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마켓

속보

더보기

설 장기 휴장 중국증시, 올해도 '춘제효과' 기대 만발

기사입력 : 2017년02월01일 11:32

최종수정 : 2017년02월01일 19:18

설 후 주가상승 '춘제 효과' 18년째 지속 전망
3대 춘제 테마주 '백주, 영화, 여행' 종목 주목

[뉴스핌=배상희 기자] 춘제(春節∙음력 설) 장기 연휴(1월27일~2월2일) 끝에 3일 개장을 앞둔 A주(중국본토증시)가 올해도 ‘춘제 효과(설 이후 주가 상승)’를 연출할 지 주목된다. 춘제 전 상하이종합지수는 비록 보합권에 머무르긴 했지만, 자금 순유입과 함께 5일 연속 상승국면을 이어가며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키웠다. 

전문가들은 매년 관례처럼 이어진 ‘춘제 효과’가 올해도 나타나며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한다.특히, 올해는 춘제 전 중국 인민은행이 역대 처음으로 '임시유동성제도'라는 특단의 조치까지 꺼내들며 짙어진 시중 유동성 경색 우려에 대비한 방어기재를 마련해 놓은 만큼, 무난한 상승국면이 나타날 것이라는 분석이다. 여기에 3월 ‘양회 효과’에 따른 정책적 호재가 예상되면서, 춘제를 기점으로 둔화된 투자심리도 회복될 것이라는 진단이 나온다. 

◆ 설 연휴 뒤 A주 상승확률 80%, 상승폭 2% 육박 

초상증권(招商證券∙자오상증권) 통계에 따르면 과거 15년간(2002~2016년) 춘제를 전후해 5거래일간 A주 증시는 대부분 상승세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춘제 전과 후 5거래일 간 상하이종합지수가 상승 마감한 경우는 93%에 달했고, 평균 상승폭은 4.4% 정도였다. 춘제 전 5거래일간 상승확률은 93.3%, 평균 상승폭은 2.8%였고, 춘제 후 5거래일간 상승확률은 80%, 평균 상승폭은 1.6% 정도였다. 

전문가들은 춘제 이후 A주가 상승하는 주요 원인을 ▲유동성 긴장국면 완화 ▲개인 현금보유액 증대 ▲보험자금 증가 ▲ 양회 정책 기대감 등 네 가지로 압축했다.

우선, 올해 1분기 신용대출을 통한 자금 공급량이 최고치에 달하면서 춘제 전보다 유동성 긴장 국면이 개선될 전망이다. 앞서 중국 인민은행은 현금수요가 급증하는 춘제를 앞두고 유동성 경색 우려가 확대되자, 일주일간 1조1900억위안 규모의 유동성을 긴급수혈했다. 여기에 주요 5대 은행에 대해 지급준비율을 28일간 한시적으로 인하하는 임시적 유동성 공급 조치도 단행한 바 있다. 

다음으로 연말부터 춘제까지 이뤄지는 회사의 상여금 지급, 연말정산 등에 따른 개인의 현금보유량 증가가 춘제 후 증시 상승세를 이끌 전망이다. 아울러 올해 1분기 보험사 자금유입이 늘면서 처분가능한 시중 자금이 늘어날 것이라는 점 또한 상승세를 점치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마지막으로 춘제 이후 3월 중국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兩會,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앞두고 새로운 정책 발표에 따른 수혜 기대감이 시장의 위험선호도를 높이면서 투자심리를 회복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광대증권(光大證券)은 ‘한 해의 투자기회, 봄에서 찾자’라는 투자전략보고서를 통해 A주는 춘절기에 크게 약동하는 특징이 있다면서 그 중 2월은 최대의 확실성을 보이는 시기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난 17년간(2000~2016년) 2월달 A주는 2001년과 2016년 두 차례를 제외하고 모두 상승세를 보였다면서, 3월에도 큰 폭의 상승 국면을 이어갔다고 강조했다.

창청증권(長城證券)은 변동성 짙은 조정국면을 이어간 춘제 전과 달리 이후에는 상승국면을 나타낼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상장사들의 2016년 연간 실적 공시, 신주 발행 속도 완화, 수익률 호전세 지속, 양회 기간 국유기업개혁과 공급측개혁 관련 정책적 기대감 확대, 시장 위험선호도 상승 등이 이 같은 진단의 이유다. 아울러 2016년에 이어 2017년 특히, 1분기의 경우 우량주 중심의 강세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다. 

중신증권(中信證券)은 1월 이래 시장의 분화현상이 심화되고 특히, 기술주 중심의 차스닥(創業板∙창업판)에서 일부 종목과 업종을 중심으로 한 강세장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했다. 아울러 현재 기관들이 보유 중인 성장주 보유주식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어, 더 이상 주식전환을 시도할 가능성은 적다는 점도 A주 상승세 전망의 이유로 제기됐다. 특히, 단기적으로 정책과 증시 수익률에 대한 기대감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면서 차스닥을 중심으로 한 강세장이 나타날 것으로 점쳤다. 

