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미 연방수사국(FBI)이 중국 해커들이 미 하원 중국문제특별위원회 위원장인 존 믈리나 공화당 하원 의원을 사칭한 가짜 이메일로 미국 정부기관과 무역단체를 염탐하려했던 사건을 수사 중이라고 월스트리트 저널(WSJ)이 현지시간 7일 보도했다.
미 하원 중국문제소위 소속 직원, 무역단체, 법률회사, 미 정부기관들은 미중 양국이 지난 7월 스웨덴에서 무역협상을 시작할 무렵 의원들이 제안한 대중 제재안에 대한 의견을 묻는 믈리나 의원 발신의 이메일을 받았다.
이메일은 "여러분의 의견이 중요하다"면서 메시지에 첨부된 법안 초안을 검토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의장이 비정부기관 주소로 메시지를 보낸 이유가 석연치않았다.
결국 문제의 이메일은 무역 협상 시기에 맞춰 트럼프 대통령 협상팀에 의견을 제시할 단체에 스파이웨어를 심은 중국과 연계된 사이범 염탐 활동이었던 것으로 판명됐다.
FBI와 워싱턴경찰(Capital Police)은 믈리나 의원 이메일을 조사 중이다. 사이버 전문가들은 심겨진 맬웨어를 추적한 결과 배후는 중국 공안부와 연계된 APT 41 해커 그룹이라고 밝혔다.
해커들이 가짜 이메일을 보낸 불과 수일 뒤 미국과 중국 고위관리들이 스톡홀름에서 만난 중요한 무역 담판을 벌였다. 양국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제(APEC) 정상회의가 열리는 11월 초 까지 관세 부과를 유예하기를 합의한 바 있다.
중국 해커들은 트럼프가 외부 단체로부터 받을 협상 제안을 염탐해 중국 관리들에 전달하려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WSJ는 전했다. 해커들이 성공적으로 해킹 목표에 침범했는지는 바로 알려지지 않았다.
FBI 대변인은 "이 사건을 인지하고 있으며 파트너들과 협력해 책임자를 확인 추적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국 대사관측은 "중국은 사이버공격을 반대하며 확실한 증거없이 다른 나라를 음해하는 것에 단호하게 반대한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믈리나 의원은 성명을 통해 이 사건은 미국의 전략을 탈취해 악용하려는 중국의 공격적 사이버 염탐활동의 또다른 사례라고 지적했다.
최근 중국의 염탐 활동은 점점 활발해지고 수법이 교묘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FBI는 지난 달 미국의 통신회사들에 침투해 트럼프 대통령의 전화 통화를 염탐한 중국의 염탐 활동을 적발했다.
미 국무부는 7월 AI를 이용해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의 음성을 흉내 가짜 메시지를 보내는 것에 대해 전 세계 외교관에 주의를 당부했다.
![]() |
존 믈리나 공화당 하원의원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9.08 kongsikpark@newspim.com |
kongsikpar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