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오찬미 기자] “리츠는 채권보다 불안정하지만 주식에 비해 안정적인 상품이다. 중저위험-중수익 상품인 셈이다.”
리츠업계가 리츠투자 강점을 내세워 대중화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이를 위해 상장기준을 일반기업수준으로 완화하고 이중과세 같은 규제를 푸는 데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2일 한국리츠협회에 따르면 협회는 지난 1일 정용선 코람코자산신탁 대표이사가 4대 협회장으로 취임한 것을 계기로 '리츠(부동산간접투자회사) 대중화'를 사업목표로 내걸었다.
리츠는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은 뒤 특정 부동산을 매입·개발해 발생하는 수익을 투자자들에게 돌려주는 부동산 간접투자상품이다.
배당 수익률이 높아 우리와 경제규모가 비슷하거나 더 큰 호주, 미국, 싱가폴, 일본을 비롯한 선진국 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에는 리츠가 일정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부동산 임대 수익에 따라 미국은 4~5%, 일본은 3~4%, 호주는 5~6%, 싱가포르는 7~8%이상을 배당받는다.
리츠는 환금성도 높아 선진국에서는 고령층 ‘은퇴 자산’으로도 이용되고 있다.
<자료=한국리츠협회> |
이에 리츠업계는 나이 많은 서민들도 좀 더 안전한 리츠에 투자할 수 있도록 개인투투자 확대에 나서겠다는 주장이다.
먼저 상장기준인 '매출액 100억원 이상, 영업이익 25억원 이상’의 빗장을 푸는 게 선결과제라고 리츠업계는 말했다.
실제 상장의무를 두고 있는 싱가포르와 홍콩은 우리와 비교해 상장기준이 훨씬 낮다. 싱가포르는 일반기업과 같은 요건을 상장기준으로 뒀고 홍콩은 일반기업보다도 완화된 기준을 요건으로 한다. 미국, 일본, 호주는 최소주주수나 주주의 지분을 정해놓고 있을 뿐 별도의 상장의무가 없다.
업계는 국내 리츠 활성화를 위해서 세금을 비롯한 현행 시장규제 역시 완화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리츠를 팔거나 배당 받을 경우 세금을 이중으로 부과하는 구조를 개선해야 리츠가 활성화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리츠협회는 장기적으로 ‘블라인드 투자’까지 이뤄지는 것을 목표로 한다. 투자자들이 실물을 보지 않고도 협회를 믿고 자금을 먼저 맡기면 이후 수익성 부동산에 투자해 안정적으로 이윤을 확보해 주겠다는 것.
협회 측은 “국토교통부에서도 블라인드 리츠를 허용해주는 방향으로 모색중이다”며 “이미 블라인드 리츠와 사실상 같은 모-자리츠, 즉 허브리츠를 지난해 6월 만들어 LH사업 일부에 허용했다"고 말했다.
다만 아직 일반리츠까지 블라인드 리츠를 허용한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는 리츠시장이 좁고 부동산도 오늘 내일 크게 달라지지 않은 만큼 블라인드 투자에 대한 시장수요가 부족한 상태다.
일각에서는 금융투자가 활발해 지더라도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 안정성'은 확실하게 담보돼야 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이에 대해 리츠협회는 "규제를 푸는 대신 사후 관리감독을 엄격히 해 개인투자자들이 억울하게 피해보지 않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협회 측은 “공인된 자산관리회사(AMC)까지 포함해 매년 전수조사를 받고 있는 만큼 국내 리츠 관리·감독은 매우 엄격한 편”이라며 "부동산 벌칙조항에 따라 패널티, 기관경고, 임원 해임을 비롯한 사후조치도 충분히 마련돼 있다”고 강조했다.
심교언 교수는 "리츠 상장이 많이 되면 기준이 만들어져 투명성 논란이 없어질 것"이라며 "리츠는 5000억도, 1만원도 투자할 수 있는 상품인만큼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오찬미 기자 (ohnew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