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자산운용사 2000억 규모 투자
내년 간암·담관암 항암제 FDA 허가 도전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HLB가 최근 영국계 글로벌 자산운용사 LMR 파트너스로부터 1억4500만 달러(약 2069억 원) 규모의 투자를 이끌어냈다. 세계적인 투자은행 UBS가 딜을 단독 주관했으며, 투자금은 HLB 미국 자회사 엘레바의 신약 개발 및 글로벌 상업화에 쓰일 예정이다. 이번 투자는 HLB의 항암 신약이 시장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글로벌 자본을 판단을 보여준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4일 HLB에 따르면 투자를 통해 확보한 1억4000만 달러 중 약 85%인 1억1900만 달러는 HLB의 해외 에스크로 계좌에 예치돼, 1년 내 신주인수권부사채(BW) 행사 조건이 충족되면 집행이 이뤄진다.
![]() |
| HLB 로고 |
HLB 측은 "투자사의 투자안정성에 대한 이해를 반영하는 대신 풋옵션을 3년으로 설정함으로써 장기투자의 물꼬를 텄다"고 설명했다.
투자사 LMR 파트너스는 약 120억 달러를 운용하는 글로벌 자산운용사로, 기업의 핵심 이벤트에 주목하는 '이벤트 드리븐(Event-Driven)' 전략에 강점을 가진 곳이다. 업계는 항암 신약 허가라는 대형 이벤트가 LMR 파트너스의 투자 판단을 이끌었다고 분석한다.
현재 HLB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간암 1차 치료제로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요법에 대한 신약허가 재신청을 준비 중으로, 올해 말~내년 1월중에는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리보+캄렐 병용 치료제는 여러 임상 결과를 통해 글로벌 간암 치료 패러다임을 바꿀 잠재력을 가진 후보로 평가받고 있다.
FGFR2 변이 표적치료제인 리라푸그라티닙 역시 담관암 2차 치료제로 내년 1월말쯤 FDA에 신약허가를 신청(NDA)할 예정이다. 리라푸그라티닙은 임상 결과 기존 치료제 대비 부작용은 적고 약효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나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FDA로 부터 혁신신약(Breakthrough Terapy)으로 지정돼 심사기간이 6개월로 단축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두 신약 모두 허가 로드맵이 가시권에 있다. HLB의 목표는 내년 하반기 두 개의 항암신약을 보유한 글로벌 신약 기업으로 도약하는 것이다. 간암 신약이 허가 받으면, '미국종합암네트워크(NCCN) 가이드라인' 등재를 통해 선낭암·흉선암 적응증으로 리보세라닙 단독요법 처방을 확대할 계획이다. 희귀 고형암 영역까지 포트폴리오를 확장해 수익성 제고에 나서겠다는 구상이다.
이번 투자는 신약개발뿐 아니라 진단·예방·치료로 이어지는 바이오 전주기 생태계 조성의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로 평가된다. 신약 허가와 상업화를 넘어 환자 중심의 통합 헬스케어 모델로 확장될 여지를 확인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신약개발 회사에 대한 투자로는 전례 없는 규모라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일반적으로 신약개발 회사가 기술이전(L/O)이나 빅파마와의 공동개발 협력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경우는 있지만, 개발 단계에 있는 기업이 글로벌 펀드로부터 대규모 자금을 유치하는 사례는 드물다는 평가다.
전문가들은 이번 딜이 가능했던 배경으로, 글로벌 IR 네트워크를 통해 신뢰를 쌓아 온 글로벌 파트너들에게 꾸준한 기업설명회(NDR)로 회사의 가치가 알려지고 투자자와 회사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거래 구조를 설계한 점을 꼽는다.
해외 사모펀드의 특성상 첫 성공 사례 이후 투자 확산 속도가 빨라지는 경향이 있는 만큼, 이번 거래가 향후 대규모 해외 자본 유입의 마중물이 될 것이라는 기대도 모인다.
업계 관계자는 "바이오기업이 기술과 데이터만으로 대규모 해외 자본을 이끌어낸 사례"라며 "K-바이오가 글로벌 시장에서 존재감을 확대해 나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sykim@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