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그래프·AI 에이전트' 중심으로 LLM 한계 극복 방안 제시
정보 신뢰도 제고·에이전트 최적화 등 4개 세션 발표
'한글 MCP 서버' 통해 AI 생태계 확장 비전 제시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는 지난 4일 '2025 한컴 테크세미나'를 온·오프라인으로 동시에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개발자를 포함한 다양한 소속 구성원이 참석해 실제 기술 적용 사례와 실무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전사 차원의 기술 교류 행사로 진행됐다. 지난해 'AI 테크데이'에 이어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올해 행사는 거대언어모델(LLM)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지식그래프'와 자율적 실행이 가능한 'AI 에이전트' 기술에 초점을 맞췄다. 이를 통해 한컴은 자사가 추진하는 미래 AI 전략을 제시하고, 기술 리더십을 한층 공고히 했다.
세미나에서는 ▲지식그래프와 LLM 결합을 통한 정보 신뢰도 제고 방안 ▲문맥 압축·에이전트 메모리 기술로 AI 에이전트 최적화 노하우 ▲한글 기술의 AI 생태계 확장 비전을 담은 '한글 MCP 서버' ▲AI 에이전트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모델 개발 사례 등 4개 세션이 발표됐다.
![]() |
지난 4일 열린 '2025 한컴 테크세미나' 현장. [사진=한글과컴퓨터] |
한컴은 이번 세미나를 회사의 기술적 깊이와 연구 방향성을 전 구성원과 공유하는 이정표라고 평가했다. 국내외 빅테크 기업이 개발자 컨퍼런스를 통해 기술력을 과시하는 것처럼, 사내 교류를 통한 기술 확산의 기반을 다졌다는 설명이다.
정지환 한컴 최고기술책임자는 "이번 행사는 에이전틱 AI 시대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한컴이 확보한 기술과 실제 적용 사례를 투명하게 공유하는 자리였다"며 "내부 개발자들의 성장을 독려하고 기술 공유 문화를 확산시켜 대한민국 AI 데이터 주권을 책임지는 기술 리더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