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끝나지 않은 저가수주 늪..대우·GS건설 수천억 적자
올해 저가 사업장 준공예정 1.4조 규모..추가 손실 우려
[편집자] 이 기사는 4월 17일 오후 2시53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이동훈 기자] 대형 건설사들이 2010년대들어 해외 '저가 수주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에만 수천억대의 해외 손실을 반영하며 실적 회복에 어려움을 겪었다.
앞서 저가로 수주한 현장에 추가 공사금이 들어가 원가율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지난 3~4년간 해외사업 정상화를 위해 노력했지만 손실 구조는 이어지고 있다. 올해도 준공 사업장이 많아 원가율 관리에 고전할 것이란 관측이 많다.
1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작년 대우건설과 GS건설, 대림산업을 비롯한 대형 건설사들이 해외 플랜트 사업에서 대규모 손실로 고전했다.
대우건설은 작년 플랜트 사업에서 709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인 2015년(1035억원)과 비교할 때 7배 가량 큰 폭으로 증가한 것. 해외 도로와 교량 등 토건사업 부문을 더하면 적자가 1조2000억원이 넘는다. 건축과 주택으로 벌어드는 영업이익(3225억원)으로도 감당을 못하는 규모다.
GS건설은 작년 플랜트 사업에서 영업손실 4561억원을 기록했다. 대우건설과 마찬가지로 적자가 전년(1090억원)보다 크게 늘었다. 주택과 건축부분을 제외하곤 대부분 사업 부문에서 적자를 보였다.
대림산업은 해외 플랜트 사업에서 2015년 718억원 수준이던 적자 규모가 작년엔 1765억원으로 늘었다. 토목, 건축 등에서 큰 폭의 흑자를 내면서 대림산업의 지난해 총 영업이익은 4193억원을 기록했다. 해외플랜트 부분이 대폭 성장의 뒷덜미를 잡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같은 해외사업 부진은 저가로 수주한 사업장에서 주로 발생했다. 대우건설은 사우디 자잔과 알제리 RDPP 프로젝트에서 총 5700억원 손실을 실적에 반영했다. 설계변경과 행정절차 지체 등으로 예정된 공사기간을 맞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GS건설은 사우디 라빅2, 쿠웨이트 와라(Wara) 프로젝트가 발목을 잡았다.
지난 2009년부터 2013년 사이 집중된 저가 수주가 아직도 부담을 주고 있는 것이다. 당시 건설사들은 국내 주택시장이 침체한 데다 매출 확대 한계에 부딪히자 공격적으로 해외시장에 눈을 돌렸다. 해외에서 돌파구를 찾겠다는 것. 하지만 수주의 기쁨은 잠시였고 '승자의 저주'에 빠져 재무구조가 취약해지는 위기를 초래했다.
실제 2009년 해외건설 수주액은 전년대비 25억달러(2조8000억원) 늘어난 2491억달러(55조7000억원)를 기록했다. 2010년에는 716억달러(81조2000억원)를 수주해 역대 최고치를 나타냈다. 이후 2014년까지 600억달러로 수준을 유지했다. 그동안 연간 수주액이 300억달러 안팎에서 움직인 것을 고려하면 급증한 수치다.
이 과정에서 건설사들이 주기적으로 어닝쇼크를 당했다. 대우건설은 2013년과 2016년 당기순손실이 각각 7436억원, 7549억원을 기록했다. GS건설은 2013년 1조원대 손실을 떠안은 이후 아직도 저조한 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대림사업도 2014년 4400억원대 순손실을 기록했다.
문제는 아직도 해외손실 위기가 끝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올해 부실 위험이 있는 사업장이 대거 준공을 앞두고 있다. 총 사업비는 1조4000억원 규모. 저가로 수주한 사업장 규모가 20조원이 넘었을 때와 비교하면 손실을 상당부분 처리했다. 하지만 상위 건설사들은 아직도 수천억원대 잠재 부실을 보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지연과 설계변경 추가비용 등으로 준공 시기에 손실이 크게 발생한다.
나이스신용평가도 최근 2019년까지 원가율 조정으로 GS건설 5604억원, SK건설 2430억원, 대우건설 1014억원 추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신용평가사 관계자는 “건설사들이 해외에서 저가로 수주한 사업장 중 올해 준공예정이 많다는 점에서 불안 요소가 아직 여전하다”며 “위험 사업장을 올해 마무리하면 내년에는 잠재 위험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이동훈 기자 (leedh@newspim.com)