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0조 규모 글로벌 연합…소프트뱅크·오라클 참여
삼성·SK, 메모리 공급 넘어 전방위 협력 축으로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오픈AI가 본격 가동을 선언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단일 기업 차원을 넘어서는 글로벌 초대형 인프라 구상이다. 총 사업비만 700조 원 규모에 달하며, 인공지능(AI)의 다음 단계인 초인공지능(ASI)을 뒷받침할 물리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목표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데이터센터 확충이 아니다. 차세대 슈퍼컴퓨터, 고성능 반도체, 글로벌 네트워크, 친환경 전력 인프라까지 아우르는 'AI 전 주기 생태계' 구축에 가깝다. 오픈AI는 이를 통해 연산 한계와 전력·저장·속도 문제를 동시에 풀고, 안정적으로 확장 가능한 글로벌 AI 허브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 글로벌 연합전선…소프트뱅크·오라클 합류
2일 업계에 따르면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는 일본 소프트뱅크와 미국 오라클도 핵심 축으로 참여한다. 소프트뱅크는 초기 투자자로서 일본·미국·한국을 잇는 데이터센터 및 통신망 구상에 힘을 싣고 있으며, 자본과 네트워크 연결을 결합해 글로벌 협력의 가교 역할을 맡고 있다.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스타게이트 발표 자리에 함께한 래리 엘리슨 오라클 CEO와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샘 올트먼 오픈AI CEO [사진=블룸버그] |
오라클은 클라우드 인프라 파트너로서 초대형 데이터센터와 AI 특화 클라우드 운영을 담당한다. 이미 오픈AI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챗GPT를 구동하는 클라우드 백본을 제공해왔으며,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글로벌 리전 네트워크와 고성능 서버를 결합해 대규모 학습·추론 환경을 뒷받침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민간 기업 연합을 넘어 미국 정부 차원의 지원까지 뒷받침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월 백악관에서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래리 엘리슨 오라클 회장,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과 함께 스타게이트를 공식 발표했다. 오픈AI와 오라클은 이미 텍사스 애빌린에서 첫 데이터센터 가동을 시작했으며, 장기적으로는 10GW 전력 용량에 달하는 미국 전역의 AI 인프라 캠퍼스로 확장할 계획이다.
◆ 초거대 수요를 뒷받침할 한국 반도체
이 같은 글로벌 구상의 핵심은 메모리 반도체다. 오픈AI는 월 90만 장에 달하는 고성능 메모리 수요를 제시했는데, 이는 현존 글로벌 고대역폭메모리(HBM) 생산능력의 두 배를 넘는다. AI 연산에 필수적인 HBM과 차세대 D램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기업은 사실상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뿐이다.
삼성은 연간 769만 장(300mm 기준)에 달하는 업계 최대 D램 생산능력을 갖췄고, SK하이닉스는 HBM3E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며 기술력과 수율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인정받는다. 전 세계 D램 시장의 70% 이상을 양분하는 한국 반도체가 스타게이트 수요를 사실상 전담하게 된 배경이다.
![]() |
이재명 대통령이 1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챗GPT 개발업체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와 면담 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함께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
삼성과 SK는 단순한 메모리 공급자에 머물지 않는다. 삼성은 차세대 패키징, 데이터센터, 클라우드뿐 아니라 삼성물산·삼성중공업과 함께 해상 부유식 데이터센터(Floating DC) 구상에 나서며 친환경 인프라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SK그룹도 SK텔레콤을 앞세워 서남권 AI 데이터센터 설립을 추진하며, 반도체와 통신·인프라를 결합한 융합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스타게이트를 글로벌 AI 패권 경쟁의 분수령으로 평가한다. 오픈AI·소프트뱅크·오라클, 그리고 삼성과 SK가 얽힌 구조는 초국가적 연합전선 성격을 띤다. 초인공지능 개발에 필요한 연산·전력·데이터·통신을 한데 묶은 첫 사례라는 점에서 상징성이 크다.
kji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