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금리인하 기대감, 금값 고공행진
금값 랠리 속, '홍콩증시 금 테마주' 급등
금광 채굴∙금 소매 투트랙 투자노선 두각
주목할 홍콩 금 테마주와 최신 이슈 진단
이 기사는 9월 15일 오후 4시09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美 금리인하에 '골드러시'① 홍콩 500%↑ 금 테마주 등장>에서 이어짐.
◆ 금값과 함께 주가 고공행진 중인 '홍콩 테마주'
금값 고공행진 속 홍콩증시에서는 매우 강력한 금 테마주의 강세장이 연출되고 있다.
특히, 금광 채굴과 관련한 종목들이 강세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풍부한 광물자원 보유량, 우수한 실적 펀더멘털 등을 보유한 종목들이 높은 주가 상승폭을 기록 중이다.
금과 기타 금속제품 등 금광자원 개발에 주력하는 링바오골드(3330.HK)는 9월 12일 최신 종가 기준으로 상장 이래 최고가를 경신하며, 연내 545%의 상승폭을 기록했다.
링바오골드의 주요 금광 채굴 광산은 중국 허난(河南), 신장(新疆), 장시(江西), 네이멍구(內蒙古), 간쑤(甘肅) 등지에 위치해 있으며, 37개의 채굴권 및 탐사권을 보유하고 있다. 총 탐사·채굴 면적은 216.04㎢, 2024년 말 기준 총 금 매장량은 약 131.81톤(약 410만 온스)에 달한다.
금과 비철금속 채굴업체 중국황금국제자원(2099.HK), 중국 내 금 채굴∙제련업체 산동초금광업(1818.HK), 중국 국영 광물 개발업체 자금광업(2899.HK)의 연간 주가 상승률 또한 상위권으로 각각 240.44%, 174.62%, 116.12%를 기록했으며, 세 종목 모두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다.
![]() |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09.15 pxx17@newspim.com |
특히 중국본토(A주, 601899.SH)와 홍콩증시(H주) 동시 상장 종목으로 9월 12일 최신 종가 기준 A주 시총(6817억 위안), H주 시총(7915억 HKD)을 기록 중인 자금광업은 구리, 금, 아연, 리튬, 은, 몰리브덴 등 다양한 금속 자원 탐사, 개발, 엔지니어링 설계, 기술 연구를 수행하는 글로벌 다국적 광업 국유기업이다. 현재 중국 17개 성(자치구)과 해외 17개국에서 주요 광업 투자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보고서에 따르면, 영업수익(매출)은 1677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5% 증가했고,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은 233억 위안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4.4% 늘었다.
![]() |
[후저우 신화사 = 뉴스핌 특약] 저장(浙江)성 후저우(湖州)시 더칭(德清)현 첸위안(乾元)진 소재의 한 금은방에서 판매원이 금 장신구를 정리하고 있다. |
금 소매 업종 역시 동반 강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악세서리 판매 브랜드 노포황금(6181.HK)은 2024년 6월 28일 상장한 이후 주가가 급등하며 금 소매 업종의 '신흥 강자'로 부상했다. 올해 들어 누적 주가 상승률은 204.65%에 달했으며, 상장 이후로는 발행가 대비 무려 17.14배(1714%) 폭등했다.
9월 12일 최신 종가는 728.5 홍콩달러(HKD)로 홍콩증시의 대표 스타주인 텐센트(0700.HK)의 643.5 HKD를 넘어 홍콩 증시에서 가장 비싼 주식으로 자리 잡았다.
우수한 실적은 주가 상승세를 뒷받침하는 핵심 배경이다. 올해 상반기 온·오프라인 전 채널 매출이 급증하며 전년 동기 대비 251% 늘어난 123억5400만 위안의 매출을 기록했고, 조정 후 순이익은 23억5000만 위안으로 291%의 성장률을 달성했다.
참고로 노포황금은 금 악세서리 제작 방식 또한 높은 수준의 기술이 요구되는 '전통적 수공예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2018년 이후 길상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소비자의 미적 수준이 향상되면서 '전통적 수공예 방식의 금 악세서리' 시장이 빠르게 성장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프로스트 앤 설리번(Frost Sullivan) 통계에 따르면 2028년 전통적 수공예 방식의 금 악세서리 시장 규모는 4214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3~2028년 해당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CAGR)은 21.8%, 시장 점유율은 52.6%까지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 |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09.15 pxx17@newspim.com |
노포황금 외에도 주대복주얼리(1929.HK), 주생생홀딩스(0116.HK), 사서린보석(0417.HK) 등 다른 금 소매주 역시 모두 연내 100% 이상의 상승폭을 기록해 상위권을 차지했다.
금값 상승 지속 전망 속, 대형 광업기업들은 적극적으로 자본 운용에 나서고 있다.
자금광업 산하의 글로벌 금 채굴 자회사인 자금황금국제(紫金黃金國際)는 홍콩증시 상장 절차에 돌입한 상태다.
9월 14일 홍콩증권거래소 공시에 따르면 자금황금국제는 홍콩거래소 메인보드 상장심사를 통과했으며, 모건스탠리와 중신증권(中信證券)이 공동 주관사로 참여할 예정이다.
현지 매체 보도에 따르면 자금황금국제는 자금 조달 규모를 기존의 20억 달러에서 30억 달러로 상향 조정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자금황금국제는 올해 5월 20일 홍콩증시에 상장한 세계 최대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 중국 닝더스다이(CATL 300750.SZ/3750.HK)가 조달한 353억3100만 HKD에 이어 올해 세계 2위 규모의 기업공개(IPO)가 된다.
자금황금국제는 자금광업의 모든 금 광산(중국 제외)을 통합하여 설립된 글로벌 선도 금 채굴 기업 중 하나로 탐사, 채굴, 선광, 제련, 정련 및 판매 등 금 산업체인 전반에 관여하고 있다. 전 세계 우량 금광 자원을 인수·통합하며 지질 탐사, 연구개발, 엔지니어링, 건설 및 광산 운영 역량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지속적인 매장량 확대 및 생산 능력 증대에 집중하고 있다.
풍부한 금 광물 보유량은 자금황금국제의 핵심 경쟁력 중 하나다. 중앙아시아, 남미, 오세아니아 및 아프리카 등 금 자원이 풍부한 지역에서 8개의 금 광산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인 프로스트앤설리반(Frost & Sullivan)에 따르면, 2024년 12월 31일 기준 회사의 금 매장량과 산출량은 각각 전세계 9위와 11위를 기록했다. 또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금 생산량의 연평균복합성장률(CAGR)은 21.4%로, 다른 주요 기업보다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의 CAGR은 61.9%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재무 측면에서 매출 대부분은 금 판매에서 발생하고, 기타 수익은 은과 구리 등 비철금속 판매 및 기계 설비 임대 수익으로 구성된다.
중신건투(中信建投)증권은 자금황금국제의 이번 분할 상장이 금 가격 상승 사이클과 맞물려 회사의 금 자산 가치 재평가를 촉진하는 결과를 불러올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이번 상장을 통해 회사의 국제화 전략을 가속화하고, 해외 우량 투자자 기반을 확장하며, 외국 자본시장에서의 자금 조달 및 인수합병 과정에서 경쟁력과 유연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pxx1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