광발증권(廣發證券)은 춘제 이후 인민은행의 대규모 유동성 회수에 따른 자금경색 우려가 여전하지만, 춘제는 역조정을 위한 가장 좋은 시기로 평가되는 만큼, 춘제를 분위기 전환의 계기로 삼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초상증권은 유동성 긴장 국면 완화, 가처분 자금 증가, 시장 위험선호도 증대 등이 춘제 이후 중국증시 상승세를 이끌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2017년 들어 더욱 빨라진 기업공개(IPO) 주기가 춘제 이후에도 지속되면서 증시에 물량부담을 늘릴 것으로 예상했다. 아울러 정부 당국이 춘제 전 보험업종을 대상으로 쏟아낸 각종 규제책의 영향으로, 1분기 신주 투자에 대한 불확실성이 확대될 것이라는 점도 부정적 요인으로 지목됐다. 여기에 춘제 이후 다소 완화되긴 하겠으나, 2015년 4분기 이후 지속된 유동성 긴장 국면이 여전해 성장폭을 억누를 것으로 진단했다.

흥업증권(興業證券)은 ‘춘제 기간 기억해야 할 보너스’라는 연구보고서를 통해 단기적으로 시장 자금과 증시 유동성 긴장 국면이 개선되면서 춘제 이후 상승 국면이 나타날 것이라고 평했다.

◆ 전통적 춘제 3대 테마주 '백주,영화,여행' 주목

초상증권이 춘제를 전후한 업종별 상승추이를 분석한 결과 춘제 전 5거래일은 비(非)은행주, 유색금속, 자동차, 철강주와 같은 주기성 업종이 강세를 나타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춘제 이후 5거래일은 농림목업, 전자, 국방, 의약, 방직의복, 상업무역 등 소비와 성장주 중심의 종목이 강세를 보였다. 

다수 전문가들은 대표적 춘제 3대 테마주인 ‘백주(白酒), 영화, 여행’ 종목이 뚜렷한 강세를 띌 것으로 전망했다.

우선 백주의 경우 2017년 들어 폭발적인 판매량과 가격 상승세를 기록했고, 주가도 동반 상승했다. 실례로 지난 1월 23일 기준 귀주모태(貴州茅臺 600519.SH)는 전거래일 대비 1.16% 상승해 장중 359.80위안까지 치솟으면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아울러 각종 펀드회사가 공시한 2016년 4분기 연간보고서에 따르면 귀주모태에 대한 투자 선호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정증권(方正證券)에 따르면 중국 대표 주류 기업들은 2017년 시장을 낙관적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소비 상승에 따른 프리미엄 시장 확대를 점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주 종목은 현재 기관들의 주식보유 비중이 크지 않고, 향후 3년간 업종이 명확한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영화주의 강세도 예상된다. 올해 춘제 당일(1월28일) 중국 박스오피스 흥행수입은 8억위안을 돌파하며 역대 신기록을 경신했다. 이와 함께 작년 하반기 이후 주춤했던 중국 영화시장이 춘제를 기점으로 성장세로 돌아설 것이라는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특히, 5대 영화주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신문화(新文化 300336.SZ), 화이브라더스(華誼兄弟 300027.SZ), 차이나필름(中國電影 600977.SH), 인라이트미디어(光線傳媒 300251.SZ), 러스왕(樂視網(300104. SZ) 등이 그것이다. 

또 다른 춘제 테마주인 여행주 또한 주목된다. 전통적으로 춘제 전후 여행∙요식업 테마주는 매년 상승세를 기록해왔다. 서킷브레이커 조치로 증시 대폭락 사태를 겪은 2016년을 제외하고 지난 5년 동안 여행∙요식업 주가는 춘제를 전후해 15~30%에 가까운 상승폭을 기록했다.

흥업증권이 발표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여행주의 경우 그 해 전체 증시 환경에 좌우되는 만큼 상승세가 시작되는 시점이 명확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1월부터 3월초까지 집중적인 강세 국면이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16년에는 이상 기후 현상으로 관광객 유동량이 다소 감소했으나, 2017년에는 기후 회복에 따른 최고의 성수기를 맞이할 것으로 예상했다.

전문기관들은 북부만여(北部灣旅603869.SH), 중청여(中青旅 600138.SH), 황산여유(黃山旅遊 600054.SH), 송성연예(宋城演藝300144.SZ) 등을 대표적 여행 테마주로 추천했다.

한편, 중국증시는 춘제 연휴(1월27일~2월2일)기간 휴장에 들어간 뒤 2월 3일 개장한다. 춘제 전 마지막 거래일인 1월 26일 상하이종합지수는 전거래일보다 9.61포인트(0.31%) 오른 3159.17로 마감했다. 선전성분지수는 전거래일대비 74.09포인트(0.74%) 상승한 10052.05로 장을 마쳤다. 창업판지수 또한 전거래일보다 15.53포인트(0.83%) 뛴 1886.23으로 장을 마감했다. 

