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G 모델로 거대 AI의 비용·자원 한계 극복
소형 언어모델 협업 구조, 효율성 입증
RAG 고도화로 검색 정확성·신뢰도 강화
'한컴 어시스턴트'·'한컴피디아'에 단계적 적용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한글과컴퓨터(이하 한컴)가 거대 언어모델의 한계를 뛰어넘는 '소형 AI 연합' 기술 논문을 공개하며 글로벌 AI 기술 선도 기업 도약을 선언했다.
30일 한컴은 최근 자체 개발한 AI 핵심 기술을 담은 논문 2편을 세계적 연구 공유 플랫폼인 아카이브에 게재했다고 밝혔다. 아카이브는 구글, 메타, 오픈AI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학회 발표에 앞서 최신 성과를 공개하는 플랫폼이다.
첫 번째 논문은 'SLM-Based Agentic AI with P–C–G: Optimized for Korean Tool Use'로, 기획(Planner)·호출(Caller)·생성(Generator)이라는 세 단계로 나눠 소형 언어모델(sLM)이 협업하는 구조를 제안했다. 이는 하나의 거대 모델이 모든 과업을 처리하는 기존 방식의 한계를 보완해 비용과 자원 소모를 줄이고도 성능은 거대 모델에 필적하거나 뛰어날 수 있음을 입증했다.
![]() |
한글과컴퓨터 로고. [사진=한글과컴퓨터] |
두 번째 논문은 'Chunk Knowledge Generation Model for Enhanced Information Retrieval: A Multi-task Learning Approach'다. 이는 AI가 외부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검색 힌트를 생성해 정확도를 높이는 '검색 증강 생성(RAG)' 고도화 기술이다. 예상 질문이나 키워드를 미리 추론함으로써 정보 검색의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정지환 한컴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이번 성과는 한컴이 단순히 AI를 활용하는 기업이 아니라 미래 AI 기술 방향을 제시하는 기업임을 보여준 것"이라며 "공공 및 국방 분야와 같이 비용 효율성과 높은 신뢰도가 동시에 요구되는 시장에서도 최적 대안을 제공할 것이다. 새로운 기술은 순차적으로 '한컴 어시스턴트'와 '한컴피디아'에 적용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