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MY 뉴스'가 제공하는 AI 어시스턴트로 요약한 내용으로 퍼플렉시티 AI 모델이 적용됐습니다. 상단의 'AI MY 뉴스' 로그인을 통해 뉴스핌의 차세대 AI 콘텐츠 서비스를 활용해보기 바랍니다.
[서울=뉴스핌] 박상욱 기자 = 한국이 2026 북중미 월드컵에서 어떤 조에 배정되느냐에 따라 조별리그 판도가 크게 달라진다. 포트2 한국의 상대는 포트1·3·4에서 각각 한 팀씩 결정된다. 전력 격차가 뚜렷한 만큼 조 편성에 다른 조별리그 통과와 탈락 확률의 차이는 크다. 유럽축구연맹(UEFA) 플레이오프(PO) 승자 4팀과 FIFA 대륙 간 PO 승자 2팀을 합쳐 마지막으로 본선 출전권을 따내는 6개 팀을 제외한 상태에서 AI가 예상한 최상·최악 조 편성 시나리오 톱3를 정리했다.
![]() |
| 지난 9월 미국과의 평가전에 앞서 포즈를 취한 한국 축구대표팀 선수들. [사진=KFA] |
▲ 최상 시나리오 1위-포트1 캐나다(27위) 포트3 사우디아라비아(60위) 포트4 뉴질랜드(86위)... 통과 확률 82~88%
캐나다는 FIFA랭킹 상 포트1 최약체다. 공격 전개가 빠르지만 대형 변수가 없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최근 세대교체 과정에서 기복이 크고 뉴질랜드는 월드컵 경쟁력이 제한적이다. 한국 입장에서는 전력·경험 모두 상대적으로 우세를 가져올 수 있는 조합이다.
▲ 최상 시나리오 2위-포트1 미국(14위) 포트3 남아프리카공화국(61위) 포트4 아이티(84위)... 통과 확률 70~78%
개최국 미국은 체력과 압박은 강하지만 마무리 단계에서 완성도가 떨어진다. 남아공과 아이티 모두 조직력·경험에서 안정감이 부족하다. 실점 관리만 되면 조1~2위 모두 현실적인 조편성이다.
▲ 최상 시나리오 3위-포트1 멕시코(15위) 포트3 카타르(51위) 포트4 가나(72위)... 통과 확률 62~70%
멕시코는 개최국 이점이 있지만 최근 대표팀 리빌딩 영향으로 전력이 낮아졌다. 카타르는 월드컵 이후 경기력이 하락했고 가나 역시 전력 누수 폭이 크다. 돌발 변수가 적은 조 구성이다.
▲ 최악 시나리오 1위-포트1 프랑스(3위) 포트3 코트디부아르(42위) 포트4 가나(72위)... 탈락 확률 62~70%
프랑스는 수준 차이가 뚜렷한 포트1 최강 전력이다. 코트디부아르는 최근 아프리카네이션스컵 우승 이후 기세가 강하고 피지컬·스피드 모두 최상위권이다. 가나까지 묶이면 조별리그 전 경기가 고강도 체력전으로 흐른다.
▲ 최악 시나리오 2위-포트1 아르헨티나(2위) 포트3 파라과이(39위) 포트4 요르단(66위)...탈락 확률 58~66%
아르헨티나는 압도적 경기 지배력이 유지되고 있고 파라과이는 수비 조직력이 좋은 남미 상위권 팀이다. 요르단은 최근 아시안컵 준우승으로 전력 상승세라 쉬운 상대가 아니다. 조 편성 자체가 물러설 공간이 없다.
▲ 최악 시나리오 3위-포트1 잉글랜드(4위) 포트3 노르웨이(29위) 포트4 카보베르데(68위)... 탈락 확률 약 55~63%
잉글랜드는 전 포지션 선수가 프라임 시기에 있다. 노르웨이는 엘링 홀란드를 중심으로 한 직선적인 공격력이 위협이다. 카보베르데는 중원 압박이 강한 팀으로 경기 흐름을 쉽게 넘겨주지 않는다. 조별리그 자체가 부담스러운 구성이다.
psoq1337@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