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측 "韓, 모든 것을 가져오라" 요구
험란한 자동차 관세 15% 수성전
구 부총리, 31일 베선트와 최종 담판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한국이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8월 1일)를 목전에 두고 '총력전'에 돌입했다. 경제·산업 등 장관급 인사 3명이 동시에 미국을 찾았고, 국내 재계 총수들도 정부에 힘을 보태기 위해 직접 미국행 비행기에 올랐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예고한 상호관세 부과 시점이 임박하면서 협상 테이블에 올라갈 카드도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다만 미국은 '최고이자 마지막 제안을 해달라'고 한국 협상단을 압박하고 있어 접점을 찾기까지는 진통이 예상된다.
![]() |
[서울=뉴스핌] 한-미 통상협의차 미국 워싱턴D.C.를 방문 중인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9일(현지시간)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및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 함께 미국 상무부에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통상협의를 하고 있다.[사진=기획재정부] 2025.07.30 photo@newspim.com |
30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관세협상을 위해 미국을 찾은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29일(현지시간) 오후 3시부터 2시간 동안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 미국 상무부 청사에서 통상협의를 진행하는 등 협상 일정을 소화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한국 협상팀은 미국이 요구하는 대규모 투자 규모에서 난항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한국보다 앞서 무역협상을 타결한 일본, 유럽연합(EU)과 같은 수준의 대미 투자를 요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 일본은 5500억달러(약 759조원)의 대미 투자펀드 조성과 미국 전략사업 투자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EU는 3년간 총 7500억달러(약 1035조원) 규모의 미국산 에너지 구매와 6000억달러(약 828조원) 규모의 미국산 군사장비 구매에 합의했다.
막대한 투자를 약속하고 일본과 EU가 받아낸 대가는 자동차 품목에 대한 관세 15%다. 기존 25%에서 10%포인트(p) 낮추면서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철강·알루미늄 품목에 적용 중인 50% 관세는 계속 부과된다.
한국도 협상 카드로 이른바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로 불리는 수십조원 규모의 조선업 협업 프로젝트 등 추가 협력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최근에는 반도체·바이오·2차전지 등 이른바 첨단 산업으로 불리는 사업에 대한 협력을 미국과의 협상카드로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협상이라는 것은 당연히 상대방에게서 많은 걸 얻기 위해 그런 주장을 할 것이고, 한국은 감내 가능한 범위 내에서 (협상에 임하고 있다)"며 협상 과정을 설명했다.
![]() |
29일(현지시간) 영국 스코틀랜드에서 귀국행 에어포스원에 탑승하기 전 취재진을 향해 손 동작 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
다만 대미 투자 규모에 대해서는 난항을 거듭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협상 초기 한국은 1000억달러(138조원)+α의 투자 계획을 준비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무역협상을 마친 일본 등의 사례를 고려해 2000억달러까지 투자 규모를 늘렸지만, 최근 미국 측은 4000억달러의 투자를 고수하며 협상을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그동안 미국 현지에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통상 협상을 벌여온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한국 측에 "최선의, 최종적인 무역협상안을 테이블에 올려달라"며 "모든 것을 가져오라"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한국이 제시할 수 있는 카드가 테이블에 올라간 만큼 예정된 시한 내에 협상 타결이라는 결과를 얻어내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