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캠·인신매매 공동 대응작전 '브레이킹 체인스' 첫 대면회의
인터폴·아세아나폴·유엔마약범죄사무소 및 16개국 참여
[서울=뉴스핌] 박우진 기자 = 경찰청은 11일부터 12일까지 서울에서 초국가 스캠범죄 공동 대응을 위한 '글로벌 공조 작전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인터폴, 아세아나폴,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 등 3개 국제기구와 16개국이 참석했다. 공조국은 한국, 미국, 영국, 일본, 중국을 포함해 ▲캄보디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베트남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캐나다 ▲태국 ▲필리핀 ▲호주 ▲아랍에미리트(UAE) 이다.
이번 회의는 대한민국 경찰청이 주도하는 초국가 스캠·인신매매 대응 공동작전인 '브레이킹 체인스(Breaking Chains)' 첫 대면회의다. 작전명은 초국가범죄로부터 피해자들을 범죄의 사슬로부터 해방시키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경찰청은 이번 회의를 통해 사이버사기, 전화사기, 가상자산 범죄 등 신종 초국가범죄 확산에 대응하기 위한 정보 공유와 수사 공조체계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 |
| [서울=뉴스핌] 박우진 기자 = 박재석 경찰청 국제공조담당관(가운데)과 데이비드 마르티네즈 빈루안 아세아나폴 사무국장(왼쪽), 시릴 구트 인터폴 치안서비스사무차장(오른쪽)은 23일 오후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국제공조 협의체 발족식 직후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25.10.23 krawjp@newspim.com |
최근 몇년간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운영 중인 스캠단지들은 SNS·메신저 투자사기, 로맨스스캠, 보이스피싱으로 세계 각지에 피해를 확산사키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조직폭력과 불법구금, 인신매매 등 인권침해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경찰청은 스캠범죄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지난달 23일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대응하는 첫 공식 협력 플랫폼인 '국제공조 협의체'를 발족한 바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국제공조협의체가 나아갈 비전을 선포하고 상시 정보 공유체계 구축과 공조수사, 피해자 보호 및 송환 활성화를 구체화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경찰청은 지난 3일부터 6일까지 태국 방콕에서 열린 제43차 아세아나폴 총회에서 '초국가 스캠·인신매매 대응을 위한 글로벌 공조 작전 결의안'을 아세안 모든 회원국의 만장일치 지지를 얻어 채택했다.
결의안 채택은 아세안 지역에서 경찰청과 아세아나폴의 공동 대응을 제도화하는 협력 기반을 마련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번 작전회의에서는 각국이 선정한 스캠과 사이버 조직 범죄 사건 24건과 관련 추적단서 75건에 대한 자료를 교환하고 피의자 검거와 송환 등 구체적인 공조방안을 협의했다.
특히 증거가 충분히 확보된 스캠조직 관련 사건 8건에 대해 피의자 검거와 피해자 구출을 위한 공동 대응방안이 논의됐다.
경찰청은 스캠범죄 피의자가 다른 지역으로 도피하는 이른바 '풍선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대한민국이 인터폴에 펀딩하고 있는 '도피사범 추적 작전(INFRA-SEAF)'과 연계해 합동대응을 추진한다.
인터폴은 대한민국 경찰관이 참여한 가운데 지난 10월 베트남과 캄보디아 국경 일대에서 합동작전을 실시해 스캠단지 연계관련 피의자 추적을 전개했다. 이달에는 아세안 국가 내 주요 국경 지역에서 작전을 계획하고 있다.
이러한 공조 작전은 스캠조직의 이동 통로 차단과 함께 각국 출입국 정보를 실시간 연계해 현장 대응력을 높일 것으로 보고 있다.
이재영 경찰청 국제협력관은 "이번 작전회의는 국제사회가 초국가 스캠범죄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의 틀을 실행 단계로 옮기는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대한민국 경찰은 각국과 긴밀한 공조로 스캠범죄단지 근절의 실질적 진전을 이끌고 피해자 보호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krawjp@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