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송은정 기자 = 식품업계가 올해 3분기 전분기 대비 소폭 개선된 실적을 거둘 것으로 전망된다.
![]() |
롯데마트 제타플렉스 서울역점 축산 코너 전경. [사진=롯데마트 제공] |
14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주요 10개 식품업체의 합산 매출은 16조913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1조1740억원으로 0.4%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CJ제일제당은 3분기 연결 매출 7조6420억원, 영업이익 365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매출은 전년 대비 3%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2%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식품 부문은 안정세를 유지했으나 전사적 자원관리(ERP) 시스템 교체 비용 등 일회성 지출과 바이오 부문 부진이 영향을 미쳤다.
롯데웰푸드 역시 1조1300억원대 매출에 760억원 안팎의 영업이익을 낼 것으로 예상된다. 빙과·스낵 등의 성수기 효과가 있었지만 카카오 원재료 가격 고공행진의 여파와 시스템 전환 비용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롯데칠성음료는 매출 1조1073억원, 영업이익 896억원으로 각각 4.0%, 13.8% 증가할 전망이다. 음료·주류 모두 전분기 대비 회복세를 보이며 원가 안정화 효과가 일부 반영됐다.
풀무원은 매출 8883억원, 영업이익 33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6.6%, 1.0%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두부 및 냉동 김밥 사업이 성장세를 이어가며 글로벌 부문 실적이 국내 부진을 상쇄했다. 다만 국내 신선식품 부문은 경기 위축 여파로 성장 폭이 제한됐다는 분석이다.
오뚜기, 빙그레 등은 매출이 소폭 늘었음에도 영업이익이 감소하는 흐름을 보였다. 오뚜기는 9419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4.1%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604억원으로 5%가량 줄었다. 가정식·즉석식품 수요 둔화와 판촉비 증가가 수익성을 끌어내렸다.
빙그레도 신제품 마케팅 비용이 늘어났으며, 잦은 비로 빙과류 판매가 부진했던 탓에 매출은 4858억원으로 4.7% 증가, 영업이익은 599억원으로 7% 감소한 것으로 예상된다.
하이트진로는 3분기 매출이 작년보다 0.04% 감소한 6855억원, 영업이익은 6.6% 줄어든 656억원에 그쳤을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해외 매출이 비중이 큰 기업은 선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양식품은 불닭볶음면을 앞세운 미국·중국·동남아 수출 호조에 힘입어 매출 5960억원, 영업이익 1309억원을 올리며 각각 35.7%, 49.9%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농심도 해외 가격 인상 효과와 신제품 '신라면 툼바' 흥행에 힘입어 매출 8775억원, 영업이익 465억원으로 각각 3.2%, 23.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일본 등의 법인 실적이 개선되며 전반적인 수익성 개선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업계 관계자는 "2분기보다는 여름 성수기인 3분기에 실적이 소폭 개선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yuniy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