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20년만에 경주서 33회 APEC 개최
아시아·태평양 지역 넘어 세계 이목 쏠려
21개국 정상급 다자·양자 연쇄 회담 무대
세계 인구 37%·무역 50%·GDP 61% 차지
'비즈니스 서밋' 전 세계 대표 기업 한자리
트럼프·시진핑 G2 정상간 '통상 담판' 주목
[서울=뉴스핌] 김종원 선임기자 = 한국이 오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경주에서 33회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연다. 2005년 부산에서 APEC을 연 지 20년 만에 한국이 개최한다. APEC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제포럼이다.
하지만 세계 주요 정상들이 집결하기 때문에 무역·통상 문제를 논의하는 글로벌 다자경제협력체 기구의 그 이상의 역할과 의미를 지닌다.
특히 올해 경주 APEC은 전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미중 간의 경제·통상 문제가 첨예하게 부딪히고 있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미중 정상회담 결과에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여기에 더해 경주 APEC 계기로 한국을 찾는 각국 정상 간의 다자외교 무대도 적지 않은 관심이다. 당장 의장국 자격인 한국의 이재명 대통령은 한미-한중-한일 연쇄 정상회담이 경제·통상과 외교·안보 분야의 중요한 모멘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사진=로이터 뉴스핌] |
◆무역·투자 장벽 줄이는 '글로벌 정부 간 포럼'
APEC(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은 1989년에 설립된 지역경제포럼이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상호 의존성이 높아지는 것을 활용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APEC 회원은 21개 나라다. APEC은 주권국이 아닌 경제체(economy)로서 참가 자격을 지닌다. 통상 다자협의체에서 쓰는 회원국이 아닌 회원으로 칭한다.
한국을 비롯해 미국과 중국, 일본, 러시아, 캐나다, 호주, 싱가포르, 멕시코, 칠레, 페루, 대만, 홍콩,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베트남, 필리핀, 뉴질랜드, 브르나이, 파푸아뉴기니다. APEC 공식 참관인은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사무국과 태평양경제협력회의(PECC), 태평양제도포럼(PIF) 사무국이다.
2024년 현재 APEC 지역은 세계 인구의 37%를 차지한다. 상품 무역의 50%, 세계 국내총생산(GDP)의 61%에 이른다. 해마다 21개 APEC 회원 중에서 회의를 개최하고 의장국 역할을 한다. 개최국은 연례 경제지도자회의와 장관급회의, 고위관리자회의, APEC 비즈니스자문위원회(ABAC), APEC 연구센터 컨소시엄 의장도 맡는다.
APEC 연도에 부문별 장관급과 위원회·소위원회, 실무그룹, 전문가, APEC ABAC, 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 제도적 역량 강화를 위한 세미나와 심포지엄, 워크숍 등 200개 이상의 행사가 열린다. 모든 회의는 APEC 의제와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논의하고 새로운 이니셔티브 형성을 목표로 한다.
APEC은 균형 잡히고 포용적이며 지속가능하며 혁신적이고 안전한 성장 촉진을 추구한다. 지역 경제 통합을 가속화해 지역 주민을 위한 더 큰 번영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PEC은 상품과 서비스, 투자와 사람이 국경을 넘어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회원국은 국경에서의 통관 절차를 간소화해 무역을 촉진한다. 보다 유리한 비즈니스 환경 조성을 위한 지역 전체의 규정과 표준도 조정한다.
이는 법적 구속력이 있는 무역과 투자 장벽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는 세계 유일의 글로벌 정부 간 포럼이다. APEC은 대화를 촉진하고 합의에 기초한 결정에 도달함으로써 목표를 달성한다. 모든 회원국 견해에 동등한 가중치를 부여한다.
![]() |
| [워싱턴 로이터=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앞두고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25.08.26 photo@newspim.com |
◆1989년 12개국 '장관급 회의체' 첫 결성
APEC 개념은 1989년 1월 한국 서울에서 밥 호크 전 호주 총리가 연설하면서 처음으로 공개적으로 제기했다. 1989년 12개 나라 간의 장관급 회의로 처음 결성됐다. 1993년 APEC 경제 지도자 회의로 승격됐다. 한국은 1991년 서울에서 3차 APEC 장관급 회의를 열었다. 회원국들이 APEC 서울 선언을 채택해 APEC의 제도적 기반 구축에 기여했다.
