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9일 국무회의서 '2026년 예산안' 의결
피지컬 AI·생활밀착형 제품 300개 등 전방위 투자
GPU 5만장 확보·전국민 AI 교육으로 기반 조성
"AGI 시대 대비" 7대 도메인 버티컬 AI 개발 본격화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정부가 인공지능(AI) 3강 국가 도약을 위해 2026년 총 10조1000억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에 나선다. 산업·생활·공공 전 분야에 AI를 도입하고, 전국민 AI 교육과 GPU 5만장 확보 등 인프라 기반을 대폭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29일 국무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2026년도 예산안'과 '2025~2029년 국가재정운용계획'을 확정했다.
2026년 예산안에 따르면, 정부는 '기술이 주도하는 초혁신경제'를 목표로 AI 전 분야 도입에 3조3100억원, 기반 조성에 7조5000억원 등 모두 10조1000억원을 투입한다.
◆ 피지컬 AI 선도국가 달성…5년간 6조원 집중 투자
산업 분야에서는 피지컬 AI 선도국가 달성을 위해 5000억원을 투입하며, 5년간 총 6조원 규모의 중점사업을 추진한다. 주요 중점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통해 신속하게 진행된다.
이와 관련 ▲글로벌 AX혁신 기술개발(5510억원) ▲AX 실증밸리 조성(6000억원) ▲완전자율운항선박 기술 개발(6135억원)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개발(9973억원) ▲피지컬 AI 기반 자율제조(2조원) 등이 핵심 사업이다.
![]() |
정부는 29일 국무회의를 열고 '2026년도 예산안'과 '2025~2029년 국가재정운용계획'을 확정했다. 2025.08.29 biggerthanseoul@newspim.com |
특히 AI 로봇 분야에서는 휴머노이드 로봇용 AI 모델과 플랫폼, 로봇 핵심부품 개발·상용화를 추진하고, AI 자동차 분야에서는 완전자율주행 자동차 상용화와 자율주행 기반 교통서비스 도입에 나선다.
지역별로는 ▲광주 에너지·모빌리티 AX(240억원) ▲대구 로봇·바이오 AX(198억원) ▲경남 기계·부품 가공(400억원) ▲대전 버티컬AI 대전환(1594억원) ▲전북 AI 팩토리 테스트베드(400억원) ▲부울경 해양·항만 AX(370억원) 등 지역 특화산업과 연계한 피지컬 AI 지역거점을 조성한다.
생활 분야에서는 '신규 AX-Sprint 300' 프로그램에 9000억원을 투입해 제조, 바이오헬스, 주택·물류 등 생활밀착형 제품 300개에 신속한 AI 적용을 지원한다.
총 10개 부처가 참여하며, 제품별로 10억~40억원의 출연·보조금과 2000억원의 융자를 제공한다. 즉시 개발 가능한 145개 제품(1년 내)과 국민 활용도가 높고 시장 파급력이 큰 155개 제품(2년 내)으로 구분해 추진된다.
자동음향조절 마이크, 피부분석·화장품 추천 거울, 신생아 울음소리 분석 등이 대표적 사례다.
공공부문에는 0.2조원을 투입해 복지·고용, 납세, 신약심사 등 3대 선도프로젝트를 중심으로 AI 도입을 확산한다.
공공 AX 프로그램에 1000억원을 투입해 2년간 30억원씩 40개 사업과 2년간 100억원씩 5개 신규 대형 사업을 추진한다. AI 기반 맞춤형 복지·고용서비스 실시간 추천(355억원), 세무상담·납부신청 자동화 등 납세편의 제고(1,000억원), AI 활용 신약심사 기간 단축(201억원) 등이 주요 내용이다.
◆ GPU 5만장 확보·전국민 AI 교육 본격화
인프라 기반 조성을 위해서는 고성능 GPU 1만5000장을 추가 구매해 정부 3만5000장, 민간 SPC 1만5000장 등 총 5만장 확보 목표를 조기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2조1000억원을 투입한다.
![]() |
정부는 29일 국무회의를 열고 '2026년도 예산안'과 '2025~2029년 국가재정운용계획'을 확정했다. 2025.08.29 biggerthanseoul@newspim.com 2025.08.29 biggerthanseoul@newspim.com |
인재양성 분야에서는 AI·AX 대학원을 19개교에서 24개교로 확대하고, 생성형 AI 선도 연구과제를 5개에서 13개로 늘려 국내 고급인재 1만1000명을 양성한다.
청년인재 육성을 위해서는 AI이노아카데미(300명→1,200명), AI마에스트로(110명→450명) 등 기존 교육을 AI 중심으로 전환해 대폭 확대하고, 우수학생 해외 연수(80명)도 지원한다. 기업협력형 AI융합 직업훈련 프로그램에도 1만명이 참여한다.
미래 AI 연구기반 조성을 위해 신규 AGI(범용인공지능) 준비 프로젝트에 200억원, 피지컬AI 선도기술 개발에 150억원, 버티컬AI 연구지원센터(NAIS) 설립에 400억원을 투입한다.
특히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부설 독립연구센터로 설립되는 버티컬AI 연구지원센터는 ▲Quantum+Base AI ▲AI+Bio ▲AI+Culture ▲AI+Defence ▲AI+Energy+Material ▲AI+Factory+Mobility ▲AI+Green Intelligent Marine Technology 등 7대 도메인에서 특화된 AI 개발을 담당한다.
자금지원 측면에서는 AI 혁신펀드 1000억원, 딥테크·AI펀드 2750억원 등을 조성해 AI 분야 혁신기업 창업을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예산안은 AI 3강 국가 도약을 위한 범정부 차원의 종합적 투자 계획"이라며 "산업 현장부터 일상생활까지 AI가 스며드는 초혁신경제로의 대전환을 이끌어낼 것"이라고 밝혔다.
biggerthanseou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