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나우앤퓨처

속보

더보기

'프리미엄 시장' 노크하는 중국 브랜드 '한국 위협'

기사입력 : 2016년11월14일 10:03

최종수정 : 2016년11월14일 10:06

중국 소비품 브랜드의 프리미엄 전략 빠른 확산
중국 프리미엄 소비 시장 경쟁 가열

[편집자] 이 기사는 11월 10일 오후 6시13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강소영 기자] '외국산','수입품'의 전용 무대였던 프리미엄 제품 시장에 중국 '토종' 브랜드의 진출이 늘고있다. 고가 제품 시장에서 외국 유명 브랜드와 경쟁할만큼 중국 기업의 실력과 전략이 발전한 결과다.

중국 브랜드의 '고급화', '프리미엄화' 추세는 앞으로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중국의 경제 성장, 중국인의 소득 증대와 중산층 증가로 중국에서 고급 제품 소비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때문이다. 스마트폰 등 일부 품목에서는 이미 국산 브랜드가 외국 제품을 추월하는 등 중국 소비자의 '국산' 브랜드에 대한 신뢰와 충성서도 갈수록 올라가는 추세다.

중국 브랜드의 고급화 추세는 중국 시장에서 고품질과 우수한 서비스로 시장 점유율을 늘려온 외국 브랜드에겐 큰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다. 소비 분야를 중심으로 중국 브랜드의 고급화 전략, 중국 프리미엄 시장의 현황을 점검해 본다.

스마트폰 화웨이: 삼성의 위기는 나의 기회 

화웨이 메이트9 [사진=바이두(百度)]

지난 3일 화웨이가 독일에서 신제품 발표회를 통해 메이트(Mate)9를 공개했다. 메이트9는 ▲ 화웨이가 자체 기술로 개발한 스마트폰 프로세서 치린960을 적용, 장기간 사용에도 시스템이 느려지지 않고 ▲ 1200만 화소급 RGB(칼라) 센서와 2000만 화소의 모노크롬(흑백)센세를 탑재한 2세대 라이카 듀얼 카메라을 장착했으며 ▲ 20분 초고속 충전으로 하루 종일 사용가능한 슈퍼차지 기술 등을 구현한 점이 특징이다.

어렵게 설명했지만 메이트9가 삼성과 애플 등 스마트폰과 경쟁이 가능한 고성능 스마트폰이라는 것이다. 판매가는 메이트9 4GB+64GB가 699유로(약 88만원), 독일의 유명 디자인 업체 포르쉐 디자인과 협업해 만든 '포르쉐 디자인 화웨이 메이트9 리미티드 에디션'이 1395유로(약 175만원)로 책정됐다. 기존의 중국산 스마트폰 보다 가격이 월등히 높고,삼성과 애플의 프리미엄 스마트폰 가격과 큰 차이가 없다.

스마트폰 업계는 화웨이가 본격적인 프리미엄 시장 진출을 선언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저가의 가성비 높은 제품이라는 이미지를 버리고 고성능 고급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애플 등 선두 그룹과 '진검승부'를 버리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노트7 배터리 폭발 사건으로 주춤한 사이 화웨이가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 본격적인 '출사표'를 던지면서 삼성은 애플 외에 또 다른 강적을 상대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화웨이는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 '제패'에 대한 야심도 공개적으로 드러냈다. 화웨이 리처드 유 화웨이 최고경영자는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2018년 말까지 애플의 시장 점유율을 추월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자동차 지리·창안 등: 고급화만이 살길, 칠전팔기 프리미엄 시장 도전 

지리자동차 고급 SUV YNK & CO [사진=바이두(百度)]

중국 자동차 업계에서도 국산 자동차의 고급화 추세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지리(吉利)자동차는 10월 독일에서 프리미엄 SUV 린크앤코(LYNK & CO)를 선보였다. 치루이자동차와 창안(長安)자동차도 고급 SUV 라인으로 관즈(觀致)과 CS95 출시했고, 광저우자동차(廣汽)도 프리미엄 라인 세단인 GS8 모델을 선보였다.

