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Anda 중국

속보

더보기

전자상거래 새역사 쓴다, 中 '빼빼로데이' 소비 폭발

기사입력 : 2015년11월05일 17:10

최종수정 : 2015년11월09일 11:37

알리바바 징둥 등 선발 업체 온라인 대격돌 돌입

[뉴스핌=이승환 기자]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11월11일 솔로데이(光棍節, 광군제)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업체들은 올해 솔로데이 매출이 지난해 당일 기록인 14조4000억원(805억위안)을 크게 능가할  것으로 보고 본격적인 마케팅에 돌입했다. 작년보다 중국의 전자상거래 시장규모가 확대됐고, 관련 광고, 프로모션이 크게 늘어난 점을 감안하면 이번 솔로데이에도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들은 사상 최대의 수익을 기록할 전망이다. 

◆중국 전자상거래, 사상 최대 특수 노린다

지난 2009년 11월 11일 알리바바가 처음 솔로데이 프로모션을 시작한 이후, 전자상거래 업체들이 잇따라 대열에 합류하면서 솔로데이는 명실상부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로 자리잡았다.

중국청년보(中國青年報) 사회조사센터가 네티즌 15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약 56.1%의 응답자가 솔로데이 기간 인터넷을 통해 물건을 구입할 예정이라고 대답했다. 56.3%가 솔로데이 할인 행사에 대해 큰 기대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지난해 11월11일 알리바바의 B2C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톈마오(天貓)는 솔로데이 할인 행사 개시 후 단 38분 28초만에 100억위안 판매를 달성했다. 1억위안 매출을 기록하는 데까지 단 2분도 걸리지 않았다. 중국 2위 전자상거래 업체인 징둥닷컴(JD.COM)도 솔로데이 당일 고객 유입량이 평상시의 300%를 육박한다고 설명했다.

오는 솔로데이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는 사상최대의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지난 2010년 이후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솔로데이 매출액은 평균 3~4배의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알리바바의 통계에 따르면 텐마오는 지난해 11월11일 하루 571억위안의 매출을 기록했다. 지난 2010년 9억원에 머물렀던 점을 감안하면 5년새 600% 가까이 증가한 셈이다.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2위 업체인 징둥닷컴(京東)닷컴도 지난 11월10~12일 3일간 매출 25억위안, 주문량 680만건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도 같은 기간보다 3배 넘게 증가한 수준이다. 궈메이(國美)와 수닝(蘇寧)의 솔로데이 매출도 각각 580%, 487%씩 늘었다.

알리바바가 최근 거래추이, 과거 판매수익 등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알리바바는 오는 솔로데이 하루 850억위안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관측됐다. 중국 전자상거래 업계에 따르면 지난 솔로데이 하루 중국 전자상거래업체들의 전체 매출액은 800억위안을 기록했다.

중국 솔로데이 쇼핑 특수는 택배업계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난다. 중국 택배협회는 올해 솔로데이 관련 택배운송량이 전년보다 40% 증가한 7억6000만건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루 택배 처리량도 사상 최대 수준인 1억4000만건을 돌파할 전망이다.

알리바바는 이번 솔로데이 알리바바에서 쏟아져 나올 물류를 처리하기 위해 약 170만여명의 인력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회사 측은 솔로데이 택배배송에 1억위안을 투입할 예정이다.

솔로데이는 중국을 넘어 글로벌 온라인 쇼핑 축제로 자리잡아 가는 추세다. 솔로데이를 앞두고 중국 각 전자상거래 업체들이 해외직구 라인을 대폭 강화하며 외국 수입품 판촉 경쟁 태세를 갖추고 있다.

4만 여개 업체 3만여개 브랜드의 600만 종의 상품이 알리바바 솔로데이 프로모션에 참여할 예정이다. 이중에는 미국, 유럽, 일본, 한국 등 25개 국가의 5000여개 해외 브랜드가 포함됐다. 알리바바 측은 전세계 200여 개 국의 소비자가 솔로데이 구매에 참여할 것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솔로데이는 중국 모바일 전자상거래 시장의 현주소를 엿볼 수 있는 기회로도 꼽히고 있다. 중국 전자상거래 전문가는 이번 솔로데이에 약 70%의 소비자가 스마트폰을 통해 상품을 주문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솔로데이의 전자상거래 모바일 주문 비율은 사상처음 처음 40%대를 돌파했다. 이는 전년대비 2배 가까이 증가한 수준이다.


