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무복무 아닌 자발적 지원 시스템으로 운영… 월 급여와 학점도 제공
[런던=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프랑스가 29년 만에 청년을 대상으로 한 군 복무 프로그램을 부활시켰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27일(현지 시간) 18~19세 남녀 젊은이들이 10개월 동안 군 복무를 할 수 있는 제도를 내년부터 시행하겠다고 발표했다. 다만 새 병역제는 의무복무가 아닌 자발적 지원 시스템으로 운영된다고 했다.
프랑스는 자크 시라크 전 대통령 시절인 지난 1996년 6월 징병제를 폐지했고 이후 직업군인 중심의 모병제로 전환했다.
![]() |
|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간) 남동부 알프스 지역 이제르주(州)에 있는 제27산악보병사단에서 새 병역제 도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마크롱 대통령은 이날 프랑스 남동부 알프스 지역 이제르주(州) 바르세에 주둔하고 있는 제27산악보병사단에서 연설을 통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유럽 대륙 전체가 큰 위험에 빠졌다"면서 "우리는 지금 가만히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10년 동안 다시 제국주의 강대국이 되겠다는 전략을 선택해 온 러시아는 우리가 약한 곳이면 어디든 진출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우리 프랑스는 국방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이날 새 군 복무제도가 내년 여름부터 단계적으로 도입될 것이라고 했다. 대상은 만 18~19세의 남녀 젊은이들이며 복무 기간은 10개월이라고 했다.
내년 여름에 첫 3000명을 선발하고 이후 매년 증원해 2030년에는 1만명, 2035년엔 최대 5만명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지원자들에게는 월 900~1000 유로의 급여가 제공되며 복무를 마치면 1년 치 학점이 부여될 것으로 알려졌다.
마크롱 대통령은 이번 군 복무제가 노르웨이 사례를 참고한 것이라고 했다.
AFP 통신은 최근 상황을 잘 아는 몇몇 소식통을 인용해 "이번 제도를 통해 모집될 병력 규모는 1만~5만 명 정도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젊은 지원병들은 프랑스 본토와 해외 영토에서만 복무할 것이며, 해외 작전에는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자발적 군 복무 제도 도입으로 "우리 앞에 놓인 위협과 위험에 부응하는 국가 복무 청년, 예비역, 현역 군인으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군대 모델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했다.
그는 또 "향후 2년간 65억 유로의 추가 국방예산을 편성할 것"이라며 "(그의 임기 마지막 해인) 2027년 연간 국방비는 640억 유로에 이를 것"이라고 했다.
![]() |
|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27일(현지 시간) 남동부 알프스 지역에 주둔하고 있는 제27산악보병사단을 사열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프랑스 일간 르몽드는 마크롱 대통령의 약속이 실현될 경우 그가 2017년 처음 대통령에 취임했을 당시의 연간 국방비 320억 유로의 두 배 수준이 되는 것이라고 했다.
이 매체는 "프랑스군은 현재 약 20만 명의 현역 병력과 4만 명 이상의 예비군으로 구성돼 있으며 이는 폴란드에 이어 유럽연합(EU)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라며 "정부는 예비군 수를 오는 2030년까지 10만 명으로 늘리고자 한다"고 말했다.
한편 EU 국가 중에서 의무 병역제를 실시하고 있는 나라는 오스트리아와 키프로스, 크로아티아,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그리스,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스웨덴 등 10개국이다.
그 외에 독일이 최근 자원 복무제를 실시하겠다고 공식 발표했고, 폴란드는 예비군을 창설하기 위해 오는 2027년부터 매년 10만 명 규모의 자원병을 양성할 계획이다.
또 벨기에 국방장관은 내년 18~25세 사이의 지원병 500명을 선발하기 위해 최근 17세 청소년에게 내년 군 복무에 지원하도록 독려하는 편지를 보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