최근에는 창청(長城)자동차가 최신 프리미엄 세단 웨이파이(魏派)를 공개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과거 중국 자동차 시장의 초고속 성장 속에서 '싼 가격', '수입차 베끼기','박래다매' 등 전략으로 몸집을 키운 중국 '토종' 자동차 업체들이 앞다퉈 고급 제품 및 브랜드 개발과 출시에 열을 올리는 모습이다.

창청자동차는 "중국 국산 브랜드들도 고급화 전략으로 난국을 돌파하지 않으면 고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 국산 자동차 업계에서는 지난 2006년부터 고급화 전략이 시작됐다. 지리자동차 등 다수의 중국 자동차 업체들이 다양한 고급 모델을 출시해 프리미엄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고있다.

현재까지는 중국 국산 차업계의 고급 시장 도전이 순조롭지는 않다. 유럽,일본, 미국 자동차에 비해 인지도가 떨어지는 데다 자동차의 생명과도 같은 엔진, 변속기, 섀시 등 주요 부품을 수입품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연이은 실패에도 중국 자동차 기업의 고급화 전략은 갈수록 강화되는 추세다. 중국 자동차 시장 성장의 둔화, 인구 감소 등 중국내 시장 환경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급화를 통한 차별화가 시급하다는 판단에서다. 

전통 자동차 분야 외 차세대 자동차 분야에서도 중국 기업의 '도전'이 이어지고 있다. 전기차, 자율주행차 등 차세대 자동차 산업에 대한 중국 민간과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도 향후 자동차 시장에서 중국의 '추월'을 가능케할 원동력이 될 전망이다.

가전 하이신: 턱밑추격 NO, 이미 삼성·LG 추월 

하이신 55인치 4K 곡면 TV [사진=바이두(百度)]

9일 복수의 중국 매체는 호주에서 전해진 '낭보를 긴급' 타전했다. 중국 하이신(海信Hisense)의 냉장고가 삼성을 제치고 호주에서 소비자가 꼽은 최고의 냉장고로 꼽혔다는 것. 하이신은 호주에서 애플과 함께 각각 냉장고와 스마트폰 분야에서 소비자 만족도가 가장 높은 제품에 선정됐다.

가전 제품 분야에서 중국의 기술력은 이미 세계 선두 기업을 위협할 만큼 높은 수준에 올라온 것으로 평가된다. 하이신은 올해 상반기 중국에서 55인치 이상 프리미엄 TV 부문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초고해상도 대형 프리미엄 TV분야에서 하이신은 최근 몇 년 놀라운 발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하이신은 프리미엄 TV 분야에서 이미 삼성 등 글로벌 선두그룹과 격차를 완전히 줄였다고 보고있다. 심지어 TV의 화질 선명도에선 이미 삼성을 추월했다고 주장한다.

지난달 하이신은 65~86인치 대형 퀀텀닷 ULED TV를 공개했다. 지난 독일 국제가전박람회에서는 기존의 OLED와 퀀텀닷 TV보다 더욱 선명한 화질을 구현하는 ULED 기술 개발로 고해상도 TV에서 삼성보다 더욱 선명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TV 시장에서도 하이신은 이미 삼성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6월 20일~8월 14일 8주 동안 55인치 이상 TV 부분에서 하이신의 TV 판매량은 삼성을 크게 앞질렀다. 8월들어서 ULED TV 매출은 삼성 프리미엄 TV 매출의 125%에 달했다고 중국 매체는 보도했다.

