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뉴스핌] 우승오 기자 =용인특례시가 수질보전특별대책지역 소규모 개인하수처리시설 51곳을 대상으로 사물인터넷(IoT)시스템 시범사업을 진행 중이다.
28일 시에 따르면 IoT시스템은 공기 공급장치에 압력 센서나 전류 감지 센서를 부착해 정상 작동 여부를 원격으로 확인한다.
![]() |
용인시가 소규모 개인하수처리시설 IoT시스템 시범사업을 추진 중이다. [사진=용인시] |
이로써 기계 고장이나 연식 경과 같은 이유로 공기 공급 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상황을 원격으로 파악해 빠르게 조치한다.
시스템은 소규모 개인하수처리시설에 설치한 공기 공급 장치 이상 유무를 앱으로 상시 확인하고 24시간 이상 작동하지 않을 경우 시설 소유자나 관리업체에 문자로 알린다.
또 지자체와 (사)한국생활하수처리협회 용인시지회도 공동으로 앱에서 모니터링하고 빠르게 조치하도록 관리 요령과 교육을 지원한다.
개인하수처리시설은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분뇨와 생활 하수를 정화해 방류하는 시설 대중에게는 '정화조'라는 이름으로 익숙한 시설이다.
시 관계자는 "첨단기술을 활용해 수질보전특별대책지역에 있는 개인하수처리시설의 주요 장비인 공기 공급 장치를 원격으로 집중 관리하고 수질 관리에 더욱 힘쓰겠다"며 "시범사업을 거쳐 사업 확대 방안을 찾겠다"고 했다.
seungo215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