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인용 OTP, 청각 장애인 STT 등 도입 상황 점검
"금융사, 취약계층 목소리 잘 듣고 서비스 개선해야"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29일 은행연합회, 금융투자협회, 손해보험협회, 생명보험협회, 여신금융협회 및 4개 시중은행과 함께 장애인과 고령층의 금융접근성 개선방안에 대해 현장 점검했다.
![]() |
[사진=금융위원회] |
서울 중구에 위치한 은행연합회에서 개최된 이번 회의는 4월에 발표된 '장애인 금융접근성 제고 전략과 방안'의 후속 조치로 마련됐으며, 장애인 및 고령층의 금융 이용 편의를 높이기 위한 조치 이행 현황을 점검하고 추가 과제를 논의하고자 했다.
김진홍 금융소비자국장은 회의 개회 발언에서 "장애인과 고령자와 같은 금융약자가 금융 서비스에 접근하는 데 있어 여전히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며 "금융권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디지털화로 인해 금융 취약계층이 느끼는 이용 장벽이 더 커지고 있다"며 "금융회사가 이들 취약계층의 목소리를 잘 듣고 서비스를 개선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김 국장은 "한국 금융제도의 포용성을 높이는 노력은 장애인과 고령자 등 소외계층에 대한 지원뿐만 아니라 금융제도에 대한 신뢰와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며 "정부는 유관기관 및 금융회사와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장애인과 고령층이 금융 서비스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점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시각장애인용 OTP(One-Time Password) 배포 현황, 청각장애인을 위한 STT(Speech to Text) 및 텍스트 상담 서비스의 도입 현황, 고령자용 간편모드 금융앱 도입 상황 등을 점검했다.
시각장애인용 음성 OTP는 기존보다 한층 개선된 기능으로 4개 주요 시중은행이 8월에 도입을 완료했으며 대부분의 은행들도 3~4분기 중 도입할 예정이다. 금융당국은 보다 많은 시각 장애인들이 신형 OTT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은행들의 적극적 동참을 요청했다.
청각장애인을 위한 텍스트 상담 서비스는 은행의 경우 인터넷 전문은행 등을 제외한 15개 주요 시중은행 중 11개사(73%), 저축은행의 경우 79개사 중 68개사(86%)가 도입을 완료했다. 그 외 증권·보험업계는 도입률이 저조하지만, 대면 수요가 높은
향후에도 금융위원회는 장애인과 고령층의 금융 이용에 불편을 해소하고 추후 제시된 의견에 따라 추가 개선 과제를 발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