◆ 의류 잉니구펀: '동대문 패션'은 격 떨어져, 중국판 LV가 되리

중국 의류 패션 업계도 고급화 바람이 거세게 일고 있는 분야다. 중국의 일부 의류 기업은 '저가의 촌스러운 싸구려 옷'이라는 기존의 이미지를 완전히 떨쳐버리고 상류 계층을 겨냥한 초고급 의류 브랜드를 구축,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같은 흐름은 최근 몇 년 베이징,상하이,선전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고급 맞춤의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것과 관련이 깊다. 상류 사회를 중심으로 자신의 개성과 니즈를 반영할 수 있는 프리미엄 패션 의류 서비스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이들을 겨냥한 기업과 브랜드가 늘어나고 있는 것.

명품 의류 시장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는 중국 업체는 광둥 잉니구펀(廣東英妮股份)이다. 이 업체는 명품 소비족을 겨냥해 Naturally Her Need 브랜드를 출시하고 시장 점유율 확대에 나서고 있다.올해 5월 광저우에서 세계적인 패션 브랜드인 루이비통(LVMH)과 함께 FLV 시리즈 코냑 발표회 겸 중국-프랑스 문화교류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루이비통은 중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명품 브랜드로, 잉니구펀은 루이비통과의 교류를 통해 자사 브랜드 Naturally Her Need의 고급화 이미지 굳히기 효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잉니구펀의  지난 7월 장외시장인 신삼판에 상장하는 등 성장은 자본시장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다.

잉니구펀 등 중국 의류업계의 '명품화'는 '동대문 패션'을 무기로 중국 시장에서 승승장구하고 있는 한국 의류업계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디자인과 품질 복제가 용이한 중저가 '한류 의류' 시장을 벗어나 고급 시장을 겨냥하기 위해선 새로운 전략이 절실하다.

◆ 제빵 '위드윗' : 파리바게트 비껴, 고급빵 시장 내가 접수

대만 고급 제과점 브랜드 위드윗 [사진=바이두(百度)]

중국인의 소득증대, 상류층 증가와 소비 수준 업그레이드 추세가 가속화 하면서 중국 프리미엄 소비 시장을 겨냥한 외국 업체의 전략 강화 추세도 거세다.

중국 고급 소비 시장에서 제빵분야는 중국산 브랜드의 성장이 더딘 곳 중 하나다. 빵 소비가 급증하고 있지만 고급화 전략에 성공한 중국 국산 브랜드가 전무한 상황.

이틈을 비집고 파리바게트, 브래드앤토크 등 외국 브랜드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파리바게트와 뚜레쥬르는 국내 제빵 브랜드로 중국에서 매우 성공한 사례로 꼽힌다.

그러나 고급 제빵 시장에 대한 외국 경쟁자의 도전도 만만치 않다. 최근 베이징에선 대만 제빵 브랜드인 위드윗(WITHWHEAT 原麥山邱)이 중국 프리미엄 빵 시장의 새로운 도전자로 주목을 받고 있다.

위드윗은 고급스러운 매장 인테리어, 천연효모 발효 빵을 무기로 고소득층과 젊은 소비자를 무섭게 '빨아들이고' 있다. 중관촌(中關村) 등 베이징 번화가와 고급 쇼핑몰에서 최고의 '핫 플레이스'로 꼽히며 제빵시장에서 파란을 일으키고 있다.

