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지난달 30일 부산에서 정상회담을 진행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전화 통화를 했다. 미·중 양국 정상은 통화에서 우크라이나 문제와 대만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중국 관영 신화사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통화에서 "부산 미·중 정상회담 이후 양국 관계는 전반적으로 안정적이고 개선됐으며 국제 사회로부터 환영받았다"며 "양국은 올바른 방향을 견지해서 협력 목록을 연장하고 문제 목록을 축소하며 새로운 협력 공간을 열어야 한다"고 말했다.
신화사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대만 문제에 대한 중국의 원칙적인 입장을 설명했으며, 대만의 중국 반환은 전후 국제 질서의 중요한 구성 요소임을 강조했다.
이 대목은 시 주석이 2차 대전 이후 일본이 식민지 대만을 중국에 반환한 점을 상기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하나의 중국' 원칙의 기반이 되는 사실이며, '하나의 중국' 원칙에 따르면 대만 유사시 일본이 개입할 명분이 없어지게 된다.
지난 7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대만 유사시 일본이 개입할 가능성을 시사한 이후 중·일 관계가 악화되고 있다. 시진핑 주석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중·일 갈등에 대한 중국의 입장을 설명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대해 중국의 입장에 반하는 행보를 보이지 않을 것이라는 약속을 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신화사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제2차 세계 대전 승리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미국은 대만 문제가 중국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이해하고 있다"고 답했다.
중국 신화사의 보도에는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이 제시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통화 이후 아예 대만 문제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았다.
또한 신화사는 양국 정상이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해서도 대화했다고 밝혔다. 시 주석은 "중국은 평화를 위한 모든 노력을 지지하며, 각국이 지속적으로 의견 차이를 좁히고 조속히 평화 협정을 체결해 이 위기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협상안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전달한 상황에 대해 시진핑 주석이 지지를 표명한 것으로 해석된다.
결국 이번 통화에서 시진핑 주석은 대만 문제에 대한 미국의 양해를,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종전안에 대한 중국의 지지를 얻어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양국 정상은 내년 4월 트럼프 대통령의 방중을 다시 한 번 확인했고, 시 주석이 내년 미국 방문도 다시 한 번 확인했다.
![]() |
| 지난달 30일 부산 김해국제공항에서 양자 회담 후 인사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로이터 뉴스핌] |
ys174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