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트잡 등 중장년 일자리 모델 발표
중장년층 위한 10대 과제와 비전 제시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도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며 중장년층의 사회적 역할을 재정립하고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3일 수원 노보텔에서 '지속가능한 중장년 일자리 혁신 콘퍼런스'를 개최했다.
![]() |
경기도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며 중장년층의 사회적 역할을 재정립하고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3일 수원 노보텔에서 '지속가능한 중장년 일자리 혁신 콘퍼런스'를 개최했다. [사진=경기도] |
도에 따르면 이번 콘퍼런스는 23일부터 28일까지 진행되는 '중장년 앙코르 위크'의 첫 행사에는 노동정책 전문가, 기업 관계자, 중장년층 등 약 300명이 참여했다.
제1세션에서는 서울대학교 김대일 교수가 '숨어있는 성장동력, 중장년 계속근로와 경제성장'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했으며, ㈜상상우리 신철호 대표이사가 '초고령사회, 중장년 일자리 총량 확대를 위한 핵심 해법'을 발표했다.
제2세션에서는 지자체 최초로 시행되는 '베이비부머 라이트잡' 참여기업의 채용 경험이 공유됐다. 이 라이트잡은 주 15시간 이상 36시간 미만 근로를 보장받으며, 근로자는 4대 사회보험에 가입된다. 채용 기업은 근로자 1인당 월 40만 원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경기도일자리재단이 일본과 싱가포르의 중장년 고용 사례를 소개했고, 고용노동부가 중앙정부의 중장년 일자리 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마지막으로 경기도는 중장년층 약 560만 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정의하고, 정책과 현장을 연결하는 '앙코르 응원 비전 및 10대 과제'를 제시했다. '앙코르'는 퇴직한 베이비부머가 새로운 인생을 모색하길 바라는 경기도의 중장년 지원정책 브랜드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라이트잡 ▲인턴십 ▲행복캠퍼스·센터 ▲인턴(人-Turn)캠프 ▲사회공헌활동 ▲마음돌봄 등 중장년 맞춤형 일자리 모델과 생애전환 지원사업이 포함된다.
기관별 주제 발표를 바탕으로 종합토론과 질의응답 시간도 진행되었고, 이영면 전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좌장을 맡아 중장년 일자리 정책의 방향성과 비전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이끌었다.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이번 콘퍼런스는 중장년층의 경험과 숙련이 사회적 자산임을 확인하고 새로운 역할과 가치를 재조명한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중장년층을 위한 혁신적인 일자리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