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슨 황 "AI 선도국 되는데 의심의 여지 없어"
[경주=뉴스핌] 박찬제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젠슨 황 엔비디아 CEO(최고경영자)를 만나 "한국이 인공지능(AI) 글로벌 강국이 될 수 있도록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오후 브리핑을 열고 이 대통령과 젠슨 황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개최 장소인 경주 화백 컨벤션센터에서 만나 이같은 대화를 나눴다고 전했다. 젠슨 황 역시 "AI의 미래를 한국과 함께 만들게 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화답했다고 김 실장은 전했다.
|  | 
|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APEC 정상회의장인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 접견에 앞서 국내 기업 대표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젠슨 황, 이재명 대통령,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사진=APEC 2025 KOREA & 연합뉴스] 2025.10.31 photo@newspim.com | 
이 대통령은 "AI 3대 강국과 AI 기본 사회라는 핵심 국가 비전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이 기술 개발과 인프라 확충에 힘쓰고 있다"며 "이번 APEC를 계기로 국제사회에 더욱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또 "아울러 엔비디아와 삼성전자, SK 등 한국 기업 간의 긴밀한 협업은 글로벌 협력의 대표 사례"라며 "우리나라가 AI 풀스택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대차, 네이버와의 협력을 확대해 제조업과 자율주행 로봇 등 피지컬 AI 분야에서 한국이 발전할 수 있게 도와달라고 했다.
젠슨 황은 "한국이 글로벌 AI 선도국이자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AI 허브 국가가 될 것이라는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며 "그 여정에 엔비디아가 함께할 것"이라고 말했다.
젠슨 황은 "AI 인프라 구축, 인재 및 스타트업 육성과 함께 제조업, 자율주행 로봇 등 피지컬 AI 등 여러 측면에서의 국내 기업들과 실질적 협력을 적극 확대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김 실장은 "이어진 논의에서 참석자들은 한국에서 26만 장 이상의 대규모 GPU 확보를 비롯한 AI 컴퓨팅 인프라를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며 "기술 협력 및 인적 교류를 토대로 토대로 한 경제 사회 전반의 AI 대전환에 뜻을 모았다"고 전했다.
김 실장은 "이는 대한민국 AI 고속도로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새로운 AI 기업과 일자리를 창출하고 한국이 글로벌 AI 생태계 중심이 될 수 있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특히 이번 만남을 계기로 현대차와 엔비디아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AI를 기반으로 한국 제조업 경쟁력을 더욱 끌어올리고 피지컬 AI 신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MOU(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덧붙였다.
하정우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은 "26만 장의 GPU라고 하는 수치는 내년을 기준으로 해서 누적되어 가는 수치"라며 "최대 2030년까지를 고려를 한 것으로 보이는데 기업마다 조금씩 다르고, 공공에서 5만 장을 확보한다. 물론 더 늘어날 수도 있다"고 했다.
pcjay@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