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30일 미중정상회담을 진행했다. 부산 김해공항 공군기지 의전실인 나래마루에서 이루어진 정상회담은 이날 오전 11시에 시작해 약 1시간 40분 동안 이어졌다.
정상 회담 종료 후 트럼프 대통령은 약식 기자회견을 통해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를 1년간 유예하기로 했으며 이후 유예를 매년 연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미국으로 유입되는 펜타닐 전구물질 등을 차단하기 위해 협력하기로 했으며 이에 미국은 중국에 부과해 온 이른바 '펜타닐 관세'를 종전 20%에서 10%로 낮췄다고 소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중국이 펜타닐 차단에 협력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징벌적 성격의 20% 추가 관세를 부과해 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중국이 대두 등 미국산 농산물을 즉시 구매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내년 4월 중국을 방문할 예정이며, 그 이후에는 시 주석이 플로리다주 팜비치나 워싱턴 D.C.로 올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국 신화사는 발표문을 통해 시진핑 주석의 발언을 전했다. 시 주석은 정상 회담에서 미·중 관계 개선에 대한 의지를 피력했다.
신화사에 따르면 양국 정상은 경제 및 무역, 에너지 등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고, 인문 교류를 촉진하기로 합의했다. 또한 양국 정상은 정기적인 소통을 유지하기로 합의했다. 신화사는 더 이상 구체적인 합의사항은 밝히지 않았다.
미중정상회담 내용에 대해 현재까지 공개된 내용대로라면, 중국은 희토류 수출 통제를 1년 연기하고, 미국산 대두 수입을 재개하기로 했다. 중국은 펜타닐 통제를 강화하기로 했으며, 미국은 이에 대응해 펜타닐 관세를 10% 인하하기로 했다.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1년 연기와 대두 수입 재개는 중국이 미국에 양보한 사항들이다. 하지만 이에 대응되는 미국의 조치는 공개되지 않았다. 미국의 양보 조치들은 향후 여러 방식을 통해 공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희토류 수출 통제는 중국이 미국에 대해 내놓은 회심의 카드였던 만큼, 중국은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얻어냈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중국이 현재 미국에 원하는 사안들은 ▲미국 시장 개방 ▲반도체 제조 핵심 기술 및 설계 소프트웨어 기술 ▲항공기 엔진 기술 ▲중국 선박 미국 입항 수수료 철회 ▲대만 불개입 ▲남중국해 불개입 등이다.
과거 중국은 미국으로부터 AI 반도체를 공급받기를 원했지만, 최근 들어서는 자체 개발로 방향을 완전히 선회한 것으로 파악된다. 실제 중국은 엔비디아의 중국 시장용 저사양 AI 칩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베이징 외교가 관계자는 "중국이 미국에 희토류와 대두를 양보한 만큼, 미국 역시 분명 중국에 양보한 사항들이 있을 것"이라며 "중국의 특성상 관련 사항들은 향후 서서히 공개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의 대좌는 트럼프 집권 2기 들어 처음이며, 2019년 6월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 회의 계기에 만난 이후 6년 4개월여 만이다.
|  | 
| 30일 부산 김해국제공항에서 양자 회담 후 인사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로이터 뉴스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