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명수 의원 "5년간 혈세 32억 원 쏟아붓고도 이용률 1% 미만"
[용인=뉴스핌] 우승오 기자 =경기도가 시내버스에 도입한 '태그리스'(Tagless·비접촉 대중교통 결제) 사업이 실제 성과 없이 예산만 낭비한 데다 국토부 늑장 대응이 혈세 낭비를 부추긴다는 지적이다.
1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손명수(민주) 의원이 경기도에서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경기도 시내버스 태그리스 이용률은▲2022년 0.19%▲2023년 0.2%▲2024년 0.1% 수준이다. 올해 8월 기준으로는 고작 0.05%에 불과하다. 2022년 2월 첫 시행 이후 3년 동안 경기도민의 태그리스 이용률이 1%에도 미치지 못한 셈이다.
![]() |
손명수 국회의원. [사진=뉴스핌 DB] |
이처럼 사실상 이용하는 사람이 거의 없는 유령 시스템인데도 도는 태그리스 구축사업에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32억여 원을 집행했다.
현재까지 태그리스를 도입한 시내버스가 약 4000대인 점을 고려하면 시내버스 1대에 80만 원가량 쓴 셈이다.
낮은 이용률의 가장 큰 원인은 '광역시·도 간 호환 불가'라는 점이다. 인천이나 서울을 비롯해 타 지역으로 이동할 경우 호환이 불가능해 승객이 직접 카드를 꺼내 결제해야 하는 불편이 뒤따른다.
국토부는 2026년 30억 원을 확보해 시스템 호환과 표준 방향을 마련하겠다고 했지만 시스템 표준화와 안정화까지는 최소 3년이 걸려 당분간 이용률을 높이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표준화가 되더라도 이미 설치한 기기나 시스템 전면 교체작업에 막대한 혈세를 투입할 가능성이 높다.
손 의원은 "시스템 도입에 32억 원가량 투입했는데 국토부 늑장 대응까지 겹치면서 결국 혈세만 낭비하는 결과를 낳았다"며 "국토부와 경기도는 더 이상 땜질식 대응을 반복하지 말고 하루빨리 표준화 로드맵을 확정하고 이미 설치한 장비를 재활용할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seungo215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