2005년 한국은 부산에서 APEC 경제 지도자 회의를 열었다. APEC은 개최 연도 동안 보고르(무역·투자 자유화) 목표를 향한 부산 로드맵을 수립했다. 한국이 20년 만에 다시 APEC 의장국을 맡으면서 아태 지역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촉진하겠다는 의지를 다시 한 번 확인할 방침이다.
◆非APEC UAE 왕세자·IMF 총재 '거물' 참석
이번 경주 APEC 정상회의에는 21개 회원 대부분에서 정상급이 방한한다. 오는 31일 APEC 정상회의 본회의 개막을 앞두고 29일부터 경주로 집결한다. 트럼프 미 대통령과 시 주석은 국빈 자격으로 방한한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와 로런스 웡 싱가포르 총리는 공식방문으로 한국을 찾는다.
지난 21일 취임한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새 총리도 취임하자마자 온다. 러시아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대신 알렉세이 오베르추크 국제문제 부총리가 대표단을 이끌고 방한한다. 특히 APEC 소속은 아니지만 아랍에미리트(UAE) 칼리드 아부다비 왕세자와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도 본회의 1세션에 참석한다.
◆올해 주제 '지속 가능한 내일:연결·혁신·번영'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지난 24일 경주 APEC 관련한 언론 브리핑을 했다. 의장국인 한국의 이 대통령은 오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경주 APEC 정상회의에 의장 자격으로 참석한다. 올해 APEC 주제는 '우리가 만들어가는 지속 가능한 내일: 연결·혁신·번영'이다.
'APEC 정상회의 주간'에는 29일 오전 APEC CEO 서밋 개막식이 열린다. 이 대통령이 특별 연사로 참여한다. 이 대통령이 사실상 APEC 일정을 시작한다. 트럼프 미 대통령도 서밋 행사장에서 기업인들을 상대로 특별 연설에 나선다.
APEC 정상회의 본회의는 31일 오전에 시작된다. 먼저 1세션에서는 무역과 투자 증진을 위한 협력 방안이 논의된다. 주제는 '더욱 연결되고 복원력 있는 세계를 향하여'이다. 1세션에서는 APEC 21개 회원 경제체 이외에도 UAE 아부다비 왕세자와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가 참석한다.
![]() |
◆트럼프, CEO서밋 특별연설…시 주석 의장직 인계
1세션 직후에 이 대통령은 APEC ABAC과의 대화 겸 오찬에 참석한다. ABAC위원들의 건의사항을 청취한 후 인공지능(AI)과 인구 구조 등 APEC 주제와 관련해 여러 토의를 한다. 같은 날 저녁에는 APEC 회원 경제 지도자와 기업인, 내외빈을 초청한 환영 만찬이 예정돼 있다.
다음 날 11월 1일 오전에는 2세션이 진행된다. 2세션 의제는 '미래의 변화에 준비된 아시아·태평양 비전'이다. AI 발전과 인구 구조 변화 등 새로운 경제 흐름 속에서 아태 지역의 신성장 동력 창출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2세션에서는 21개 APEC 회원 경제체가 참석한다. 2세션 종료 후에 이 대통령은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에게 APEC 의장직을 인계함으로써 올해 APEC 정상회의는 마무리된다.
◆CEO 서밋에 '세계 경제·기업 거물' 총출동
특히 28일부터 개막해 오는 31일까지 열리는 공식 부대행사인 APEC CEO 서밋에는 세계를 대표하는 기업인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엔비디아의 창립자 겸 CEO인 젠슨 황과 맷 가먼 아마존웹서비스(AWS) CEO, 사이먼 칸 구글 APAC 부사장, 사이먼 밀너 메타 부사장, 안토니 쿡·울리히 호만 마이크로소프트 부사장이 연사로 나선다.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 국내 기업 총수들도 경주로 총출동한다. 제인 프레이저 씨티그룹 CEO와 호아킨 두아토 존슨앤존슨 CEO, 다니엘 핀토 JP모건 부회장 등 세계의 금융·투자 리더 기업인과 제조업·에너지 분야 대표 기업들도 경주로 집결한다.
kjw861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