[뉴스핌 Newspim] 배상희 기자(bsh@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미중 관세협상, 명백한 중국의 승리"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미중 관세협상에 대해 중국내에서는 미국에 대항해 '승리'를 거뒀다며 고무된 분위기다. 중국의 매체들은 13일 일제히 미중관세협상 결과를 보도하고 나섰다. 관영매체들은 '승리했다'는 표현을 자제하고 있지만, 협상이 성공적이었다는 논조를 유지했다. 중국의 SNS상에서는 미국에 대항해 중국이 승리했다는 반응 일색이다.  12일 미중 양국의 협상단은 스위스 제네바 공동성명을 통해 미국은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율을 145%에서 30%로, 중국은 미국에 대한 관세율을 125%에서 10%로 낮추기로 했다. 공동성명에서 양국은 추가적인 협상을 벌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5년전인 2020년 1월 타결됐던 미중 관세협상 결과와는 차이가 크다. 당시 중국은 2000억달러 규모의 미국 제품 구매할 것을 약속했고, 강도 높은 지재권 보호 , 금융 서비스 시장 개방, 환율 투명성 강화 등을 보장했다. 이에 대한 대가로 미국은 관세를 일부 인하했다. 하지만 이번 미중 관세협상에서는 양국이 모두 동등하게 115%의 관세를 취소하거나 연기했다. 중국의 미국산 물품 구매나 시장개방에 대한 약속은 없었다. 양보 일변도였던 5년전과 달리 이번 미중 관세협상은 공평하고 평등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미국 매체 블룸버그는 "이번 미중 무역협상에서 중국은 기대할 수 있는 최고의 결과를 얻었고, 미국은 끝내 양보했다"며 "시진핑(習近平) 주석의 강대강 전술이 효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 관찰자망은 "양국의 제네바 경제·무역 회담 공동성명 발표는 중국이 무역 전쟁에서 거둔 중대한 승리이자 중국이 투쟁을 견지한 결과"라며 "미국의 무역 괴롭힘에 맞서 항쟁할 용기가 조금도 없는 국가들과 비교하면 이번 승리의 무게가 더 무겁다"고 논평했다. 광다(光大)증권은 13일 보고서를 통해 "중국은 국제 무역 투쟁에서 패권을 두려워하지 않고 굳건하게 맞선 결과 단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은 가장 먼저 미국에 대등한 보복성 관세를 부과하는 한편 국내적 국제적으로 대응조치를 내놓았다"고 덧붙였다. 자오상(招商)증권은 "중국은 미국과 공평하고 평등한 협상을 진행했으며,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다"고 호평했다. 이어 "중국은 우호적인 국가들을 확보하고 있었으며, 중국 경제의 대미 의존도를 낮췄고, 기술 진보와 군사력 확충 등이 이뤄졌다는 자신감을 바탕으로 이같은 성과를 냈다"고 분석했다. 여론이 지나치게 고무되는 것을 경계하는 논설기사도 나왔다. 신화사는 '중미 경제무역 회담이 세계 경제 압박을 낮추고 신뢰를 증진시켰다'라는 제목의 논설에서 "양국의 대화 재개는 기쁜 일이지만, 양국간의 의견 차이 해소는 복잡하고 어려우며 장기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오성홍기와 미국 성조기 [사진=로이터 뉴스핌] ys1744@newspim.com 2025-05-13 09:53
사진
대법 "대법원장 청문회 출석 곤란"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대법원은 조희대 대법원장과 대법관들이 오는 14일 예정된 '사법부의 대선개입 의혹 진상규명 청문회'에 출석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국회에 전달했다. 대법원 관계자는 12일 기자단 공지를 통해 "재판에 관한 청문회에 법관이 출석하는 것은 여러모로 곤란하다는 입장"이라며 "출석 요청을 받은 16명의 법관 모두 '청문회 출석요구에 대한 의견서'를 국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조희대 대법원장. [사진=뉴스핌DB] 앞서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지난 1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에서 무죄를 선고한 항소심 판결을 파기하고 유죄 취지로 사건을 파기환송했다. 민주당은 대법원이 이 후보 사건을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심리·선고해 사실상 대선에 개입했다며 대법원장에 대한 청문회를 열기로 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지난 7일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청문회 실시계획서 채택과 증인·참고인 출석 요구 등을 의결했다. 청문회 증인으로는 조 대법원장과 판결에 관여한 대법관 11명이 전원 채택됐으며 대법원 수석·선임재판연구관, 대법원장 비서실장, 법원행정처 사법정보화실장 등 판사들도 포함됐다.  shl22@newspim.com 2025-05-12 18:2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