 
◆ 솔로데이 온라인 '商戰' 격화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들은 솔로데이를 앞두고 고객 잡기에 한창이다. 알리바바, 징둥닷컴 등 기업들은 현금할인 쿠폰을 의미하는 홍바오(紅包)를 배포하며 치열한 할인 경쟁에 돌입했다. 동시에 각종 미디어 행사를 열어 프로모션 홍보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알리바바 톈마오는 최근 30위안 짜리 홍바오 1억개를 배포했다.징둥닷컴도 삼성, 샤오미, 하이얼 등 기업과 손잡고 25위안의 할인쿠폰을 제공, 약 2억위안 규모의 할인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중국 인터넷 포탈 왕이(網易)는 최대 1111위안의 고가 홍바오로 고객을 사로잡는다는 계획이다. SNS를 통해 공유가 가능한 홍바오는 온라인 상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솔로데이를 앞두고 업체들 간 신경전이 법적 분쟁으로 확대되기도 했다. 징둥닷컴은 알리바바가 솔로데이 기간 영업점을 알리바바와 징둥닷컴 중 한곳만 고르도록 강요하고 있다며 당국에 고발했다. 중국 최대 온라인 기업인 알리바바가 솔로데이 특수를 독점하기 위해 압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것. 이에 대해 알리바바는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하고 나선 상태다.

중국 IT업계의 한 전문가는 "알리바바가 11월11일(雙十一) 상표를 먼저 등록하고 독점한 상태"라며 "이 문구를 프로모션에 쓰지 못하게 된 징둥닷컴이 공격적으로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자상거래 업체들의 할인경쟁이 과열되자 당국이 진화에 나섰다. 지난 3일 중국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솔로데이 기간 판매 가격 및 독점 여부 감독 기준이 담긴 '온라인 소매 가격행위에 관한 제안' 문건을 공식 홈페이지에 게재했다.

문건은 지나친 할인으로 인한 시장교란 행위를 경고하는 동시에 광고에 '오늘만', '오늘하루', '내일부터 원가' 등 표현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다.  





[뉴스핌 Newspim] 이승환 기자 (lsh89@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LH, 올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공급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과 2만8000가구 규모 공공택지 공급에 나선다. 또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21조6000억원의 투자를 집행하고 재원조달 방식 등을 다양화해 재무여건 체질을 개선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21만 8000+α가구 규모의 주택 공급에 나선다. 사진은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5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서계동 복합문화단지 조성사업 업무협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핌DB] 23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핵심 업무인 주택 공급에 집중한다. 10만가구 사업승인과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등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을 공급한다. 동시에 민간 주택건설 활성화를 위해 2만8000가구 규모의 공공택지를 조성한다. 주택 착공물량은 지난해(5만가구) 대비 20% 증가한 6만가구를 추진하고 지난해 8·8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에 포함된 서울서리풀 등 5만가구 규모의 사업지구 역시 인허가 일정을 최대한 단축해 안정적 공급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심 내 신속한 주택공급과 비아파트 시장 정상화를 위해 신축매입임대 5만가구 이상을 공급하고 전세사기 피해자 회복 지원을 위해 피해 주택 7500가구를 매입한다. 올해 주택 승인물량의 37%를 청년·신혼·고령자에게 공급하고 출산가구 우선공급(통합공임)과 실버스테이 등 새로운 유형의 시니어 주택을 통해 가속화되는 저출산·고령화 문제에도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아울러 쪽방·고시원·반지하 거주자의 주거 상향 지원을 지속하고 예술인 등 다양한 수요층에 부응한 특화형 매입임대도 확대한다. 공공주택은 합리적 가격의 고품질을 보장한다. 무엇보다 최근 급등한 주택 분양가격을 낮춰 국민들의 내 집 마련을 돕는다. 이를 위해 사업지구별 목표 원가를 설정해 관리와 검증을 강화하고 가처분면적 확대와 사업일정 단축으로 조성원가를 인하해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공공주도의 기술개발을 통해 민간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모듈러주택 표준평면 개발 등 OSC 공법을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고도화하고 LH가 개발한 층간소음 1등급 설계기준과 국내 최대규모의 층간소음 시험시설(데시벨35랩)을 활용해 주택 품질 혁신을 추진한다. 관련 예산은 조기 집행한다. 전체 공공기관 투자계획(66조원)의 33% 수준인 21조6000억원을 차질 없이 집행할 계획이다. 특히 상반기 역대 최대 규모인 57% 이상의 투자를 집행한다. 지역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3000가구를 매입하고 1기 신도시 특별정비계획 수립,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성 등도 차질없이 추진한다. 손실 최소화 등 재무여건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재원조달 방식도 개선한다. 광명시흥 등 대규모 사업지구에 LH와 기금이 함께 출자하는 신도시 리츠를 설립해 사업에 따른 재무부담을 완화한다. 또 토지 패키지형 공모 등 지구별 특성과 시장 여건에 맞춘 다양한 매각 방식을 도입해 판매여건 개선과 대금 회수를 촉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임금 직접지급 관리를 강화하고 설게 등 공모에 참여하는 외부 심사위원의 정성평가 비중을 축소해 업체 선정의 공정성을 제고한다. 이한준 LH 사장은 "국민의 삶과 국가 경제가 어려운 만큼, 올해도 신속한 주택공급과 투자집행 등 LH가 맡은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며 "선도적인 공적 역할을 통해 확실한 정책성과를 창출하여 국민 주거안정을 지원하고 국가 경제회복의 마중물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min72@newspim.com 2025-02-23 20:07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