 채권을 인수했으며, 일부는 액티브 하이일드 ETF 등에 편입됐다. 핌코는 약 180억달러어치를 사들이며 최대 투자자로 참여했다. 업계는 이번 메타의 270억달러 조달을 AI 연산력 확보 경쟁의 신호탄으로 보고 있다. 대형 기술기업들이 전 세계적으로 데이터센터와 전력망 확충에 수백억 달러를 쏟아붓는 가운데, 모건스탠리는 메타·구글·아마존·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올해만 약 4천억달러를 AI 인프라에 투입할 것으로 내다봤다. 오픈AI 역시 26GW 규모의 연산 능력 확보를 위해 1조달러 이상을 투입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메타의 기업 로고 [사진=블룸버그] wonjc6@newspim.com     2025-10-22 09:32
사진
北, 동북방향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서울=뉴스핌] 오동룡 군사방산전문기자 = 북한이 22일 오전 8시10분 경 동북 방향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도발은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이다. 합참에 따르면, 우리 군은 22일 오전 8시10분경 북한 황북 중화 일대에서 동북 방향으로 발사된 단거리 탄도미사일 수 발을 포착했다. 포착된 북한의 미사일은 약 350km 비행했고, 정확한 제원에 대해서는 한미 정보 당국이 정밀분석 중에 있다고 밝혔다. 북한이 22일 오전 8시10분 경 동북 방향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고 합동참모본부가 밝혔다. 사진은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장면, [사진=조선중앙통신] 2025.10.22 gomsi@newspim.com 합참 관계자는 "한미 정보당국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준비 동향을 사전에 포착해 감시해 왔으며, 발사 즉시 탐지 후 추적하였다"면서 "또한, 미·일 측과 관련 정보를 긴밀하게 공유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 군은 굳건한 한미 연합방위태세 하에 북한의 다양한 동향에 대해 예의주시하면서, 어떠한 도발에도 압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 국가안보실은 안보실 및 국방부·합참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 안보 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국가안보실 관계자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관련 상황을 대통령께 보고하면서 상황을 주시해 왔다"면서 "특히 '긴급 안보 상황 점검회의'를 통해 안보실과 국방부 및 군의 대응 상황을 점검하고 한반도 상황에 미칠 영향을 평가했다"고 했다. gomsi@newspim.com 2025-10-22 11:12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