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중심 교육개혁 논의의 장 마련… 국내외 전문가 한자리에
정근식 교육감 "협력과 책임을 기반으로 한 교육 지향"
[서울=뉴스핌] 황혜영 인턴기자 = 서울시교육청이 급격한 사회 변화 속에서 교사의 역할과 교육혁신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서울시교육청은 오는 25일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수원에서 '대전환의 시대, 왜 다시 교사인가'를 주제로 '2025 서울국제교육포럼'을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서울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가 주관한다.
![]() |
| 2025 서울국제교육포럼 포스터. [사진=서울시교육청] |
이번 포럼은 국제적 논의를 통해 현장 중심의 미래 교육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서는 기조강연, 특별좌담, 세션별 주제발표, 해외 교사 인터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첫 번째 기조강연은 앤디 하그리브스(Andy Hargreaves) 보스턴대학교 교수가 맡아 '교직의 미래: 잘못된 제도 안에서 더 잘하려는 노력을 멈추는 방법'을 주제로 발표한다. 그는 교직의 본질 회복과 교육 시스템의 전환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어 피터 타비치(Peter Tabichi) 케리코중학교 교사가 '다시 교사, 현장에서 완성되는 교육 개혁'이라는 제목으로 두 번째 기조강연에 나서 교사 전문성과 공동 책임에 기반한 현장 중심 혁신 비전을 공유한다.
특별좌담에서는 '교사가 다시 중심에: 협력과 변화로 여는 새로운 교육의 길'을 주제로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이 참여한다. 좌담에서는 교사 주도의 교육개혁과 교육 공공성 강화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할 예정이다.
세션 1에서는 장추홍 싱가포르국립교육원 학장이 '교원의 경력 전반에 걸친 학습 요구 지원'을 발표하며 교원 전문성 성장 모델과 실행 전략을 제시한다. 세션 2에서는 이혁규 청주교육대학교 교수가 '교사의 전문성과 지속적 성장, 그리고 교육공동체의 미래'를 발표해 교직의 전문성 재구성과 교육공동체의 새로운 역할을 제안한다.
포럼의 마지막 순서인 종합토론에서는 기조강연 및 세션 발표의 주요 내용을 종합하고 서울교육 정책 방향과 학교 현장의 실천 전략을 제안하는 시간을 가진다.
임유원 서울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원장은 "이번 포럼은 교사의 전문성과 실천이 교육혁신의 출발점임을 다시금 확인하는 자리"라며 "교사가 주도적으로 참여해 국내외 다양한 문제의식과 실천 경험을 공유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정 교육감은 "급격한 변화의 시대에는 교육의 공공성과 책무성이 교사·학생·학부모·지역사회가 공동으로 나누는 협력 생태계 구축의 핵심"이라며 "이러한 협력과 책임을 기반으로 한 교육이야말로 서울교육이 지향하는 핵심 가치"라고 강조했다.
hyeng0@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