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규제 시대 산업전력 자립모델 구축 시급
[무안·광양=뉴스핌] 권차열 기자 = 광양만권 산업의 지속가능한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전력 공급체계를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임형석 전남도의회 의원(더불어민주당)은 23일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EU가 무관세 수입 쿼터를 대폭 축소하고 초과 물량에 50%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내년부터 시행될 탄소국경조정제도(CBAM)가 철강 산업 전반에 큰 타격을 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 |
전남도의회 임형석 의원(더불어민주당·광양1). [사진=전남도의회] 2025.10.23 chadol999@newspim.com |
임 의원은 "한국 수출산업의 심장부인 광양만권이 흔들리면 국가 산업 기반이 위험해질 수 있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광양제철소, 여수국가산단 등 주요 산업단지의 전력 공급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구조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전남도가 정부에 여수·광양산단 ESS(에너지저장장치) 시범사업 지정을 요청했지만 ESS는 저장 시스템일 뿐 발전 대책은 아니다"라며 "풍력과 태양광 등 전남이 보유한 재생에너지 자원을 기반으로 발전시설과 ESS를 결합해야 탄소규제를 피하고 새로운 수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또한 "정부의 산업위기대응지역 지정만으로는 돌파구가 보이지 않는다"며 "전라남도가 '전남형 산업전력 자립모델'을 선도적으로 설계해 산업과 에너지 정책을 통합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 의원은 "행정이 현장을 지원하는 수준을 넘어 직접 움직이는 구조로 전환해야 한다"며 "전담조직과 협의체를 구성해 산업 현장과 에너지 정책이 속도감 있게 대응하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chadol9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