위드윗은 "우리는 매장 수를 공격적으로 늘리기 보다 고급화 전략에 주력할 것"이라며 "주택가보다는 고급 쇼핑몰에 프리미엄 매장을 중심으로 고급 빵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최정, 500홈런…한화 12연승 끝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SSG가 7연승 중이던 NC에 짜릿한 역전승을 거두며 간판타자 최정의 KBO리그 첫 통산 500홈런을 자축했다. SSG는 13일 NC와 인천 홈경기에서 6-3으로 승리했다. 11일 KIA와 더블헤더부터 3연승을 달린 SSG는 NC를 제치고 4위 삼성과 승차 없는 5위에 올라섰다.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SSG 최정이 13일 NC와 인천 홈경기에서 6회말 500호 홈런을 날린 뒤 포즈를 취했다. [사진=SSG] 2025.05.13 zangpabo@newspim.com 최정은 0-2로 뒤진 6회말 2사 1루에서 NC 선발 라일리 톰슨의 6구째 시속 135㎞ 슬라이더를 잡아당겨 왼쪽 펜스를 넘기는 시즌 5호 110m 동점 투런포를 쐈다. 500홈런이기에 앞서 삼진 10개를 잡으며 무실점으로 호투하던 톰슨에게 일격을 가한 귀중한 한 방이었다. SSG는 곧 이은 7회초 서재철에게 적시타를 허용해 2-3으로 뒤졌으나 8회말 대거 4점을 뽑으며 역전에 성공했다. 선두 박성한의 볼넷과 최정의 내야 안타로 만든 무사 1, 2루에서 한유섬의 2루타로 3-3 동점을 만들었다. 이어 라이언 맥브룸이 고의볼넷을 얻어 만든 무사 만루에서 최준우의 역전 2타점, 1사 후 정준재의 쐐기 1타점 적시타로 점수 차를 벌렸다. 류현진. [사진=한화] 한화는 두산과 대전 홈경기에서 연장 11회 접전 끝에 3-4로 졌다. 12연승이 중단된 한화는 이날 4연승한 LG에 공동 선두를 허용했다. 두산은 3-3으로 맞선 연장 11회초 강승호의 볼넷 후 대주자로 나간 전다민을 1루에 두고, '1할 타자' 임종성이 좌익선상에 떨어지는 2루타를 날려 귀중한 결승점을 뽑았다. 반면 한화 선발 류현진은 6이닝을 6탈삼진 6안타 1실점으로 막았지만 팀에 승리를 안기지 못했다. 한화는 1-1로 맞선 6회말 무사 만루에서 노시환이 투수 앞 병살타로 물러난 게 뼈아팠다. 연장 11회말에는 노시환의 안타 후 대주자로 나간 이상혁이 채은성의 삼진 때 2루 도루에 실패했다. 이날 두 팀은 한화가 8명, 두산이 6명의 필승조 투수를 모두 투입하는 총력전을 펼쳤다.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삼성 르윈 디아즈가 13일 kt와 대구 홈경기에서 5회시즌 16호 투런홈런을 날린 뒤 다이아몬드를 돌고 있다. [사진=삼성] 2025.05.13 zangpabo@newspim.com 수석·투수·타격 코치를 교체한 삼성은 kt와 포항 홈경기에서 접전 끝에 5-3으로 승리, 최근 8연패에서 탈출했다. 삼성은 2회말 1사 만루에서 구자욱이 2타점 중전안타로 2-0을 만들었고, 5회말에는 홈런 선두 르윈 디아즈가 시즌 16호 우월 투런홈런을 날려 4-0으로 달아났다. 삼성 선발 이승현은 5이닝을 5안타 무실점으로 막아 시즌 5연패 뒤 첫 승을 신고했다. 반면 kt는 6연패에 빠졌다. 오스틴 딘. [사진 = LG] 잠실에선 LG가 키움을 9-6으로 따돌리고 4연승을 달렸다. 초반 6점 차 리드를 지키지 못하고 6-6으로 동점을 내준 LG는 7회말 오스틴 딘의 솔로 홈런으로 다시 리드를 잡았다. 오스틴은 1회에도 선제 솔로홈런을 날려 한 경기 2홈런을 기록했다. LG는 8회말에는 홍창기와 문성주의 연속 안타로 2점을 보태 승부를 갈랐다. 그러나 LG는 이날 시즌 첫 홈런을 신고하기도 한 붙박이 톱타자 홍창기가 9회초 수비 중 다리를 크게 다쳐 웃을 수 없는 하루가 됐다. 김도영. [사진 = KIA] 광주에선 KIA가 김도영의 결승 2루타를 앞세워 롯데를 4-1로 꺾었다. KIA는 5회말 한승택과 박찬호의 안타로 만든 2사 1,2루에서 김도영이 좌중간 2루타를 터뜨렸고, 최형우가 중전 적시타를 날려 3-0을 만들었다. 8회말에는 김도영의 좌전안타와 볼넷 2개로 만든 무사 만루에서 변우혁의 유격수 병살타 때 1점을 보태 승부를 갈랐다. KIA 선발 김도현은 5.1이닝을 4안타 1실점(비자책)으로 막아 2승(2패)를 올렸다. zangpabo@newspim.com 2025-05-13 22:59
사진
"미중 관세협상, 명백한 중국의 승리"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미중 관세협상에 대해 중국내에서는 미국에 대항해 '승리'를 거뒀다며 고무된 분위기다. 중국의 매체들은 13일 일제히 미중관세협상 결과를 보도하고 나섰다. 관영매체들은 '승리했다'는 표현을 자제하고 있지만, 협상이 성공적이었다는 논조를 유지했다. 중국의 SNS상에서는 미국에 대항해 중국이 승리했다는 반응 일색이다.  12일 미중 양국의 협상단은 스위스 제네바 공동성명을 통해 미국은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율을 145%에서 30%로, 중국은 미국에 대한 관세율을 125%에서 10%로 낮추기로 했다. 공동성명에서 양국은 추가적인 협상을 벌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5년전인 2020년 1월 타결됐던 미중 관세협상 결과와는 차이가 크다. 당시 중국은 2000억달러 규모의 미국 제품 구매할 것을 약속했고, 강도 높은 지재권 보호 , 금융 서비스 시장 개방, 환율 투명성 강화 등을 보장했다. 이에 대한 대가로 미국은 관세를 일부 인하했다. 하지만 이번 미중 관세협상에서는 양국이 모두 동등하게 115%의 관세를 취소하거나 연기했다. 중국의 미국산 물품 구매나 시장개방에 대한 약속은 없었다. 양보 일변도였던 5년전과 달리 이번 미중 관세협상은 공평하고 평등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미국 매체 블룸버그는 "이번 미중 무역협상에서 중국은 기대할 수 있는 최고의 결과를 얻었고, 미국은 끝내 양보했다"며 "시진핑(習近平) 주석의 강대강 전술이 효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 관찰자망은 "양국의 제네바 경제·무역 회담 공동성명 발표는 중국이 무역 전쟁에서 거둔 중대한 승리이자 중국이 투쟁을 견지한 결과"라며 "미국의 무역 괴롭힘에 맞서 항쟁할 용기가 조금도 없는 국가들과 비교하면 이번 승리의 무게가 더 무겁다"고 논평했다. 광다(光大)증권은 13일 보고서를 통해 "중국은 국제 무역 투쟁에서 패권을 두려워하지 않고 굳건하게 맞선 결과 단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은 가장 먼저 미국에 대등한 보복성 관세를 부과하는 한편 국내적 국제적으로 대응조치를 내놓았다"고 덧붙였다. 자오상(招商)증권은 "중국은 미국과 공평하고 평등한 협상을 진행했으며,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다"고 호평했다. 이어 "중국은 우호적인 국가들을 확보하고 있었으며, 중국 경제의 대미 의존도를 낮췄고, 기술 진보와 군사력 확충 등이 이뤄졌다는 자신감을 바탕으로 이같은 성과를 냈다"고 분석했다. 여론이 지나치게 고무되는 것을 경계하는 논설기사도 나왔다. 신화사는 '중미 경제무역 회담이 세계 경제 압박을 낮추고 신뢰를 증진시켰다'라는 제목의 논설에서 "양국의 대화 재개는 기쁜 일이지만, 양국간의 의견 차이 해소는 복잡하고 어려우며 장기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오성홍기와 미국 성조기 [사진=로이터 뉴스핌] ys1744@newspim.com 2025-05-13 09:53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